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내 100만명 전문 심리상담원 통한 마음건강 증진 등 정신건강정책 대전환이 본격 추진된다. 정부가 6월 26일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는 작년 12월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정신건강정책 비전선포대회’에서 정신건강정책의 대전환을 천명하고, 위원회를 구성해 정신건강 분야의 전주기 정책에 대한 혁신을 논의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혁신위원회 출범을 위해 근거 규정을 마련하고, 위원 인선 등 필요한 제반 절차를 완료했다. 이어 이번 혁신위원회 1차 회의에서는 지난 12월 발표한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의 세부이행계획을 보고하고, 혁신위원회의 운영방안과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방안을 논의했다. ◆일상적 마음돌봄 체계 구축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오는 7월에 본격 시행하고 2027년까지 100만명에 전문 심리상담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4년 8만명을 확보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5년 16만명으로 늘리고, 2026년 26만명까지 확충한 뒤, 2027년 50만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국민에게 심리상담을 총 8회 제공(최대 64만
2024-06-26 15:242023년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신규 감염인이 전년 대비 약 6% 감소했다. 질병관리청은 2023년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으로 신고된 HIV 감염 현황을 분석해 ‘2023년 HIV/AIDS 신고 현황 연보’를 발간했다고 6월 26일 밝혔다. 2023년 HIV/AIDS 신고 주요 현황을 살펴보면, 우선 2023년도에 새롭게 신고된 HIV 감염인은 1005명으로 전년(1066명) 대비 5.7%(61명) 감소했다. 국적별로는 우리나라 국민이 749명(74.5%)과 외국인 256명(25.5%)이며, 전체 신규 HIV 감염인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성별로는 각각 남자 903명(89.9%)와 여자 102명(10.1%)이었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356명(35.4%)으로 가장 많고, 이어서 20대 288명(28.7%)와 40대 158명(15.7%) 순으로 20~30대 젊은 층이 전체 신규 HIV 감염인의 64.1%를 차지했다. HIV 감염인 신고는 병·의원에서 637명(63.4%)가 가장 많았고, 보건소 284명(28.3%)가 뒤를 이었으며, 그 밖의 기관(교정시설, 병무청, 혈액원 등)에서 84명(8.4%)을 신고했다. 감염경로는 성
2024-06-26 14:22고령인구 증가 대비를 위한 고령환자의 다양한 치과 질환과 그 치료법 소개하는 학술의 장이 열렸다. 전북대병원이 ‘제 12회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6월 26일 밝혔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이번 학술대회는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사회에 대처하기 위해, ‘Start to the next level of the geriatric dentistry’를 주제로 임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고령환자들의 다양한 치과 질환과 치료법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변진석 교수(경북대 구강내과)의 ‘통증성 만성 구강점막 질환의 관리’ 강연과 류재영 교수(전남대 구강악안면외과)의 ‘약물관련 악골괴사증의 이해’ 강연을 통해 고령환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지만, 개원가에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질환들의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 이어진 이정진 교수(전북대 치과보철과)의 ‘고령환자의 임플란트 이용 보철치료’ 강연에서는 고령환자에서 임플란트 이용 보철치료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상세한 가이드를 제시했다. 또한, 각 진료과 전공의들의 다양한 구연발표와 포스터발표도 진행됐다. 그 중 ‘마모로 인해 짧은 치관을 가진 환자의 전악 고정성 보철수
2024-06-26 13:39한국존슨앤드존슨 비전이 기존 제품 대비 더욱 편안하고 선명한 시야를 제공하는 신제품인 ‘아큐브 오아시스 MAX 원데이(ACUVUE OASYS MAX 1-Day) 구면(근시/원시용)’과 ‘아큐브 오아시스 MAX 원데이 멀티포컬’을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26일 진행된 이번 런칭 행사에서는 새로 출시한 아큐브 오아시스 MAX 원데이의 특장점을 공유하고, 바쁜 일상 속 눈의 건조함과 피로도가 높은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콘택트 렌즈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또한 편안함과 선명함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아큐브 오아시스 MAX 원데이의 기술력을 시각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는 부스도 함께 마련해, 아큐브의 기술력을 직접 확인하고 헤리티지를 한 눈에 담을 수 있도록 했다. 아큐브 오아시스 MAX 원데이는 아큐브의 기술을 집약해 디지털 기기 사용이 잦은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일상 속 여러 상황에서도 더 오랫동안 편안하고 선명함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됐다. 눈물막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건조감을 감소시키는 ▲눈물 안정화™ 기술(TearStable™)과, 블루라이트 필터로 빛 번짐을 줄이는 ▲옵티블루™ 기술(OptiBlue™) 2의 결합으로
2024-06-26 13:00‘솔메딕스(대표 양인철)’는 4등급 특수재질 연조직 고정용 의료기기 ‘큐라투스(Quratus)’가 지난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제조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큐라투스’는 어깨 회전근개 파열 시 연조직(인대, 힘줄 등)을 뼈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하는 의료기기로, 인체 내 삽입 후 임플란트가 분해돼 흡수되는 생분해성 폴리머 기술을 적용해 기존 금속성 임플란트가 체내 영구히 잔존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제품이다. 현재 ‘큐라투스’ 제품의 타깃 시장인 국내 ‘비금속성 앵커’ 시장은 대부분 해외 수입 제품이 점유 중이나, 국산 제품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솔메딕스는 제품 기획 단계부터 국내 유수 의료진을 의료기술자문단(Key Doctor)으로 위촉해 의료현장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s)를 적극 반영하는 한편 생분해성 폴리머 사출기술 내재화를 통해 국내외 경쟁제품 대비 높은 품질 및 성능 상 비교우위를 확보했다. 또한 캐뉼라(Cannula), 펀치(Punch), 셀프 태퍼(Self-Tapper) 등 ‘큐라투스’ 사용 시 필요한 액세서리 제품도 함께 개발해 상품성을 높였다. 제품의 우수
2024-06-26 12:49대전지역암센터가 대전시 동구 정다운어르신복지관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어울림 암검진사업을 추진한다.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는 지난 25일 대전시 동구 정다운어르신복지관과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6월 26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역특화사업인 ‘어울림 암검진사업’을 기반으로 정보 취약계층이 조기암검진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암예방 생활화를 위해 각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토대로 효과적인 지역 암관리사업을 수행하고자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어울림 암검진사업 건강도우미 운영 및 지원 협력 ▲지역주민 암예방 교육 및 암검진 독려 ▲지역주민 대상 공동 사회적 활동 협력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에 관한 협력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업무 협약식에 이어 건강도우미 위촉식을 진행하고, 건강도우미 및 생활지원사를 대상으로 한 암예방 및 암검진 교육을 통해 어울림 암검진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대전지역암센터는 어울림 암검진사업의 일환으로 건강도우미를 통한 동구지역 노인의 암건강을 돌볼 계획이다. 건강도우미는 구성원의 암검진 여부를 확인하고 암건강관리를 수행하며 활동 종료 후 우수 건강도우미에게는 지역주민의 암건강관리에 기여한 공
2024-06-26 10:47화순전남대병원 전남금연지원센터와 순천의료원이 입원환자 금연지원서비스 대한 협력을 강화한다. 화순전남대병원 전남금연지원센터는 최근 금연지원서비스 대상자 확대를 위해 순천의료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6월 26일 밝혔다. 순천의료원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체결식에는 최유리 화순전남대병원 전남금연지원센터장과 김대원 순천의료원장 등 양 기관 실무자들이 참석했다. 전남금연지원센터는 협약에 따라 화순전남대병원, 전남대병원에 이어 순천의료원에서 치료받는 입원환자에게 전문적인 금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특히 6개월간 1:1 상담, 금연 교육, 니코틴 보조제 제공, 순천의료원 금연 클리닉 연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 입원환자들의 금연 성공률을 높여 건강증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2024-06-26 10:36초개인화 건강관리 플랫폼 필라이즈(대표 신인식)는 앱 출시 2년여 만에 사용자 식단 기록 데이터가 1,600만 건을 돌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식단 기록 기능 출시 1년 3개월 만에 달성한 성과로, 지난해 12월 기준 약 700만 건이었던 식단 기록 데이터가 불과 6개월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지난 6월 초 AI 카메라 기능을 전체 사용자에게 공개한 후, 하루 1회 이상 식단을 기록하는 사용자 수가 5월 말 대비 일평균 126% 증가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음식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식단이 기록되는 편리함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식단 기록 참여가 크게 활성화됐다는 평가다. 필라이즈는 지속 가능한 식단 기록을 돕는 편리한 사용자 경험(UX)을 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필라이즈 앱에서는 음식 사진 촬영이나 음식명 검색만으로 칼로리와 영양 정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시판 음식이나 프랜차이즈 메뉴는 자동 선택 기능을 통해 정확한 영양 정보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판매하는 레모네이드를 검색하면 일반 레모네이드가 아닌 해당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음료의 정확한 용량과 칼로리, 영양 성분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사용자
2024-06-26 10:33광동제약(대표이사 회장 최성원)은 사내 임직원으로 구성된 부패방지소위원회가 2024년 워크숍을 개최하고 반부패·준법경영 의지를 재점검했다고 26일 밝혔다. 광동제약 부패방지소위원회는 부패방지 문화 확산을 위해 내부심사와 윤리경영을 담당하는 임직원으로 구성된 사내 조직으로 2021년 발족했다. 세부운영 과제는 ▲ ISO 37001·37301 통합 인증 과제 지원 ▲ 부패방지·준법경영 시스템 내부심사 ▲ 윤리경영 문화전파 및 프로세스 개선 제안 등이며, 특히 지난해 ISO 37001·37301 통합 인증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부패방지소위원회는 연중 수시로 활동현황을 점검하며 연 1회 전체 워크숍을 시행하고, 간담회 등을 통해 조직 내 소통을 강화한다. 지난 20일 서초구 본사에서 진행된 올해 워크숍에서는 위원들의 활동을 위한 필수교육과 더불어 하반기 운영계획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분야마다 창출해낸 성과에 대해 논의하며 프로세스 개선에 대해 제언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워크숍에 참여한 임직원들은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투명한 기업운영에 대한 실천 의지를 새롭게 다졌다. 광동제약은 이 밖에도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청렴윤리경영 교육, 윤리준법경영
2024-06-26 10:27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혁신제품의 신속한 공급을 통한 중증 난치성 질환 환자의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GIFT) 지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지난 5월 발표한 ‘식의약 규제혁신 3.0과제’의 일환으로, GIFT지원 확대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➊첨단바이오의약품을 GIFT 대상에 포함하고, ➋GIFT 조기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국내 신약의 경우 핵심 임상시험 주요 결과를 얻으면 GIFT 신청이 가능하게 했다. 식약처는 이러한 내용을 담아 ‘의료제품의 신속심사 지정신청 시 고려사항’과 ‘의료제품의 신속심사에 대한 업무절차’를 개정해 ▲GIFT 지원 대상 확대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신약 지정 절차 ▲희귀의약품‧신속심사 지정 동시 민원 신청 방법 등을 상세하게 안내했다. 식약처는 이번 GIFT 지원 확대가 혁신의약품 및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신속한 제품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환자에게 신속하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계획이다.
2024-06-26 10:21재단법인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재단(KIMCo재단, 대표 허경화)은 지난 25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A Korea Version of Pisano Puzzle : 한국 바이오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을 주제로 2024년 제3회 KIMCo TALK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석관 선임연구위원이 한국 바이오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을 공유했다. 현장에는 KIMCo재단 출연사, 제약사, 바이오텍, 투자사 관계자 8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발제를 맡은 김석관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나스닥의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바이오 섹터가 유지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 투자, 기업 지배구조, 시장 감시 등에서 조직적이고 제도적인 보완이 계속 이뤄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김석관 선임연구위원은 “위험의 분산, 장기적 투자, 주식시장의 정보 비대칭성 해소, 신속한 실패 유도 등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벤처캐피탈 제도의 개선, 코스닥 상장유지 조건의 폐지, 이사회 중심 경영 도입, 공매도 및 공시제도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바이오 섹터가 투자자 보호, 기업 지배구
2024-06-26 10:17연세암병원이 폐암 환자에 대한 중입자치료를 시작했다. 연세암병원은 6월 25일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회전형 중입자치료기’를 이용한 치료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중입자치료기는 조사 각도에 따라 고정형과 회전형 2가지로 나뉘는데, 연세암병원에는 전립선암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고정형 중입자치료기 1대와 이외 암종을 치료하는 회전형 중입자치료기 2대가 있다. 회전형 중입자치료기는 치료기가 360도 회전하면서 암 발생 위치 등을 고려해 환자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 20년 이상 중입자치료를 진행 중인 일본 데이터에 따르면, 폐암 환자의 중입자치료 성적은 매우 좋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기존 방사선치료 대비 부작용 발생률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세계적으로 가장 방대한 중입자치료 임상데이터를 보유한 일본 방사선의학 종합연구소(QST)가 주요 의학학술지에 발표한 보고에 따르면 3cm 이하의 초기 종양은 3년 국소제어율이 95% 이상이고 더 큰 종양의 경우는 80~90%의 국소제어율을 보였다. 국소제어율은 치료받은 부위에서 암이 재발하지 않는 확률로 특정 부위(국소, 局所)를 타깃하는 중입자치료에 있어 치료 성적을 알 수 있는 주요 지표다. 아울러 방사선치료의…
2024-06-26 10:16지씨셀 (대표 제임스 박)은 오는 7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되는 ‘The Liver Week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The Liver Week 2024’는 대한간학회를 비롯한 4개 연관 학회(한국간담췌외과학회, 대한간암학회, 대한간이식연구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간질환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 및 도약하기 위해 세계적인 간질환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Towards Precision Medicine in Practice and Research of Hepatology’로 개인 맞춤형 치료법의 적용 가능성과 최신 간질환 연구에 대한 논의하고, 다양한 세션과 워크숍이 마련돼 간질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적인 간질환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학술대회인 만큼 지씨셀은 이번 ‘The Liver Week 2024’에서 부스 운영을 통해 국내 유일하게 허가된 면역항암세포치료제인 이뮨셀엘씨주에 대한 인지도를 쌓을 계획이다. 또한 간세포암 수술 또는 RFA(Radiofrequency ablation, RFA) 치
2024-06-26 10:15마이크로바이오틱스(MicrobiotiX)는 지난 6월 초 식약처로부터 의약품 제조업허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금번 제조업허가를 받은 시설은 cGMP 급으로서, 마이크로바이오틱스는 금년 내 임상시험용 박테리오파지 생산을 완료하고, 리드프로그램인 MP101(폐렴치료제)의 국내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박테리오파지가 필요한 전 세계 기업과 병원 등에 위탁생산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로바이오틱스는 슈퍼박테리아(다제내성균)에 의한 질병을 타깃으로 하는 박테리오파지 치료제 회사로, 임상분리 다제내성균을 표적으로 하는 박테리오파지 라이브러리 패널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마이크로바이오틱스는 ㈜비앤피케어(대표이사 김태규) 자문을 통해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시스템(QbD)을 도입하고 품질관리를 글로벌 수준까지 끌어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의약품 수출 시 QbD 자료를 요구하는 국가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용동은 대표이사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수준의 박테리오파지 공정개발 및 GMP 시설을 기반으로 항균제 내성 세균감염을 박테리오파지 제제로 치료하는
2024-06-26 10:10제일헬스사이언스(대표 한상철)는 삼성제약(대표 정성택)과 일반의약품 및 의약외품 상품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제일헬스사이언스는 삼성제약의 일반의약품 및 의약외품 9종에 대한 독점 판매권을 확보하게 된다. 대상 품목은 국내 최초 탄산 소화제인 까스명수, 간 기능 개선과 피로회복을 돕는 쓸기담, 마시는 감기약 판토에이, 마시는 멀미약 스피롱액, 고혈압 및 뇌졸중 등 질환에 상비약으로 복용 가능한 삼성우황청심원이 이에 포함된다. 해당 제품은 2021년 7월부터 오스틴 제약이 판매를 담당했으나, 이달 계약이 만료됐다. 삼성제약 측은 전국 자체 영업 조직망 및 1만 처 이상의 직거래 유통망을 보유 중인 제일헬스사이언스가 파트너사로 적합하다고 판단해 2024년 7월부터 제일헬스사이언스가 독점적으로 판매를 담당하게 됐다고 밝혔다. 제일헬스사이언스 관계자는 “이번 계약을 통해 전통적으로 우수한 품질과 효능을 인정받아온 삼성제약 제품들을 제일헬스사이언스가 독점으로 판매하게 돼 기쁘다.”며 “제일헬스사이언스의 강력한 영업력을 통해 더 많은 고객들에게 질 좋은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일헬스사이언스는 2
2024-06-26 10:07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사장 전세환)의 저인산효소증(Hypophosphatasia, HPP) 치료제 스트렌식주(성분명:아스포타제알파, 이하 스트렌식)가 26일 보험급여 4주년을 맞아 희귀질환인 저인산효소증 인식 증진을 위한 인포그래픽을 발표했다. 스트렌식은 저인산효소증의 골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골 표적 효소 대체 요법으로, 최초이자 유일한 저인산효소증 치료제다. 2020년 6월부로 소아기 발병 저인산효소증 환자를 대상으로 보험급여가 적용되었으며, 지난 4월부터 사후심사로 전환되어 급여 조건을 충족하면 즉시 치료가 가능해졌다. 이번 인포그래픽에는 저인산효소증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과 질환 심각성, 저인산효소증의 유일한 치료제이자 근본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는 스트렌식의 치료 효과를 담았다. 저인산효소증은 ALPL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뼈의 무기질화를 돕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가 감소하여 다양한 골격계 증상이 나타나는 극희귀질환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만 5세 이전의 유치 조기 소실, 성장 지연, 잦은 골절, 구루병 등이 있으며, 특히 유치 조기 소실은 만 5세 저인산효소증 환자 99%에서 발생하므로, 해
2024-06-26 10:04하이로닉은 RF 마이크로니들 기반 범용전기수술기 ‘실크로™ (SILKRO™)’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510(k)승인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실크로™(SILKRO™)’는 마이크로니들을 침투시키거나 핸드피스에 장착된 전극을 통해 고주파(RF) 전류를 전달해 조직의 응고를 유도하며, 고주파 에너지를 통해 통증을 완화해주는 의료기기다. 지난 2022년에 동일 계열 제품인 ‘실크로’에 대해 이미 FDA 510(k) 승인을 획득한 바 있다. 이번에 FDA 승인을 받은 제품은 RM(RF Micro Needle), RN(RF Needle), RC(RF Circle), RV(RF Venus)의 4종류 핸드피스가 부착된 종전 제품 대비 플라즈마 스트림을 생성하는 PS 핸드피스 1종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실크로™’에 부착된 PS 핸드피스(플라즈마 스트림)는 하이로닉의 다른 제품인 ‘플라소닉’에도 적용된 바 있으며, 우수한 성능을 기반으로 해외 여러 업체로부터 큰 호응을 받은 바 있다. 하이로닉은 이번에 허가 받은 ‘실크로™’에 PS 핸드피스가 장착됐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PS 핸드피스 사용 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소모품(TIP)
2024-06-26 09:59정부가 지역 필수의료 공백 해소를 위해 시니어 의사를 활용해 의사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시니어의사지원센터는 지역의료기관에서 시니어의사를 채용한 경우 채용지원금을 지급한다고 6월 26일 안내했다. 지급 대상은 ▲시니어의사 신규 채용 ▲퇴직 의사 재채용 ▲퇴직 예정 의사 계속 고용 등을 한 공공의료기관 및 권역·지역 책임의료기관이다. 해당 기관은 7월 5일까지 채용지원금 신청서와 필요 서류를 작성하여 공문 또는 시니어의사지원센터 이메일(senior@nmc.or.kr)로 제출하면 된다. 정부는 제출한 신청서를 바탕으로 시니어의사의 근무경력과 의료기관 소재지 등을 검토해 지원 대상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시니어의사-지역의료기관 지원 사업’은 지역 필수의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시니어의사와 의사인력을 필요로 하는 지역의료기관을 연계·지원하는 사업으로, 국립중앙의료원 ‘시니어의사지원센터’에서 참여 의사를 상시 모집하고 있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의사는 시니어의사지원센터(☎02-6362-3731, 3718)로 연락해 신청할 수 있으며, 참여자로 등록한 의사는 채용 및 교육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시니어의사지원센
2024-06-26 09:55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6월 26일 14시 원주에 위치한 공단 본부에서 “2024년 장기요양 정책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초고령사회 도래와 신노년세대 진입 등 급속한 돌봄 환경변화에 대비하고, 지난 3월 제정된「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장기요양보험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발제는 먼저 건강보험연구원 유애정 통합돌봄연구센터장이 ‘통합돌봄지원법과 향후과제’에 대해, 이어서 공단 조귀래 요양급여실장이 ‘돌봄 통합지원을 위한 장기요양보험의 역할’에 대해 발표한다. 토론은 서울대학교 김진현 교수를 좌장으로, 호서대학교 이용재 교수, 서울대학교 윤주영 교수, 중앙일보 신성식 기자, 건강보험연구원 한은정 장기요양수요연구센터장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된다. 공단 홍영삼 장기요양상임이사는 이번 포럼을 통해 “새로운 돌봄 패러다임에 맞춘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역할 변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경청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면서, “변화하는 시대에 맞추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기요양보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06-26 09:51삼성서울병원이 첨단 항암 치료 분야인 카티세포(CAR T-세포)에서 아시아 지역 내 표준을 만들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24~25일 이틀 간 대만국립대병원 야오 밍(Yao Ming) 소아혈액종양내과장 등을 포함한 의료진이 방문해 카티세포 치료 관련 노하우를 묻고 돌아갔다고 6월 26일 밝혔다. 대만은 현재 카티세포 치료와 관련한 제반 여건을 만드는 단계로, 같은 인종적 배경을 지닌 아시아 권에서 치료 경험이 많은 삼성서울병원을 연수 대상으로 꼽았다고 한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2021년 4월 국내에서 가장 먼저 불응성 B세포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카티세포 치료를 시작했다. 치료 2년 만인 지난해 국내 최초로 카티세포 치료 100건 달성을 보고했고, 치료 경험이 쌓이면서 속도가 붙어 6월 기준 175건을 기록했다. 치료 결과도 고무적이다. 카티세포 관련 국제 2상 임상연구에서 보고한 치료 반응율 52%와 비교해 삼성서울병원은 59%로 앞선다. 이러한 성과의 배경에는 다학제 기반 ‘CAR T-세포치료센터(카티센터)’가 있다. 카티센터는 혈액종양내과와 소아청소년과 교수진이 종양전문간호사와 더불어 진단검사의학과, 신경과, 감염내과, 중환자의학과 등 여러 진료과 의
2024-06-26 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