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기능이 마비돼 병원을 찾는 환자가 날로 증가해 한해 6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마비 증후군’ 진료환자의 최근 6년간(2007-2012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했다.
자료에 따르면 마비 진료인원은 지난 2007년 4만9720명에서 2012년 6만1788명으로 늘어났으며, 총 진료비는 2007년 1,236억원에서 2012년 3,835억원으로 연평균 25.4%가 증가했다.
마비 진료환자 중 재활의학과 진료를 받은 비중은 지난 2007년 57%에서 2012년 65.7%로 증가했다.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60대 이상의 고 연령층이 전체 진료환자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80대 이상에서는 2007년 3,768명에 비해 2012년 7,430명으로 2배 가량 급증했다.
지난해 연령대별 인구 1만명당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80대 이상 인구 1만명당 78.7명, 70대 인구 1만명당 60.0명, 60대 인구 1만명당 32.8명으로 고령자 비중이 뚜렷하게 높았다.
의료기관 종별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외래환자는 종합병원 이용이 많았으며, 입원환자는 요양병원 이용이 많이 분포한 특징을 보였다.
특히 병원과 요양병원에서의 입원환자 증가율은 연평균 각각 21.0%, 27.4%씩 급증했다.
전체 진료환자 중 입원환자 비중이 종합병원은 2012년 기준 27.4%인데 비해 병원은 58.2%, 요양병원은 86.4%로 높게 나타났다.
입원환자 1인 평균 입원일수를 비교해 본 결과 ‘요양병원, 병원, 종합병원’ 순이며, 2012년 기준 1인 평균 입원일수는 요양병원이 종합병원의 22.5일보다 약 5배 긴 112.1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의 1인당 평균진료비는 종합병원(238만 8천원)보다 병원(678만 5천원)과 요양병원(1051만 7천원)에서 더 많이 지출됐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진료비의 연평균 증가율은 종합병원의 경우 2.6%인데 반해 병원은 18.2%, 요양병원은 17.1%로 급격히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김형섭 교수는 “마비의 원인에 따른 재활 치료법으로 뇌졸중의 재활치료, 당뇨병에 의한 마비증상 및 재활 치료법, 좌골신경통에 의한 마비증상 및 재활 치료법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