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의료기기 유통에 있어서 검사기관의 부족, 검사기준의 불명확성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병원경영연구원(이사장 이상호)은 최근 발간된 ‘중고 의료기기 유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정책리포트를 통해 중고 의료기기 검사 및 유통의 문제점을 소개하고 현실을 반영한 중고 의료기기 유통과 국민의 안전 및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원 신현희 박사는 보고서에서 중고 의료기기 유통의 문제점으로 ▲검사필증 발행기관의 부족 ▲검사기관의 수도권 쏠림 ▲중고 의료기기 품질 검사 비용의 과다 책정 및 검사 기간 지연 ▲검사 수수료에 대한 검사 기준 및 과정의 불명확성을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중고 의료기기의 올바른 유통환경 마련과 관련 법(규칙)을 개정하고 시행중이지만 중고 의료기기 유통 문제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오히려 활성화에 방해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신 박사는 “유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검사기관의 확대가 급선무라고 밝히고 중고의료기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의료기기별 특성에 따른 차등적인 검사가 실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험검사 항목 및 기준이 공개되어야 중고 의료기기에 대한 신뢰향상 및 유통 활성화가 이루어 질 것이라고 덧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