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이 특진 수당을 차감하겠다고 밝혔지만 병원노조가 보여주기용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서울대학교병원(병원장 오병희)은 10월부터 진료 교수에게 지급되는 선택진료수당을 30% 차감 지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의료연대 서울지역지부 서울대병원분회(이하 서울대병원노동조합)는 “선택진료수당 30% 차감지급은 차감액이 100만원을 넘지 않도록 하며, 3개월간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
또 “더욱이 선택진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고액의 선택진료수당의 폐지가 아니라 한시적이고 미미한 차감을 병원 인력 전체 고통분담론으로 활용하려는 것”이라면서 “병원장의 의도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실제로 서울대병원이 현재 경영위기라고 볼 수 없다”며 병원 측의 비상경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서울대병원노조는 “오병희 병원장이 비상경영을 빌미로 인건비와 의료재료 절감하려 하고 있지만 병원의 진료수입과 진료외수입(영리형 부대사업)은 계속적으로 증가했다”며 “매출액의 증가는, 건수에 따라 인센티브를 주는 ‘의사성과급제’ 도입으로 얻어진 결과”라고 밝혔다.
특히 서울대병원노조와 시민사회단체가 서울대병원이 대표적인 국공립병원으로서 제자리를 찾기 위해 ‘선택진료비’로부터 발생한 ‘교수의사성과급’ 폐지를 요구해왔다며 선택진료비 폐지는 박근혜정부의 핵심 공약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환자들은 서울대병원의 의사를 믿고 찾아오지만 국립대병원 중 최초로 의사성과급을 도입한 병원의 정책 때문에 환자와 의사의 신뢰관계를 넘어 치료에 대한 신뢰에도 매우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병희 병원장이 불필요한 병상확대와 건물 사들이기로 인한 회계장부상의 손실금을 병원인력과 환자들에게 전가하는 것에 반대한다”며 “병원 확장과 증축으로 인한 손실금이 있다면 장본인들이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연 1억 8천이 넘는 임금과 별도의 의사성과급을 추가로 챙기는 오병희 병원장을 포함, ‘미래전략본부’ 등의 경영진들이 먼저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은 “병원이 공공병원으로 제자리를 찾는데 환자 및 시민사회단체가 힘을 모을 것”이라면서 오병희원장에 대해 “임시방편적인 미봉책과 언론 호도용 생색내기가 아니라 대표적인 국공립대병원으로 제자리를 찾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을 것을 요구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