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사업 대상 예방접종]
Q1. 2014년에 아이가 학교에 입학합니다. 입학 전 어떤 접종을 완료해야 하나요?
A1. 학교에 입학 전까지 만 4~6세에 받아야 하는 추가 접종 4종[① DTaP 5차 ② 폴리오 4차 ③ MMR 2차 ④ 일본뇌염 사백신 4차(또는 생백신 2차)]을 완료해야 합니다.
[예방접종 증명서 제출대상]
Q2. 모든 입학생들이 예방접종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나요?
A2. 아닙니다. 학교에서 나이스를 통해 입학생의 예방접종 완료여부 확인이 가능하므로 전산등록(인터넷 또는 모바일 ‘예방접종 도우미’에서 예방접종내역 조회된 경우)이 확인되면 예방접종 증명서를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나이스에서 확인이 불가한 경우인 ‘예방접종 금기자’, ‘의료기관에서 전산등록이 불가한 경우’와 ‘7세 이후 DTaP 대신 Td를 접종한 경우’에는 의료기관에서 <취학아동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학교에 제출해야 합니다.
[온라인에서 접종내역 조회가 되지 않는 경우]
Q3. 접종을 완료하였고 아기수첩에도 접종내역이 기록되어 있는데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3. 접종을 완료하였더라도 접종기관에서 접종내역을 전산등록하지 않은 경우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조회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는 접종받았던 의료기관에 연락해 접종내역을 전산등록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의료기관에서 전산등록이 어려운 경우에는 접종 받았던 의료기관에서 <취학아동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입학 시 학교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보호자가 ‘예방접종도우미’에서 직접 입력한 사항은 전산등록 자료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접종받았던 의료기관에 전산등록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접종기관이 폐업 한 경우]
Q4. 아기수첩에는 접종내역이 기록되어 있는데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조회가 되지 않고 접종했던 의료기관은 폐업상태 입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4. 폐업한 의료기관 소재지 보건소에 이관된 진료기록부가 있는지 확인하거나(의료법 의거 이관 및 개인소장), 접종기록이 표기된 예방접종 수첩으로 보건소에 전산등록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대상 접종(4종)에 한해서, 의료기관 폐업이 확인되고 예방접종수첩에 접종일자, 접종기관, 접종기관 날인(도장 또는 서명)이 있는 경우에만 전산등록이 가능합니다.
[만 4~6세 추가 접종 생략 대상자]
Q5. 어떤 경우 만 4~6세 추가 접종을 생략하나요?
A5. 예방접종이 지연되어 만 4~6세 이전에 완료 했어야 하는 예방접종을 만 4~6세에 접종한 경우입니다. 즉, DTaP 4차, 폴리오 3차, 일본뇌염 사백신 3차를 만 4세 이후 접종했다면 만 4~6세에 접종하는 DTaP 5차, 폴리오 4차, 일본뇌염 사백신 4차 접종을 생략합니다.
※ 지연접종(DTaP 4차, 폴리오 3차, 일본뇌염 사백신 3차를 만 4세 이후 접종) 내역이 전산등록 되어 있지 않다면 접종<취학아동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학교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DTaP-IPV 콤보백신 접종]
Q6. DTaP 5차, 폴리오 4차가 아닌 DTaP-IPV 혼합백신으로 접종하였습니다. 이 경우에도 확인사업 대상 예방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인정되나요?
A6. 네. 이전 접종을 모두 완료하고 만 4~6세에 DTaP-IPV 혼합백신으로 접종하여 ‘DTaP-IPV 추가’ 접종내역이 확인되면 DTaP 5차, 폴리오(IPV) 4차 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DTaP 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만 7세 이상 아동]
Q7. 만 4~6세 시기에 맞는 DTaP 5차 접종을 완료하지 못했는데, 아이가 만 7세가 넘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7. DTaP 백신 접종은 만 7세 미만에서만 실시하므로, DTaP 대신 Td 백신으로 접종합니다. 이 경우 DTaP 5차 접종 제외 대상자에 해당됩니다.
※ 학교에서는 Td의 접종내역이 확인이 되지 않으므로, DTaP 대신 Td로 접종한 아동은 학교에 DTaP 5차 제외 사유가 표기된 <취학아동 예방접받았던 의료기관에 전산등록을 요청하거나, 생략된 접종의 접종 제외 사유가 표기된 종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외국에서 접종한 경우]
Q8. 외국에서 접종하였는데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는 접종내역이 확인되지 않습니다. 접종기록을 어떻게 전산등록하나요?
A8. 외국에서 접종한 경우에는 접종받았던 외국 의료기관에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팩스 또는 이메일 등을 이용) 요청하신 후 국내 보건소에 전산등록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