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헬스서비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진단하는 세미나가 개최됐다.
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U-헬스서비스의 현재와 미래…건강보험 측면에서의 연계활용 방안’을 주제로 제18차 건강보장정책 세미나를 12일 오전10시 공단 지하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송승재 기술표준원 스마트의료정보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U-헬스의 개념에 대해 “유비쿼터스 IT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 누구나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 표준 및 시범사업 동향의 관점에서 U-헬스서비스의 기존 서비스 모델은 시스템 공급자가 직접 대형병원에 장비나 솔루션을 거래하는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이때 정부는 대형병원에 예산을 지원하고 병원은 환자에게 진단과 처방 및 환자기록을 관리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추구하고 있는 스마트케어 서비스 모델은 스마트케어 서비스 회사가 지역 의료진에 환자 데이터를 분석·전송하면 지역 의료진은 필요에 따라 대형병원에 수술을 의뢰하게 된다.
대형병원 역시 지역 의료진에 수술 후 관리를 의뢰하게 되며, 이때 정부는 보험수가를 지역의료진에 지불하게 되는 형태이다.
송승재 코디네이터는 “U-헬스 서비스를 도입하기에 앞서 사용자수요조사와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의학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국외 시나리오 도입 시에도,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며 원격진료 서비스주체에 대한 정의와 서비스를 위한 요양기관, 의료진의 역할 역시 확실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