특별한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신체의 한 부분을 갑작스럽게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는 ‘틱장애’가 초등학교 전후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 동안(2007~2011년) ‘틱장애(F95)’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환자는 2007년 1만3275명에서 2011년 1만6072명으로 연평균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따.
성별로는 남성은 2007년 1만380명에서 2011년 1만2522명으로 연평균 4.8%로 증가했고, 여성은 2007년 2895명에서 2011년 3550명으로 연평균 5.2% 증가했다.
2011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성 및 연령별 진료환자는 10대(7683명)가 전체의 47.8%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진료를 받았으며, 이어 9세 이하 35.5%(5698명), 20대 7.9%(1266명), 30대 3.8%(604명), 40대 2.2%(352명)로 나타났다.
취학기준으로 살펴보면 초등학교 연령대인 만 7~12세 환자수가 7277명(전체의 45%)가 가장 많았는데 그 중 남성은 5757명(79%)으로 여성 1520명(21%)보다 많았다.
또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7년 33억9115만원에서 2011년 62억9404만원으로 연평균 16.7%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성은 2007년 28억2762만원에서 2011년 52억90만원으로 1.8배, 여성은 2007년 5억6353만원에서 2011년 10억9314만원으로 1.9배 증가했다.
1인당 총진료비는 2007년 25만5천원에서 2011년 39만2천원으로 연평균 11.3% 증가했는데 남성은 2007년 27만 2천원에서 2011년 41만 5천원으로 1.5배, 여성은 2007년 19만5천원에서 2011년 30만8천원으로 1.6배 증가했다.
2011년 기준 성 및 연령별 건강보험 진료비를 살펴보면 10대 진료비(40억 5,317만원)가 전체의 64.4%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9세 이하 12억4835만원, 20대 6억3332만원, 30대 2억 1185만원, 40대 8360만원의 순이었다.
기준 1인당 건강보험 진료비는 10대(52만8천원)-20대(50만원)-30대(35만1천원)이었는데 남성은 10대(53만5천원)-20대(51만6천원)-30대(38만7천원) 순, 여성은 10대(49만원)-20대(42만2천원)-30대(24만9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환자는 여성 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료비를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8세 이하 성 및 연령별 진료비에서는 초등학교 연령대인 만 7~12세 환자 진료비가 29억184만원(전체의 46%)로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남성의 진료비가 23억8991만원(82%)으로 여성의 진료비 5억1193만원(1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진료비(2011년 기준)는 고등학교 연령대인 만 16~18세 환자 진료비가 57만2천원으로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영기 교수는 “틱장애는 남녀 유병률이 4:1 에서 6:1 정도로 남자에서 더 많이 발병한다. 특히 소아 청소년 시기에 많이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경우 후기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증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