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가 지난 14일 성남 판교 본사에서 엄기안 대표와 노바셀테크놀로지 이태훈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NCP112’의 안질환 치료 신약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NCP112’는 노바셀테크놀로지가 개발한 면역 치료 신약 후보 물질이다. 전임상을 통해 G단백질결합수용체 FPR2(N-Formyl Peptide Receptor)를 특이적으로 표적해 아토피 피부염에서 항염증, 피부장벽회복, 가려움증 완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기능성 펩타이드다. 휴온스는 지난해 12월 NCP112의 G단백질결합수용체 기능 조절과 관련된 염증해소 기전을 활용하면 아토피 외 추가 질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노바셀테크놀로지와 ‘NCP112의 신규 적응증 탐색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으며, 공동연구 및 기술 교류를 통해 ‘NCP112’의 안구건조증 등 안질환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여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휴온스는 연내 추가 전임상을 진행해 ‘NCP112’의 안질환 치료 효과를 거듭 확인할 계획이며, 이후 ‘NCP112’를 활용한 안질환 혁신 신약 개발 로드맵을 수립해 국내외 임상 및 출시까지 이어나갈 전망이다.
유한양행 상반기 실적이 고시됐다. 본 기사에서는 분기별 비교(올해 1분기와 2분기)와 상반기별 비교(작년 하반기와 올해 상반기)를 통해 유한양행의 상반기 성적과 주력 제품에 대해 제공한다.[편집자 주] ◆상반기 매출 7,119억 원...영업이익 1분기 대비 400% 성장 유한양행은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보였다. 특히 영업이익이 급증했는데, 지난 5월 얀센 바이오테크(Janssen Biotech, Inc.)로부터 비소세포폐암 '레이저티닙 (EGFR표적 항암치료제)'의 마일스톤 기술료 약 430억원을 수령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분기별 성적을 살펴보면, 매출의 경우 지난 1분기 3,033억원에서 34.6% 성장해 2분기에는 4,085억원으로, 영업이익은 80억원에서 399.8% 증가한 403억원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은 1,252억원에서 241억원으로 하락하며 80.7% 감소해 의외의 결과를 나타냈다. 상반기 매출액은 작년 6,975억원에서 2.15% 성장해 7,119억 원을 달성했음이 확인된다. 영업이익은 작년 상반기 132억원에서 265.4% 성장한 484억원을 달성했으며, 당기순이익은 409억원에서 256.4% 오른
GSK(한국법인 사장 줄리엔 샘슨)가 자사의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백신 로타릭스의 모델로 배우 조정석을 선정하고 ‘정석대로 해! 세계 판매 1위 로타장염백신 로타릭스!’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선보인다. 이번 광고에서는 최근 아빠가 된 배우 조정석이 영유아에서 로타장염의 위험성과 GSK 로타릭스가 세계 판매 1등 로타장염백신인 이유를 집중 조명하고 아이의 로타장염백신에 대한 예비 엄마 아빠의 고민을 말끔히 씻어주는 해결사로 나섰다.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을 통해 공개되는 ‘정석대로 로타릭스’편과 ‘로타릭스 인정’편은 영유아 로타장염을 2번의 접종으로 빠르게 예방할 수 있는 로타릭스의 강점을 소개한다. 온라인을 통해 추가 공개되는 ‘세계 1등’ 편에서는 로타장염백신을 국가 필수 예방접종으로 시행하는 105개국 중 무려90개국이 선택한 세계 1등 로타장염백신 로타릭스12,13에 대해, ‘세대교체’ 편에서는 100% 사람균주를 사용한 3세대 백신으로 가수 상관없이 폭 넓은 예방효과를 자랑하는 로타릭스에 대해 설명한다. GSK 백신사업부 로타릭스 브랜드매니저 김정혁 과장은 “로타릭스는 100% 사람균주를 사용한 3세대 로타바이러스 백신으로 2번의 접종으
한미약품(대표이사 권세창•우종수,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이 LAPSTriple Agonist(HM15211)의 임상 및 전임상 연구 결과를 유럽간학회(EASL,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ILC(The International Liver Congress, 국제 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다고 18일 밝혔다. 간 내 지방, 염증 및 섬유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NASH 질환에서 삼중 작용제로 혁신성을 입증한 LAPSTriple Agonist 최신 연구결과가 Late Breaking Session 발표 대상으로 선정되는 등 한미의 NASH 치료제 개발 가능성에 대한 전세계 연구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유럽간학회는 임상 진행 상황 등으로 인해 정해진 기간 내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더라도, 해당 연구의 혁신성과 중요도가 인정되면 Late Breaking Session에서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LAPSTriple Agonist는 지난 7월 NASH 치료를 위한 미국 FDA의 패스트트랙(Fast Track) 프로그램으로도 지정된 바 있다. 올해 EASL ILC는 세계적 코로나19 여파
메드트로닉코리아가 지난 13일 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통증센터(이하 서울대병원 통증센터)를 ‘메드트로닉 아시아태평양 의료인 교육기관’으로 지정, 국내외 통증치료 발전 도모를 위한 상호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만성통증치료 관련 ‘메드트로닉 의료인 교육기관(Center of Excellence - Interventional Pain Therapy Education Center)’으로 선정 MOU된 곳은 서울대병원 통증센터가 국내 최초다. 서울대병원 통증센터 회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희수 과장, 통증센터장 문지연 교수, 김용철 교수, 메드트로닉코리아 재건치료사업부(RTG) 김주민 이사 등이 참석, 통증 치료 발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메드트로닉코리아와 서울대병원 통증센터는 척수신경자극술(Spinal Cord Stimulation) 및 척수강내 약물 주입펌프 삽입술(Intrathecal Targeted Drug Delivery System)에 대한 메드트로닉 통증치료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 상호 긴밀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학술 교류를 추진한다. 서울대병원 통증센터
한국MSD(대표이사 아비 벤쇼샨)가 남녀 모두 접종 가능한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가다실9의 새 모델로 방송인 조세호와 유병재를 선정하고 오늘(18일) 새 광고영상을 공개했다. 가다실9 새 광고는 공익광고, 느와르영화, 하이틴드라마, 아침드라마의 네 가지 컨셉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방송인 조세호, 유병재는 각 컨셉에서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하며 형, 동생으로 등장해 찰떡 케미를 선보였다. 광고에서는 유병재의 ‘자궁 없는 형이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는다?’는 오해를 조세호가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HPV가 남성에서도 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남녀가 모두 맞고 함께 예방하는 것이 권장된다 ’는 메시지로 응수하며 남녀 모두에서 HPV 백신 접종 필요성을 알렸으며, 아침드라마편에서는 조세호의 충격적인 반전을 통해 HPV 백신 가다실9는 만 45세 이하의 중년 여성도 접종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유쾌하게 전달했다. HPV는 성 접촉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성생활을 하는 남녀 모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 성인 10명 중 7명은 일생 동안 한 번은 감염될 수 있다. 또한 HPV는 감염되면 대부분 자연적으로 소멸되지만 지속적으로 감염될 경우 여성에서 자궁경부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이 오는 26일까지 제약바이오·정보기술(IT) 분야 종사자를 대상·정보기술(IT)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AI 활용 신약개발 교육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번 교육과정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국내 신약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2020 AI 활용 신약개발 교육 및 홍보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함에 따라 마련됐다. 교육은 AI 활용 신약개발 이론과 실습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으로, AI 활용 신약개발 연구생태계를 살펴보고 빅데이터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담고 있다. 일반교육 과정은 제약바이오 종사자 중심의 ‘과정1(과정Ⅰ)’과 IT 종사자 중심의 ‘과정2(과정Ⅱ)’로 구분했다. 과정1은 1회차(9월 16일~18일), 2회차(10월 5일~7일), 과정2는 1회차(10월 26일~28일), 2회차(11월 4일~6일) 일정으로 진행한다. 각 강좌별 수강정원은 30명이며, 국고보조금으로 진행하는 무료강좌인 만큼 교육생 등록 후 중도 포기할 경우 내년도 교육사업에서 교육생 소속기관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 교육과정의 강사진은 AI신약개발지원센터 연구원 및 외부강사 등 이 분야 전문가들로 구
LG화학이 NASH(non-alcoholic steatohepatitis;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중국의 '트랜스테라 바이오사이언스(TransThera Biosciences)'의 전임상 단계 NASH 치료 신약 파이프라인(후보물질명: TT-01025)을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트랜스테라 바이오사이언스는 암, 심혈관, 염증 질환 신약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중국 난징 소재 바이오기업으로, 간에서의 염증 진행과 관련성이 높다고 알려진 VAP-1 단백질을 타겟으로 한 NASH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LG화학은 NASH 글로벌 개발 동향을 파악한 결과 효능 및 안전성, 임상 진입 속도 등을 고려해, ‘트랜스테라 바이오사이언스’의 신약 파이프라인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다고 판단했다. LG화학은 올해 안으로 전임상을 마치고 내년 1분기부터 미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중국, 일본을 제외한 미주 및 유럽지역 등 글로벌 독점 개발 및 판권을 확보하며, 이에 대한 계약금과 개발 및 상업화 성취도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 등 최대 3억 5천만 달러(약 4,170억원)를 ‘트랜스테라 바이오사이언
차세대 세포치료제로 주목 받는 NK(자연살해, Natural Killer)세포가 코로나19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C녹십자랩셀(대표 박대우)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실험실(In-vitro) 연구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세포가 자사 NK세포치료제에 의해 사멸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NK세포를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 반응시켜 효능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NK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대조군 대비 7~8배 이상 활성화 되고, 면역력 평가의 중요 지표 중의 하나인 ‘IFN-g’의 분비량도 대조군 대비 약 1.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NK세포가 직간접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세포의 사멸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NK세포는 암세포와 바이러스 등 체내 비정상세포 제거에 일차적으로 관여하는 선천면역세포로서, 타가이식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어 차세대 세포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GC녹십자랩셀은 NK세포의 대량 생산 및 동결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NK세포치료제의 상업화 가능성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
일동홀딩스와 일동제약의 2분기 실적이 공개됐다. 본 기사를 통해 각 실적을 작년 2분기와 상반기 실적에 비교해 본다. ◆일동홀딩스, 하락한 2분기와 성장한 상반기 일동홀딩스의 2분기 실적은 1분기에 비해서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나, 상반기 전체 실적으로 따지면 작년상반기보다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매출액은 1분기 1,486억 원이었으나 2분기 1,473억 원으로 0.9% 하락했지만, 영업이익은 36억 원 적자였던 1분기보다 98억 원 달성해 379%, 당기순이익은 35억 원 적자에서 59억 원을 달성하면서 268% 성장했다. 반면 상반기 성과 중 매출은 상승세를 보인다. 작년 상반기 279억 원보다 무려 957.2% 성장해 2,959억 원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59억 원에서 25% 성장한 62억 원에 달했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은 83억 원이었던 작년 상반기에 비해 24억 원에 그치며 71%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동제약, 지혜로운 전략으로 '적자'→'흑자' 전환 성공해 일동제약 역시 홀딩스와 마찬가지로 1분기에 비해 2분기는 하락세를 보이지만 상반기 실적은 다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매출액은 1분기 1,385억에서 2분기 1,373억으로 하락하면서
올 2분기가 마무리되면서 유비스트에서 제약사 별 취급제품의 2분기 원외처방액 결과를 발표했다. 본 기사에서는 올 상반기 당뇨병 치료제 중 DPP-4 억제제 시장을 지난 하반기 시장과 비교하며 올 상반기 DPP-4 시장을 되짚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엠에스디·베링거인겔하임 처방액이 과반 이상 차지 엠에스디는 올해 상반기 자누비아(233억 원), 자누메트(388억 원), 자누메트 엑스알(243억 원)의 처방액 총액이 약 865억 원으로 집계돼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상반기 점유율은 29.3%로 지난해 하반기 점유율인 29.3%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다. 2위는 베링거인겔하임이다. 트라젠타(307억 원), 트라젠트 듀오 (329억 원)의 처방액 총액은 637억 원이며 점유율은 21.5%로, 지난해 하반기 21.7%보다 0.2% 하락했다. LG화학은 제미글로(178억 원), 제미메트(226억 원), 제미메트 서방정(152억 원), 제미로우 (2억 원)의 총액이 559억 원으로 나타나 18.9%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3위를 차지하게 됐다. 4위는 노바티스로 가브스(40억 원), 가브스메트(178억 원)가 총 7.4%의 점유율을 가지면서 218억 원의 처방액을 기록했다
14일 오후 여의도에서 개최된 ‘4대악 의료정책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총파업 궐기대회’에서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백진현 회장이 정부의 4대악 의료정책을 비판했다. 백 회장은 “2002년 우리나라 법에 보건의료 기본법이 제정됐고, 이 법에는 보건의료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이 규정돼있다.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건의료발전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하고, 여기서 수립된 계획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며 “2018년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이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향후 추진 계획을 언급했으나 그때 뿐이어서 안타까웠다”며 연대사를 시작했다. 이어 “김연명 청와대 사회수석이 이임사를 통해 ‘의대 정원 확대는 어느 순간 결정된 것이 아니며 1년 가까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복지부와 토의해 내놓은 것’이라고 했는데, 이는 보건의료기본법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며 “(보건의료기본법을) 모른다면 기본조차 모른 것이고, 안다면 자기 신념이 강해 법을 무시하고 밀실 정책을 만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서울의대 의료과학교실 김윤 교수가 한 인터뷰를 통해 ‘OECD 통계자료에 의하면 인구 천명 당 의사가 1명이 부족한 셈이니 대한민국 인구가
동아에스티(대표이사 회장 엄대식)가 8월 14일부터 15일까지 2일간 서울 메이필드호텔에서,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주최로 개최되는 ‘APNM 2020(8th Asian Postgraduate Course on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에서 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 모티리톤 임상연구 ‘PASS-GI Study’의 결과를 발표했다. 모티리톤은 동아에스티가 개발한 기능성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FD) 치료제로, 기존 치료제와 달리 위 배출 지연 개선, 위 순응 장애 개선, 위 팽창 과민 억제 등의 복합 작용으로 FD를 개선한다. ‘PASS-GI Study’는 모티리톤의 파킨슨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위장관계 운동성 장애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연구다. 국내 총 5개 병원에서 위장관 기능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4주간은 모티리톤군과 위약군을 무작위 배정하여 투여하고 이후 8주간은 모티리톤을 투여해 총 12주간의 결과를 확인하는 이중맹검, 무작위 배정, 위약 대조 임상시험으로 진행됐다. 임상연구 결과는 지난 8월 6일, 논문인용지수(im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80명을 넘기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8월 1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5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수는 1만 1만4873명(해외유입 2618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46명으로 총 1만 3863명(93.21%)이 격리해제 돼, 현재 70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 14명, 사망자 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05명(치명률 2.05%)이다. 지역별 국내 발생은 서울 31명, 경기 38명, 인천 3명, 부산 5명, 광주 2명, 울산 2명, 강원 1명, 충남 3명, 경북 1명으로 총 85명이 집계됐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7명, 지역사회에서 11명 확인됐고, 내국인 6명, 외국인 12명으로 확인됐다. 누적환자 166만 5084명 중 163만 79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으며 현재 2만 132명이 검사 중에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의료기기의 합리적 허가․심사 운영을 위해 희소의료기기 지정 신청요건 확대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의료기기 허가·신고·심사 등에 관한 규정」 고시 개정안을 14일 행정예고 했다.희소의료기기란 '국내에 대상 질환 환자수가 적고 용도상 특별한 효용가치를 갖는 의료기기'로서 식약처장이 희소의료기기로 지정한 경우, 타당하다고 인정하는 범위의 임상시험 자료(간소화 등)로 허가심사가 가능하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희소 의료기기 지정 신청요건 확대, 생물학적 안전에 관한 자료 제출 면제 확대, 수수료 반환 기준 마련 등의 내용이 담겼다. 희소의료기기 지정 신청 시 기존에는 해당 질환 관련 학회회장 등의 희소의료기기 지정추천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신청 시 사용목적이 희귀‧난치 질환에 사용하는 기기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만을 제출하는 경우도 가능하도록 하여 희귀‧난치 질환자의 의료기기 접근성이 확대됐다. ISO(국제표준화기구), ASTM(미국시험재료협회) 등 국제적으로 인정된 규격에 적합한 원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생물학적 안전성시험 자료제출 면제 대상 규격에 추가돼 허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이고, 신속한 시장진입이 가능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