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트로닉코리아가 지난 7월 17일강남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 강남구 일원동 일대 독거노인 및 저소득층 가정에 도시락과 코로나19 예방 위생키트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임직원 약 30명은 점심도시락과 살균소독제, 마스크, 체온계, 알코올티슈, 텀블러 등으로 구성한 키트를 직접 배달했다. 이날 이웃에게 전달된 도시락은 총 60인분, 위생용품 키트는 총 75개다. 메드트로닉 글로벌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6 (Project 6)’의 일환으로 이뤄진 이번 지원은 ‘기업의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고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하고자 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메드트로닉코리아 이상수 전무는 “코로나19의 지속적인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사회에 조금이나마 의미 있는 도움을 전할 수 있어 매우 기쁘게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메드트로닉코리아는 혁신적인 의료기기와치료 연구 개발은 물론, 더 건강하고 밝은 지역사회를 위해 기업시민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드트로닉코리아는 올해 초, 코로나19특별지역 대구∙경북의 의료진을 돕기 위해‘투게더 위드 대구(Together with Daegu)’ 기부금 모금 캠페인을 진행해방호복 900벌을
셀트리온이 7일 연결기준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2분기 매출액 4,288억원, 영업이익 1,818억원, 영업이익률 42.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82.5%, 영업이익은 118% 증가한 것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 출시한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의 미국시장 점유율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데다, 1공장 증설 시설의 본격 가동으로 램시마, 트룩시마 등 주력제품의 생산 효율이 개선된 점이 매출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은 졸레어, 스텔라라 등 주력 바이오시밀러에 이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CT-P17', 결장직장암 치료제 'CT-P16'를 후속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임상을 본격화하는 한편, 다케다제약의 아태지역 '프라이머리 케어' 사업부문과 관련한 권리 자산을 인수합병 하는 등 종합제약사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셀트리온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는 국내 임상 1상 과정 또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코로나19확산에 따른 경영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2분기 매출과 이익이 모두 큰 폭으로 성장했다"며 "후속제품 개발, 글로벌케미컬사업,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orea Innovative Medicines Consortium, 이하 KIMCo)이 5일 공식 출범했다. KIMCo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와 국내 55개 제약바이오기업들의 공동 출자로 만들어진 제약바이오산업 사상 최초의 공동 투자·개발 플랫폼이다. 초대 대표는 허경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부회장(비상근)로 선임됐다. 임기는 2년이다. 허 대표는 바스프 코리아 사업부장과 크놀파마 코리아 사장, 퀸타일즈 코리아 사장, IMS헬스 코리아 사장 등을 역임했다. KIMCo는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생산 인프라 및 공동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과 오픈 이노베이션에 기반한 혁신신약 개발 지원 등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적으로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의 대량생산 등 제조기술 고도화를 위한 장비구축과 신·변종 감염병 위기대응을 위한 감염병 분야 제조 인프라(장비) 구축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8월중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의 협약을 체결, 사업 공고와 평가 지침 등을 심의하고 세부과제 공모 및 선정 작업을 진행할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늦어도 9월중에는 선정결과를 확정, 국가 연구개발 시설 장비를 심의하고 장비 구축 및 운용에 나설 예정이다. 허
올해 상반기가 지나감에 따라 의약품 시장조사자료 유비스트(UBIST) 에서는 제약사 별 취급제품의 원외처방액(이하 처방액) 결과를 발표 했다. 이에 본지에서는 올해 상반기 비타민 K 비의존성 경구용 항응고제(NOAC) 시장을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편집자 주] ◆부동의 1위, 릭시아나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는 올해 상반기 처방액이 317억 3000만 원을 달성해 전년 하반기의 312억 3700만 원보다 1.6% 성장한 모습을 보였으며, 시장점유율은 34.7%를 차지해 전년과 마찬가지로 1위를 지켜냈다. 바이엘의 자렐토(성분: 리바록사반)는 상반기 처방액 247억 8700만 원으로 시장 점유율 27.1%를 차지해 2위를 차지했다. 지난 하반기의 257억 5400만 원에 비해 -3.8%의 증감률을 보였다. 비엠에스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은 상반기 처방액이 244억 1100만 원으로, 자렐토와 근소한 차이를 보여 2위 자리를 놓고 치열한 다툼을 보이고 있다. 아픽사반 성분의 12개 제네릭 제품은 점유율이 3.5%에 지나지 않았지만 지난 하반기 11억 3000만 원에서 올 상반기 32억 100만 원으로 성장하면
안국약품(대표이사 어 진)이 7월 30일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본사 강당에서 “2030 뉴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코로나19 사태를 감안해 본사 강당에는 최소인원만 참석하고, 대부분의 직원들은 온라인을 통해 선포식에 참여했다. 안국약품은 2030 뉴비전을 “우리는 의약기술과 디지털 정보를 융합하여 고객에게 안전하고 차별화된 Healthcare 제품을 제공한다. 그리고 안국의 Total Healthcare 서비스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삶의 질을 높여주는 K-Health 기업으로 도약한다.”로 제시했다. 즉,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시대 등 변화하는 환경에 맞게 제약(의약)기술과 디지털을 융합하여 안국약품의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삶의 질을 높여주는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것이다. 또한 비전 달성을 위한 사업방향, 전략방향 및 중점추진과제도 같이 발표했다. 특히 “종합병원 점유율 확대, 토탈헬스케어를 통한 사업다각화, 차별화 된 개량신약 발매, 이중 및 다중항체 pipeline 확보를 통한 바이오 비즈니스 확대, 수출과 GMP의 글로벌화, 디지털 시대에 대비한 경영인프라 구축”의 6대 중점추진과제를 발표하고 살아있는 비전을 만들기 위해 모든
경남제약(대표 배건우)이 지난 30일 노조(전국 금속노동조합 충남지부 경남제약 지회)와 임금 및 특별단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경남제약은 이번 협약체결을 위해 지난 4월부터 4개월간 노사간 실무교섭을 진행했으며 노조는 회사가 급속도로 성장해가는 상황에 발맞추기 위해 성실히 교섭에 임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매주 실무교섭을 진행하며 빠른 타결을 위해 양측이 노력한 결과다. 경남제약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회사는 전년도 임금 인상률을 유지하였으며, 협상기간 내내 노측에서는 부족한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파업없이 잔업에 특근을 하며 경영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주었다.“고 말했다. 양측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단 한차례도 빠짐없이 단체협약에 적극적으로 임했으며 첫만남부터 상생경영을 하고자하는 공통 의식을 가지고 ‘근무하고 싶은 일터,’ ‘더 나은 품질’을 만들기 위한 슬로건 아래 협심하여 단체협약을 체결하였다.
한국BMS제약(대표 김진영)이 최근 혈액암 및 항암제 사업부(Hematology & Oncology Business Unit)의 신임 총괄로 유재현 전무를 영입했다고 31일 밝혔다. 유재현 전무는 1998년 한국얀센 영업사원을 시작으로 약 20여년간 한국, 중국, 미국을 비롯한 아시아 및 글로벌 조직에서 마케팅 리더이자 사업부 총괄로서 비즈니스 확대 및 성과 창출에 기여하며 전문성을 인정받아 왔다. 최근까지 한국얀센에서 IDIO(Infectious Disease, Immunology, Oncology, Hematology and Pain) 사업부 리더로서 조직의 성장과 인재개발을 이끌고, 동시에 얀센 북아시아 스페셜티 사업부(Janssen North Asia, Specialty Business Group)의 전략 수립 및 다양한 프로젝트들의 성공적인 실행에 대한 책임을 수행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한국BMS제약은 "유재현 전무는 다양한 시장과 제품은 물론 여러 위기와 기회에 대한 경험과 축적된 리더십을 바탕으로 한국BMS제약 혈액암 및 항암제 사업부의 보다 큰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혁신적인 치료제를 통해 중증 질환으로 투병중인 환자들을 돕는 데
휴온스가 코로나19 치료제 등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휴온스(대표 엄기안)는 지난 30일 성남 판교 본사에서 엄기안 대표이사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김기준 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신종 코로나 및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확인된 랄록시펜 및 신물질 10종에 대한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앞서 휴온스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주관한 ‘신종 코로나 항바이러스 물질 및 용도특허 기술이전 대상기업 공모’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이번 본계약 체결로도 이어졌다. 이에 휴온스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유기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정부 산하 기관이 보유한 정보와 민간 기업의 개발 역량 및 해외 임상, 사업 진출 노하우의 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랄록시펜’을 ‘코로나 19 치료제’로 상용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휴온스는 임상시험협의체에 임상시험용 랄록시펜을 공급할 예정이며,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맞춤형 제형 연구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임상협의체에는 아주대의료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경기도의료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참여한다. ‘랄록시펜’은 골다공증치료제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
대한약사회가 의약품 불법리베이트에 대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대한약사회는 29일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공문을 보내 의약품 불법리베이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정부•제약•유통•의약단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리베이트 프리선언’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약사회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공보의 로비 논란에 이어 올 7월에도 모 제약사의 400억원대 불법 리베이트로 압수수색을 받는 등 리베이트 문제가 고질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약사회는 정부가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처벌 강화 같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제네릭 의약품 난립 방치, 불법 제약영업 대행사 관리 소홀 등으로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고 지적하며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약사회는 불법 리베이트 근절 대안으로 위탁제조, 공동생동 관련 제네릭 품목 허가제도의 개선, 제네릭 상표명 불허 정책(언브랜디드 제네릭 시행), 제네릭의약품 약가제도 개편과 같은 적극적인 제네릭 의약품 난립방지 대책 마련과 함께 제약영업 대행사(CSO) 관리강화를 위한 의약품 유통관리 업무 위탁 관련 법규 개정을 촉구하였다. 대한약사회 권혁노 약국이사는 “불법 리베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2020년 2분기 경영실적(별도기준)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2,2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감소하였으며, 영업손실은 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하였다. 연구개발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22.1% 늘어난 296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13.1%이다. 라니티딘 성분 알비스 잠정 판매중지 조치, 혁신신약 개발 가속화를 위한 R&D 투자비용 증가와 비경상적 비용인 나보타 소송비용,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나보타 해외 수출 감소가 손익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문의약품(ETC) 부문 알비스 잠정판매 중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매출을 회복하며 1,794억원을 달성했다. 다이아벡스가 전년 동기대비 33.4% 증가하는 등 기존 주력 제품인 올메텍, 가스모틴 등이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포시가, 릭시아나 등 주요 도입품목들 또한 매출 상승에 기여했다. 일반의약품(OTC)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한 296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주력제품인 임팩타민이 분기 매출 기준 100억원을 돌파하며 일반의약품 부분의 꾸준한 성장세를 이끌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어려운 사업환경 속에서도 E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이 3,6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22% 줄어든 156억원을 기록했으나 세전이익과 분기순손익은 각각 211억원, 136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한 모습을 보인다. 내수 매출은 백신 사업과 소비자헬스케어 부문이 호조세를 보이며 증가했지만, 선적 일정 변동이 있는 해외사업의 경우 2분기 실적 수치가 예상보다 작게 반영돼 개별 실적이 일시적으로 축소된 모습을 보인다. 실제로 남반구 국가로 수출하는 독감백신 해외 실적은 예년과 달리 1분기와 2분기에 나눠 반영됐다.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수두백신 수출은 선적 일정 조정으로 3분기에 실적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결 기준 분기 수익성 지표를 보면 매출총이익률은 전년 동기보다 1.2% 포인트 개선됐지만, 영업이익률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소비자헬스케어 부문 중심으로 마케팅 성격의 비용이 늘면서 판관비율이 증가한 탓이다. 하지만 2분기 전체 판관비율이 직전분기보다는 2.3% 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GC녹십자와 연결된 종속회사들은 호실적을
30일 동아ST의 2분기 실적이 공개됐다. 1분기에 비해서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하락했으나, 상반기 누적 실적은 성장했다. 2분기 매출액은 1,516억 원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26.4% 감소해 1,116억 원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99억 원이었던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전환돼 -94억 원을, 당기순이익은 86억 원이었던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전환돼 -89억 원을 달성해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 반면 상반기 재무성과로 따지면 상승세를 보인다. 매출액은 2019년 상반기 2,942억 원보다 6.3% 증가해 3,128억 원을, 영업이익은 2019년 상반기 304억 원에서 43.5% 증가해 436억 원을, 당기순이익은 2019년 상반기 309억 원에서 22.7% 증가해 379억 원을 달성했다. 동아ST는 국제 학술지에 임상결과에 대한 논문을 발표한 '슈가논(에이치케이이노엔)', 추가 임상을 통해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그로트로핀',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바르는 손발톱무좀치료제 '주블리아', 라니티딘 이슈와 제휴를 맺은 '스티렌'과 '가스터', '모티리톤'(일동제약) 등이 매출 상승의 주역이라고 밝혔다. 해외수출 부문의 경우 2분기 매출은
동국제약(대표이사 오흥주)이 국립공원공단과 함께 ‘모기∙진드기 예방 캠페인’을 진행하고, 전국 국립공원 주요 등산로에, 모기∙털진드기∙살인진드기 기피제인 ‘디펜스벅스더블’을 탐방객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체험존을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달부터 10월까지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은 ‘탐방객들에게 모기∙진드기 매개 질환의 위험성을 환기시키고, 기피제를 통한 사전 예방의 중요성을 전달하자’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디펜스벅스더블’ 체험존은 전국 국립공원 38개의 주요 탐방지원센터나 등산로 입구 인근에 설치되며, 체험존 위치는 동국제약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체험존에는 캠페인 포스터를 부착해 탐방객들이 쉽게 찾을 수 있게 했고, 캠페인의 취지와 진드기 매개 질환에 대한 예방 수칙이 적힌 질환정보책자도 비치해 이용자들이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 동국제약 담당자는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전국구립공원에는 등산객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며, “대표적인 진드기 매개 질환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참진드기(일명 살인진드기)’는 4월부터 11월까지 왕성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탐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수면 중 이갈이에 대한 연구자 임상결과가 SCI급 저널인 Toxins에 발표됐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연구에서 수면 중 이갈이 환자에게 ‘나보타’를 투여한 결과, 이갈이에 영향을 주는 교근의 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됐다. 교근은 턱의 측면에 있는 저작근 중 하나이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 김성택 교수팀은 수면 중 이갈이에 대한 보툴리눔 톡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나보타’와 위약을 무작위, 이중맹검으로 투약해 위약 대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교근에 ‘나보타’ 또는 위약을 투여한 후 수면 질환의 장애를 측정하는 수면다원평가를 통해 최대한 치아를 꽉 깨물었을 때와 씹는 행동을 반복했을 때 교근에 들어가는 힘의 강도를 근전도로 측정했다. 측정기간은 나보타 투여 직후와 투여 후 4주와 12주가 지난 시점이었다. 평가 결과, ‘나보타’를 투여한 대상이 위약군 대비 교근의 힘이 약해져 씹는 행동과 같은 이갈이 증상이 완화되었고, 이러한 효과는 12주간 유지되었다. 또한, 약물 관련 심각한 이상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수면 이갈이 환자에게 교합안정장치와 함께 보툴리눔 톡신
한국룬드벡㈜(대표 오필수)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맞이하게 된 뉴 노멀(New normal)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한국룬드벡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고자 진행한 ‘New normal 사내 아이디어 공모전’이 지난 23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맞이하게 된 뉴 노멀 시대에 발맞춰 기업의 매출 및 성과를 극대화하고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마련됐다. 임직원이 직접 제출한 아이디어를 통해 업무 환경에 새로운 변화를 준다는 것이다. 지난 6월부터 약 4주간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총 49건의 아이디어가 출품되었다. 제출된 아이디어는 주제 적합성, 실현 가능성, 창의성, 기대 성과 등을 기준으로 종합적으로 평가됐으며, 1차 심사에서 실현 가능한 상위 5개 아이디어를 선별한 후 2차 심사를 거쳐 7월 23일 최종 수상작이 선정됐다. 최우수상(Best Creative상)에는 코로나19로 사회적 교류가 줄어 정신 건강의 중요성이 대두된 현 상황에서 신경정신과 의료진들의 헌신에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릴레이 영상 응원 캠페인을 진행하고, 누적 영상 목표 달성 시 기부금을 전달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