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 관리 정책은 의료계와 정부의 신뢰 회복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강조됐다.
1일 63빌딩에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주최로 열린 ‘제1차 만성관리 포럼’에서 ‘일차의료 중심의 만성질환 관리’를 주제로 발표한 복지부 성창현 팀장은 “의원급 만성질한 관리, 토요가산제 등을 어렵게 풀고 있다. 신뢰회복 프로세스로 불신구조를 해결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물론이고 심평원 등 관련기관도 현장의 의견을 수렴할 때 관련 학회는 물론이고, 개원가의 의견도 수렴하여 생각의 괴리를 좁혀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성 팀장은 상급종합병원의 외래진료 약제비 인상 등 쉽지 않은 경험에도 불구, 경증한자에 대한 일차의료의 활성화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일차의료 활성화를 위해 진료의뢰서를 더욱 강화하거나, 병원-의원 회송에 대한 인센티브의 부여, 환자를 제약하는 것 등을 가능한 방안으로 제시했다.
성 팀장은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새로운 일차의료 모형을 하반기에 개발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국정과제인 만성질환 예방 모형은 일차의료기관이 중심이다. 전문적 상담서비스, 재정적 지원, 지역의사회가 자율성을 가지는 방안 등 하반기에 모형을 시행할 것”이라고 성 팀장은 밝혔다.
결론적으로 일차의료중심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의-정간에 신뢰를 가지고, 현장 중심으로, 장기적 시각에서 접근하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