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사고 영향에도 불구하고 일본산 의약품원료 수입이 증가해 지난해에만 4780억원어치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진보당 김미희 의원실(보건복지위)이 분석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의하면 2012년 일본산 의약품원료 603종 수입액은 4억5천 만 달러(한화 약 4,780억원)에 달했다.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자료에 의하면 일본산 원료의약품 수입액은 증가추세에 있다.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일어난 뒤 수산물, 식품 등의 일본산 먹거리 수입에 규제가 가해지고 소비자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의외의 현상이다.
이같은 원인은 일본산 원료의약품은 국내 제약회사에서 사용하더라도 현행제도상 표기할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국민들은 자신이 복용하는 약에 방사능 오염가능성이 있는 일본산 원료가 들어가더라도 모를 수 밖에 없다.
수입한 원료 의약품 중 대부분은 합성된 원료인데, 방사능 오염도가 높으면 합성이 되지 않는다고도 하지만 약학전문가 말에 따르면 오염도가 치명적이지 않아도 합성이 되는 경우가 많다며 합성원료도 방사능 오염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 부형제로 들어가는 탈크나 녹말가루 같은 것도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충분히 높다.
식약처는 원전사고 주변 수산물 수입 금지, 방사능 검사 강화 등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고 있으나 의약품에 대해서는 무방비상태이라는 지적이다.
김미희 의원은 “의약계에서 지속적으로 촉구해온 의약품 원료 원산지 표시시행 또한 시급하지만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일본산 의약품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을 18일 국회 보건복지위 심평원 국정감사에서 질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