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동안 수면장애 환자가 연평균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인구의 증가, 급격한 환경의 변화, 스트레스 증가, 현대인의 과도한 업무에 따른 수면습관의 변화, 나쁜 수면습관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08년 22만 8천명에서 지난해 35만 7천명으로 12만 9천명(1.57배) 늘었다.
총진료비는 2008년 195억원에서 지난해 353억원으로 1.81배 증가하였고, 공단에서 지급한 급여비는 2008년 137억원에서 2012년 250억원으로 1.83배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수면장애’로 인한 전체 진료환자 35만 7천명 중 남성은 14만 5천명, 여성은 21만 2천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6배 많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7만 5천명(21.0%)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 진료환자는 전체 진료환자의 44.8%를 차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신수정 교수는 “노년기가 되면 뇌의 대사나 구조적인 변화가 생기는 등 다양한 생리적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수면 일주기 리듬에 변화가 생겨서 수면장애가 겪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에서는 70대(3만명, 20.6%), 50대(2만 8천명, 19.3%), 60대(2만 5천명, 17.5%) 순(順)으로, 여성에서는 50대(4만 7천명, 22.1%), 70대(3만 8천명, 18.0%), 60대(3만 6천명, 17.0%) 순(順)으로 주로 고령층 진료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세부상병별 진료현황에 따르면 수면장애 환자 중 ‘불면증’ 환자가 23만7,931명(66.7%)으로 가장 많았고, ‘상세불명 수면장애’ (8만4,287명), ‘수면성 무호흡’(2만6,168명) 이 그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50~70대의 경우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잠들어도 자주 깨는 양상의 ‘불면증’, ▲30~50대에서는 수면 중 상기도가 막히면서 나타나는 ‘수면성 무호흡’ ▲10대 이하와 20~30대의 젊은 층에서는 면각성주기의 교란 및 렘수면(REM, rapid eye movement)의 혼란에 의한 질환인 ‘과다수면증’과 ‘발작성 수면장애’ 진료환자가 전반적으로 많았다.
성별로는 는 전반적으로 여성 수면장애 환자가 많았지만, ‘과다수면증’, ‘수면성 무호흡’, ‘발작성 수면장애’에서는 남성이 많았다.
모든 세부상병에서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많았지만, 증가비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수면장애 환자가 급격히 증가한 원인에 대해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신경과 신수정 교수는 “비만인구의 증가, 급격한 환경의 변화, 스트레스 증가, 현대인의 과도한 업무에 따른 수면습관의 변화, 나쁜 수면위생(숙면을 위해 가져야 할 습관) 등이 일차적인 원인”이라고 밝혔다.
또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따른 수면구조의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면장애의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과 식습관, 적정한 운동, 금연, 금주가 가장 기본적인 예방법이며, 수면위생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수면장애의 치료법으로는 “수면장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크게 약물치료와 인지행치료, 기구를 사용한 치료로 나눌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