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중재시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2세대 약물 방출 ‘스텐트인 Xience V 스텐트’(EES)와 ‘Endeavor Resolute 스텐트’(ZES-R)의 시술 후 예후를 비교한 최초의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관상동맥중재시술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져 스텐트(금속그물망)를 삽입하여 이를 넓혀주는 시술이다.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효수 교수 연구팀(박 경우 교수, 이주명 전임의)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전국 41개 병원에서 시술 받은 5054명 환자를 EES로 치료한 군(3,056명)과 ZES-R로 치료한 군(1998명)으로 나눈 후 시술 후 1년 동안 예후를 비교 하였다.
과거 1세대 스텐트의 성적을 감안하면 2세대 스텐트 두 군 모두 우수한 예후를 보였으며, 2세대 스텐트 양 군 사이에는 예후 차이가 없었다.
일년 동안에 사망/심근경색증/재시술 등 사건 발생율이 EES 치료군에서는 7.4%, ZES-R 치료군에서는 7.7%로 나타났다.
스텐트 시술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알려진 스텐트 혈전증의 경우 EES 치료군에서는 0.6%, ZES-R 치료군에서는 0.4%로 나타나 두 군 간에 치료 예후에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 시술후 심혈관 사건 재발에 미치는 위험 요인을 분석한 결과, 환자의 기저 질환이 나쁘거나, 관동맥 병변이 심한 경우에 심혈관사건 재발율이 높았다.
Xience 스텐트와 Endeavor Resolute 스텐트는 1세대 스텐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 개발된 것으로 스텐트 혈전증과 재협착을 줄이기 위해 금속망 두께를 얇게 제조하였으며, 약물을 함유하는 폴리머 코팅을 개선시킨 2세대 약물 방출 스텐트이다.
그러나 이 두 스텐트가 실제 진료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외국에서 이에 대한 임상시험이 2건 있었지만 적은 규모이었으며, 고위험군 환자를 참여시키지 않는 등 실제 진료 현장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5천명 이상의 대규모 환자를 분석하였으며, 실제 진료 현장에서의 치료 효과를 최초로 분석한 것이다. 즉 참여 환자 중 75.8%의 환자들은 시술하기에 어려운 고위험군이었다.
김효수 교수는 “현재 진료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2개의 스텐트 사이에 우열이 있는지? 과연 치료한 환자들이 어느 정도 재발을 하는지? 라는 의문에 정확한 답을 모르는 답답한 상황이었는데 지난 수년간 전국의 41개 병원의 도움으로 방대하고 신뢰할 만한 결과가 대한민국에서 도출돼 세계학계에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했다”고 의미를 밝혔다.
이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환자들에게 스텐트 치료 후 경과를 보다 확실하게 설명해 줄 수 있게 돼 환자들의 불안감을 줄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심혈관계 국제 최고 저널인 미국심장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임팩트팩터 = 14.5점) 2013년 1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