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지난 5월 18일 이후 55일 만에 3만명대를 돌파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일 0시 기준으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74명,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4668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7100명, 해외유입 사례는 26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3만736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56만1861명(해외유입 3만7615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9412명, 인천 1917명, 경기 1만306명으로 수도권에 2만1635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2669명, 대구 1433명, 광주 662명, 대전 914명, 울산 1001명, 세종 320명, 강원 889명, 충북 977명, 충남 1289명, 전북 991명, 전남 754명, 경북 1162명, 경남 2106명, 제주 542명 등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4462명(12.0%)이며, 18세 이하는 9034명(24.4%)이다. 7월 12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11만6563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7512명과 비수도권 1만
대규모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가 본격 착수된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전국 단위 대규모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의 주관연구기관으로 한국역학회가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일반경쟁을 통해 주관연구기관을 선정했으며, 7월 5일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7월부터 본격적 조사가 시작된다. 이번 조사는 ‘질병관리청-한국역학회-지역사회’ 관계기관 전국 17개 시·도청 및 시·군·구 보건소 258개, 34개 지역 책임대학이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전국 17개 시·도 주민 1만 명을 대상으로 수행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코로나19의 자연감염으로 생성된 항체를 검사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기확진력, 예방접종력, 기저질환력도 함께 조사할 계획이다. 선정된 대상자에게 조사 안내문, 설명서 등을 우편을 통해 발송할 계획이며, 동의 절차를 거쳐 검체 수집 및 분석이 진행된다. 아울러 국립보건연구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확한 감염자 규모 및 미확진 감염자 규모를 파악하고 지역, 연령, 성별에 따른 위험요소를 분석해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대책 수립, 미래 병원 수요예측(중환자 병상수요 등), 감염취약집단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방안 수립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응급실 폭행은 병원 규모가 클수록 더 많이 발생하며, 폭행 10건 중 4건 이상은 환자·보호자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병원협회와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 더불어민주당 김민석·김원이·신현영 국회의원들이 공동주최하는 ‘안전한 응급실 진료환경 개선방안 모색’ 토론회가 11일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김원 제주한라병원 부원장이 ‘응급실 폭행 현장 상황’ 통계를 공개했다. 우선 경찰청에서 집계한 ‘의료기관 폭력 범죄 건수’는 2016년 1818건, 2017년 1729건, 2018년 2524건, 2019년 2522건, 2020년 2194건 등으로 매년 수많은 폭력 범죄가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2018년 이후에는 매년 2000여 건 이상의 폭력 범죄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경찰에 접수된 응급실 범죄 건수만 해도 2018년 490건으로 2009년 42건 대비 11.7배 증가했으며, 대한응급의학의사회에서 발표한 2020년 기준 진료환경 관련 실태조사에 따르면 의료진들이 지난 1년간 18.1%가 폭행을, 83.5%는 폭언을 경험한 바 있음을 응답했다. 병원과 의원의 폭행 발생 비율은 병원 11.8%, 의원 1.8%로 병원
이동형 병원에 대한 종합 점검이 실시된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는 오는 7월 12일부터 7월 22일까지 재난물류창고에서 ‘2022년 이동형 병원 설치 및 점검’을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동형 병원은 대규모 재난 및 다수사상자 발생 시 신속한 재난의료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응급실·수술실·중환자실이 포함된 50병상 규모의 시설을 말한다. 기능형 모듈 방식으로 구성된 이동형 병원은 외상, 감염병 상황 등 재난의료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필요한 모듈을 현장에 설치·운영하고 있는데, 이번 설치 및 점검 대상은 이동형 병원 전체 43개 시설 중 코로나19 대응에 활용 중인 CT실, 소생응급실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설이다. 이번 설치 및 점검의 목표는 이동형 병원의 시설·의료장비·관리 현황 등에 대한 종합점검이다. 분야별 세부점검은 의공기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및 의료장비 업체 등 각 분야 전문가가 맡아 보관·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관계기관에게 참관 기회를 제공해 재난 발생 시 국가 재난의료체계 및 이동형 병원 역할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아울러 오는 11월에는 의료인력 및 모의환자를 투입하는 ‘이동형
앞으로 코로나19 확진으로 외래 진료를 받았다면 본인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1일부터 코로나19 확진으로 외래 진료(대면, 비대면)시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은 환자 본인이 부담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논의한 ‘코로나19 격리 관련 재정지원 제도 개편방안’에 따른 것으로, 재원 상황 및 일반 의료체계로의 개편 등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속 가능한 방역을 추진하기 위한 조치다. 변화되는 주요 내용으로는 우선 코로나19 확진 이후 증상 발현 등으로 동네 병의원에서 외래 진료·처방(대면, 비대면)을 받은 경우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을 환자 본인이 납부해야 한다. 다만, 상대적으로 고액인 먹는 치료제 등은 계속 지원돼 본인부담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1회 진료 시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은 약 5000∼6000원(의원급, 초진 기준) 수준이며, 약 처방을 받는 경우 약국 약제비에 대해서도 본인부담이 발생한다. 만약, 약국약제비 총금액 1만2000원 발생 시 본인부담금은 약 3600원 수준의 금액을 납부해야 한다. 본인부담금 납부 방법은 대면진료 시 의료기관(동네 병의원, 약국)에 직접 납부하며,
대한병원협회와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 더불어민주당 김민석·김원이·신현영 국회의원들이 공동주최하는 ‘안전한 응급실 진료환경 개선방안 모색’ 국회 토론회가 7월 11일 오후 2시30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김민석의원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최근 용인 소재 종합병원 응급실 상해사건 및 부산 소재 상급 종합병원 방화사건 등 응급실에서 의료진과 환자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이 지속 발생하는 점에 대해 관련 정책 제안과 실제 응급의료현장에서 느끼는 폭행·폭력 근절을 위한 대책을 함께 논의한다. 신응진 대한병원협회 정책위원장(순천향대 부천병원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회를 진행하며, 김원 제주한라병원 부원장·권역응급의료센터장과 정성필 대한응급의학회 학술이사(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가 각각 발제를 맡아 ‘응급실 폭행방지대책 시행 이후 현장상황 및 실질적 지원방안’, ‘응급실 폭행방지대책 관련 해외사례,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표한다. 아울러 조진석 법무법인 세승 변호사, 조동찬 SBS 의학전문기자,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 조인수 대한병원협회 경영부위원장·한일병원장, 이지향 병원응급간호사회 감사·삼성서울병원
조선대병원은 최근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연구중심병원 육성 연구개발(R&D) 사업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사업명은 ‘대사 분석 및 정밀진단 플랫폼 기반 치매 치료 및 예방 융합 연구’로 치매의 정밀진단 및 대사지표·마이크로바이옴과의 연계성 규명을 통한 치매 진단 및 치료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한다. 본 사업은 세브란스병원(총괄)과 조선대병원(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아리바이오, 코랩,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참여하고, 사업기간은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총 8.5년으로 사업비는 국비 186억원, 세브란스병원 127.5억원, 조선대병원 9.4억원이다. 이번 사업에서 조선대병원(연구책임자 하정민 교수-핵의학과)은 광주치매코호트 컨소시엄(5주관)에서 주관기관으로 참여해 치매 진단·예방 기술 개발을 위해 사업비 81억원(현물 22억원)을 지원받는다. 주요 사업내용은 ▲광주치매코호트 기반 치매 전방위 생체의료 DB 구축 ▲대사체·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규 지표·유해균 발굴을 통한 치매 진단 기술 개발 ▲대사물질 및 치매 유해균의 치매·뇌염증 연관 기전연구 ▲치매 예방 및 억제를 위한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Q-code를 통한 해외입국자 입국 후 검사 관리 효율화가 진행된다. 질병관리청은 오는 7월 14일부터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에서 입국 후 검사 결과 등록 기능을 도입해, 해외입국자 관리를 효율화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여름철 BA.4, BA.5 등 신종변이의 유입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 국제선 정상화 등으로 인해 입국자 수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 평균 입국자 수는 3월 9329명에서 4월 1만3161명, 5월 1만7629명, 6월 2만3999명 순으로 증가했다. 이번 기능 도입으로 입국자는 입국 후 3일 이내 PCR 검사 결과를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에 등록하게 되며, 지자체 보건소에서는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에 등록된 검사결과 확인 및 미등록자에 대해 입국 후 검사 수행 및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 내 검사결과 등록을 독려한다. 또한, 7월 14일 입국자부터 입국 시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 이용 여부와 상관없이 입국 후 검사를 등록하며,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을 미이용한 입국자 역시 ▲여권번호 ▲생년월일 ▲입국 일자를 입력해 등록 가능하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검역정보 사전입력시
소아 희귀질환 치료 환경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정책 토론회가 개최된다. 11일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 국회의원이 주관하고 연합회가 주최하는 ‘소아 희귀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오는 7월 13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토론회는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넘어 사회적 단절을 초래할 수 있는 소아 희귀질환에 대한 인식과 치료 접근성 개선을 위해 다방면의 전문가가 모여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새 정부가 중증 희귀질환 보장성 강화를 주요 국정기조로 삼은 만큼 어떻게 현실화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은백린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를 좌장으로 ▲이범희 아산병원 의학유전학센터 소아내분비대사과 교수 ▲이형기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약리학과 교수가 발제를 통해 국내 소아 희귀질환 치료 환경 및 개선방안에 대해 전할 예정이다. 이어, 민수진 유전성혈관부종환우회 회장, 이경문 신경섬유종 환아 보호자, 김진아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국장, 최은택 뉴스더보이스 기자, 오창현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과장, 이지원 질병관리청 희귀질환관리과 과장, 유미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주를 분양한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주 세부계통 4주를 11일부터 분양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이는 감염병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에서 기탁한 변이바이러스로, 분양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주 세부계통으로는 ▲SARS-CoV-2 GRA: BA.2.12.1, #NCCP 43423 ▲SARS-CoV-2 GRA: BA.2.3, #NCCP 43424 ▲SARS-CoV-2 GRA: BA.4, #NCCP 43425 ▲SARS-CoV-2 GRA: BA.5, #NCCP 43426 등이 있다. 병원체자원 분양신청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내 ‘병원체자원 온라인분양 창구’에서 가능하며, ▲분양신청 공문 ▲병원체자원 분양신청서 ▲병원체자원 관리·활용계획서 ▲시설·장비 보유 증명서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배양 및 취급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실험실 생물안전 가이드’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분양은 생물안전 3등급(BL3) 연구시설을 보유하거나, BL3 시설이 있는 기관과 시설 사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주말 영향 등으로 8000여 명이 감소한 1만2693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11일 0시 기준으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71명, 사망자는 1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466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만2513명, 해외유입 사례는 18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만269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52만4538명(해외유입 3만7358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622명, 인천 638명, 경기 3987명으로 수도권에서 7247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626명, 대구 454명, 광주 267명, 대전 469명, 울산 331명, 세종 103명, 강원 313명, 충북 317명, 충남 446명, 전북 310명, 전남 236명, 경북 534명, 경남 658명, 제주 359명 등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403명(11.2%)이며, 18세 이하는 3363명(26.9%)이다. 7월 11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10만8022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8187명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2만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10일 0시 기준으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67명, 사망자는 1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464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만160명, 해외유입 사례는 25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만41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51만1845명(해외유입 3만7178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244명, 인천 931명, 경기 5448명으로 수도권에서 1만1623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297명, 대구 488명, 광주 370명, 대전 524명, 울산 646명, 세종 196명, 강원 435명, 충북 562명, 충남 786명, 전북 574명, 전남 440명, 경북 903명, 경남 1061명, 제주 492명 등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3055명(15.2%)이며, 18세 이하는 4553명(22.6%)이다. 7월 10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10만7113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1671명과 비수도권 8778명을 합해 총 2만449명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월 25일 이후 45일 만에 2만명을 돌파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1명, 사망자는 1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62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만63명, 해외유입 사례는 223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만28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49만1435명(해외유입 3만6928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4900명, 인천 1067명, 경기 5629명으로 수도권에서 1만1596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280명, 대구 712명, 광주 350명, 대전 504명, 울산 580명, 세종 176명, 강원 546명, 충북 567명, 충남 760명, 전북 519명, 전남 477명, 경북 745명, 경남 1095명, 제주 366명 등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708명(13.5%)이며, 18세 이하는 4569명(22.8%)이다. 7월 9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9만5784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1507명과 비수도권 8741명을 합해 총 2만24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코로나19 이외의 호흡기 전파 감염병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7일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총괄과가 ‘2021년 법정 감염병 신고 및 사망 현황과 호흡기 전파 감염병의 변화’ 제목의 역학·관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표본감시 감염병인 제4급 감염병을 제외한 제1급부터 제3급까지의 지난 2021년 법정 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66만9477명으로 전년(16만6716명) 대비 301.6% 증가했다. 코로나19 환자 57만72명을 제외하면 2021년 법정 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9만9405명으로 전년(10만5990명) 대비 6.2% 감소했다. 제1급 감염병의 경우 코로나19 증가로 전년(6만727명) 대비 838.7% 증가한 57만72명이었으며, 제2급 감염병은 지난해 8만611명으로 전년(8만6768명) 대비 7.1%, 제3급 감염병은 1만8794명으로 전년(1만9221명) 대비 2.2% 각각 감소했다. 법정 감염병의 급별·종류별 신고 현황으로는 제1급 감염병의 경우 코로나19 외에는 지난해 신고된 감염병은 없었다. 제2급 감염병의 경우 수두, 백일해, 성홍열, 결핵, 홍역, 파라티푸스,
질병관리청은 8일 대한병원협회 및 대한의사협회와 주요 감염병 현안 관련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각 협회를 방문해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 및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등 주요 감염병 현안 관련 대한병원협회와 대한의사협회의 협조를 요청하고, 관련 내용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국내외 코로나19 발생 현황 ▲병상가동 ▲검사역량 등 의료 대응역량 ▲예방접종 ▲국내·외 원숭이두창 발생 현황 등을 공유하고, 전반적인 최근 감염병 정책 방향에 대하여 각 협회의 자문을 구하였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각 협회에 현재 코로나19 재유행 우려가 큰 상황인 바, 확진자 급증에 대비한 진료체계 정비와 원숭이두창 조기 대응을 위한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진단 및 신고를 부탁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코로나19를 훌륭히 대처해 온 만큼, 간담회를 계기로 향후에도 방역 당국과 유관협회의 긴밀한 협조 관계를 이어갈 것이고, 의료계 전문가분들의 의견을 경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