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알레르기성 질환), 패혈증과 같은 면역기능이 과도하게 작용해서 야기되는 질환의 메커니즘과 과도한 염증이 암 발생을 유도한다는 원리가 국내 산학연구팀에 의해 규명됐다.
연세대 생화학과 김영준 교수팀은 10일 인간의 몸에서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새로운 신호전달체계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했다.
과학기술부는 창의적 연구진흥사업을 통해 한국과학재단 지원과 벤처기업인 디지털지노믹스의 협력으로 연구사업을 수행한 연세대 생화학과 김영준교수가 면역과민반응을 억제해 패혈증, 아토피와 같은 질환 발생을 막아주는 면역조절 메커니즘과 과도한 염증이 암 발생을 유도하는 원리를 첫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병균이 사람 몸에 침투해서 세포 표면의 면역수용체와 결합하면 몸에서는 항균단백질이 생성되고 또한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촉진되면서 병균 등과의 싸움이 시작된다.
동 연구팀의 김태열 박사는 “면역자극이 오면 신호전달계가 작용하게 되는데 각각 작동을 해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알려진 바 있지만 신호전달계간에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로 견제와 조화를 이루는 시스템이 있다는 발전된 내용을 규명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런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지속되면 병균이 혈액속에 들어가는 패혈증이나 알레르기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병균이 침입했을 때 AP-1이라는 단백질이 작동을 시작해 항균단백질 신호체계 기능을 억제한다는 점을 새롭게 규명했다.
김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세균이 제거되고 나면 두 신호전달체계가 서로의 활성을 억제, 불필요한 면역반응 중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AP-1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면역과민 현상으로 인해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패혈증 등의 질병이 발생하며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생긴 염증이 암세포로 발전하는 경우도 생겨난다"고 밝혔다.
그는 “면역유발 기능쪽에 깊이 관여되어있는 신호 전달계를 또 다른 신호전달계가 억제함으로써 면역 유발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며 “기존의 연구가 시그널 각 단계에 포커스를 맞춰 약제를 개발한다거나 생리적인 반응을 연구할 때 좀더 특화된 것을 중점으로 많은 연구를 했으나, 이번에는 상호작용을 통한 특화된 것을 총체적으로 포괄적인 시각에서 조명했다는 것에 큰 의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환자들에게 직접적인 약재를 개발할 수 있는 근거는 아니지만 접근방법에 있어 과거 효과가 충분치 않다거나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한 것이 상호작용 부분을 간과했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밝혀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김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전문지 '네이처 면역학'지(誌) 2월호 게재에 앞서 인터넷판 9일자에 발표된 바 있다.
박지은 기자 (medifojieun@paran.com)
200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