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사총연합(이하 전의총)은 청주와 부산지역 2개 구 소재 약국의 불법행위에 대한 전수조사를 추가로 실시했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시와 고발조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의총은 지난 해 9월 서울 송파구와 성남시 소재 약국의 불법행위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400곳 중 134곳의 약사법 위반을 확인했고 관할보건소에 고발 조치했지만 불법행위가 계속된다는 제보가 있어 전수조사를 추가로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전수조사한 곳은 서울 종로구와 부산광역시 2개 구(부산진구, 남구), 충북 청주시(상당구와 흥덕구) 소재 약국이며 각 지역 약국 목록은 관할 보건소에 등록된 명단을 확인해 조사를 진행했다.
전의총은 총 707개소의 약국 중 221개소에서 약사법 위반 사실을 확인한 결과, 31.3%라는 당황스러울 정도로 높은 빈도의 불법이 자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며 불법행위는 224건으로 일반의약품 카운터 판매가 218건, 낱알판매는 5건, 임의조제는 1건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시 종로구 소재 156곳 중 47곳(30.1%), 부산시 부산진구 177곳 중 63곳(35.6%), 부산시 남구 104곳 중 30곳(28.8%), 청주시 상당구 120곳 중 32곳(26.7%), 청주시 흥덕구 150곳 중 49곳(32.7%)으로 나타났다.
전의총은 여러 루트를 통해 제보된 부산진구에서 특히 불법행위가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서울시 종로구의 경우에는 지난해 7월 고발했던 24곳 중 11곳에서 또 다시 불법행위가 반복되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동안 대한약사회에서 일반의약품 카운터 판매에 대한 자정활동을 벌였다고 하지만 이번에 발표한 전의총의 약국 불법행위 감시활동 결과를 보면 약국가의 불법행위 자정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주 37대 대한약사회장에 취임한 조찬휘 회장은 취임사에서 ‘악랄한 팜파라치’라며 전의총의 감시활동과 고발에 대해 비난했는데 “스스로의 잘못을 깨닫지 못하는 어리석은 모습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전의총은 앞으로도 국민의 건강권에 위해가 되는 약국의 불법행위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고발조치에 최선을 다 할 것이라며 약사회에 대해서도 전의총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을 중단하고 스스로의 잘못을 반성하고 지속적인 자정활동에 매진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