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은 문명사회의 시민이라면 누구나 익혀 어떤 위급상황에서라도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춰야 하는 기본 소양이다”
대한심폐소생협회가 보건복지부의 ‘2011-2012 급성심정지 조사결과’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일반인이 실시한 심폐소생술이 3.2%에서 6.2%로 증가했고 그 결과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퇴원율이 3.3%에서 4.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심폐소생협회는 “그 동안 정부와 유관 민간단체에서 급성심정지 희생자를 구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크게 환영한다”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도 생존퇴원율이나 일반인이 실시한 심폐소생술은 일본이나 미국 등 국가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협회에 따르면 53%가 가정에서 발생할 정도로 급성심정지의 대부분이 병원이 아닌 장소에서 발생한다. 또 급성심정지의 희생자는 대부분 심장질환자가 아니며 단 8.9%만이 심장질환을 앓고 있었다.
이에 따라 급성심정지 발생 후 얼마나 빠른 시간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가가 예후에 중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심정지후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경우 소생률이 매우 높다.
급성심정지의 예후를 결정하는 것이 의료인이 아닌 희생자 주변의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이라고 강조했다.
협회는 이런 면에서 볼 때 심폐소생술은 문명사회의 시민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추어야 하는 기본 소양이라며 증가했다고 하지만 아직도 6.2%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민간단체가 힘을 합해 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이 노력은 아직도 모자란 우리 사회의 생명 중시와 안전망 증강에 큰 역할을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대한심폐소생협회는 대대적인 공익캠페인을 벌여 온 국민이 급성심정지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고 대처 방안으로 누구나 제대로 된 심폐소생술을 익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는 사람은 만 명에 못 미치지만 안전벨트 캠페인이 활발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면 급성심장사는 2만 8천명에 달할 정도로 중요성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걸 맞는 공익캠페인이 벌어진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학교교육과정에서 심폐소생술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심장협회가 나서 모든 고등학교학생이 재학 시 심폐소생술을 익히도록 권유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다중이용시설의 근무자도 자동제세동기(AED)를 포함, 심폐소생술을 익숙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확산중인 자동제세동기(AED)의 보급을 더욱 활발하게 진행하고 유사시에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운용지침을 마련하고 일반에게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급성심정지를 예방하기 위한 지침 마련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지난 2009년 우리나라의 14세 미만의 급성심정지 희생자가 694명에 달한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운동을 시작하는 청소년에서 급성심정지를 예방하기 위한 12, 13종의 사전체크 항목이 설정돼 있다.
협회는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선의와 달리 나중에 희생자의 가족으로부터 받을 수도 있는 책임 등 문제제기에 대한 법률적 면책이 보장돼있음을 홍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미 동일한 목적으로 국민에게 심폐소생술을 교육, 보급하고 있는 여러 신뢰할 수 있는 전문 민간기관을 지원해 효과를 증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설립 10주년을 맞는 비영리 공익기관인 대한심폐소생협회는 우리나라의 심폐소생술 지침제정, 심폐소생술에 대한 연구, 심폐소생술지침의 전파 및 교육을 미션으로 대한심장학회와 대한응급의학회가 주축 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