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사이언스가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이후 3분기까지 1조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했다. 한미사이언스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425억원, 영업이익 393억원, 순이익 319억원을 달성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75.2%, 84.8% 상승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1조 129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늘었고, 영업이익 1010억원, 순이익 847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기반을 다져 나가고 있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자는 “3분기 실적은 의약품 유통과 헬스케어 사업 부문의 매출 확대에따른 호실적을 달성했다”며 “전문경영인체제를 기반으로 그룹사 간 유기적인 협업 구조를 강화하고, R&D 및 신사업 중심의 ‘사업형 지주회사’ 모델을 정착시켜 단기간에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한미사이언스는 그룹 시너지 강화와 경영 내실화를 추진하며,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성장 전략을 본격화했다. 김재교 부회장이 총괄하는 이노베이션본부는 ▲파트너십 발굴을 담당하는 C&D(Connect & Development) 전략팀 ▲내부 파이프
한국병원약사회(회장 정경주, 이하 병원약사회)는 오는 11월 19일(수) 오후 2시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2025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김윤·김선민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병원약사회가 주관하는 이번 정책토론회는 정부와 보건의료계, 언론 등이 모여 ‘의료전달체계 변화와 병원약사 역할 강화-국민의 약물치료 안전과 중증·중환자관리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다각적인 논의를 나눌 예정이다. 정부가 최근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권역 책임의료기관의 중환자·중증질환 진료시설 및 장비 확충에 759억원을 지원하는 등 수술실·중환자실 인프라 확충에 나섰다. 또한 의료개혁의 일환으로 중환자 중심의 의료시스템 강화를 위한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중환자실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중증·중환자의 고난도 약물치료 지원을 위한 약사의 전문적인 약물관리, 사용 중재, 자문 역할은 중증환자 치료성과 향상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다. 특히 2010년부터 중환자 분야에서 배출된 민간 및 국가 전문약사는 중증·중환자 치료의 안전과 질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병원약사회는 중증·중환자 진료에 전담약사의 참여가 필수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건선치료제(성분명 리산키주맙, Risankizumab) 바이오시밀러 ‘CKD-704’의 유럽 임상 1상 승인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종근당은 유럽에서 건강한 성인 200여명을 대상으로 CKD-704와 오리지널 품목인 스카이리치와의 약동학적 동등성을 입증하고,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비교하는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리산키주맙은 면역 매개물질 인터루킨(IL)-23의 p19 소단위체(subunit)를 차단해 염증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바이오의약품이다. 판상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종근당 관계자는 “유럽에서 진행될 CKD-704의 임상 1상은 연내 투약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빠른 시일 내에 글로벌 블록버스터 품목인 스카이리치와 약동학적 동등성을 입증해 전세계 염증성 질환 환자들의 치료제 선택의 폭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년 리산키주맙(스카이리치)의 전세계 매출은 16조 4천억원으로, 이 중 건선치료제 시장에서 약 9조 5천억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하며 40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건선 시장에서 약 24%의 점유율
원스글로벌(대표 박경하)은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이 주관한 ‘글로벌 헬스케어 진출 및 카자흐스탄 디지털병원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킴스제약과 함께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한국형 검진센터(오픈헬스케어 코리아 메디컬센터 알마티)’ 오픈식 행사 현장에서 진행됐다. 3사는 병원 건립 및 운영에 필요한 의약품 공급망 및 약품정보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의료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국제 보건의료 협력 강화와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 최근 국내 헬스케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확대되는 가운데, 현지 의료환경에서도 처방·복약 정보의 표준화 및 의료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원스글로벌은 자사가 보유한 의약품 데이터 플랫폼과 헬스케어 솔루션을 현지 병원 시스템에 적용해 표준화된 카자흐스탄 의약품 데이터 제공, 약물관리 체계 구축, 의료데이터 효율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협약은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의 현지 디지털병원 구축 프로젝트에 한국의 제약사와 헬스케어 기술기업이 참여한 사례로, 원스글로벌은 글로벌 의약품 데이터 기술을 통한 해외 헬스케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은 ‘거점의료기관 지정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정책현안분석을 발간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거점의료기관 지정 제도’ 추진 현황 및 이와 유사한 제도인 일본 지역의료지원병원제도의 운영 경험을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형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도 설계의 경우, 우리나라 거점의료기관 제도는 공공 중심의 책임의료기관 및 민간 중심의 포괄2차종합병원 지정 제도로 이원화 해 운영되고 있으며, 책임의료기관과 포괄2차종합병원에 중복 지정된 공공병원도 다수 존재한다. 반면 일본의 거점의료기관은 민간, 공공 여부에 관계 없이 지정될 수 있지만, 도입 초기부터 민간 병원의 지정 비율이 높으며, 현재도 민간병원 중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운영 주체 측면에서 살펴보면, 우리나라 책임의료기관제도 및 포괄2차종합병원 모두 보건복지부가 제도 설계 및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 책임의료기관제도는 지자체의 직접적인 관리 감독을 받는 구조로써 거버넌스도 이원화 돼 있다. 그러나 일본의 지역의료지원병원제도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관리 감독을 받고 있으며, 지역의료계획을 위한 협의체 운영도 지역의사회가 주로 의장을 맡아 민간 병원
㈜동방메디컬(대표이사 김근식)이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바이오메디컬 시장 진출을 본격화함에 따라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동방메디컬에 따르면, 11월 말 칼슘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CaHA) 기반 스킨부스터를 새롭게 출시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소기업 ㈜라비와의 협업을 통해 전자선 조사(E-beam)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폴리감마글루탐산(PGA) 필러 인허가를 준비하는 등 회사는 올 하반기 글로벌 시장에서의 포트폴리오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동방메디컬이 선보일 CaHA 스킨부스터는 즉각적인 볼륨 보충 효과뿐 아니라 콜라겐 생성을 촉진해 피부 질을 장기적으로 개선하는 차세대 피부 리모델링 제품이다. 이는 기존 히알루론산(HA) 필러 중심의 제품군에 ‘지속력·탄력·재생’을 결합한 새로운 성장축으로 평가된다. 회사는 인허가 완료 후, 아시아∙유럽∙남미 시장으로의 단계적 수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회사는 한국과학기술지주(KST)가 출자한 (주)라비와 손잡고 전자선 기반 PGA 필러 인허가를 진행 중이다. 해당 기술은 화학적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공정으로, 기존 대비 잔류 독성 감소 및 생산성 2~3배 향상이 가능하다. 이는 글로벌 미용의료 시장에서 안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올해 하반기 전공의‧의대생 복귀 상황 등을 고려해 내년도 전문의 자격시험 및 레지던트 1년차 선발, 의사 국가시험 시행방안을 수립, 발표했다.보건복지부는 이번 시행방안이 수련 및 교육 현장 의견, 적정한 의료인력 수급 관리, 수련 질 확보, 공정하고 합리적인 시험제도 운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시험 운영상 행정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현장 상황을 반영하되, 역량을 갖춘 전문의 양성을 위해 수련기간 단축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전문의 자격시험 및 레지던트 1년차 모집 먼저, 내년 2월 시행 예정인 전문의 자격시험의 응시자격을 확대한다. 현재는 전공의 수련과정을 내년 5월 말까지 수료 예정인 자가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나, 이를 확대해 내년 8월 말까지 수료 예정인 자도 응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모집 응시자격을 확대한다. 현재는 내년 2월 말까지 인턴 수련을 마칠 수 있는 경우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모집에 지원할 수 있고, 합격 시 3월부터 레지던트 수련을 시작한다. 응시자격이 확대되면 내년 8월 말까지 인턴 수료 예정인 자도 상반기 레지던트 모집에 미리 응시하
시지바이오(CGBIO, 대표 유현승)는 10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밋 더 마스터 인 발리(Meet the Master in Bali 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9일 밝혔다. 본 행사는 발리 ‘뉴룩 클리닉(Nulook Clinic)’과 시지바이오가 공동 주관한 글로벌 의료 심포지엄으로, 유럽·중동·남미 등지에서 온 100여명의 해외 의료진이 참석했다. 17일 오전에는 환자 대상 ‘K-DOCTOR 세미나’가 진행돡, 한국형 저속 노화(Slow Aging) 개념과 지방흡입 시술 후 사후 관리 중심 시술 접근법이 소개됐다. BIO성형외과 유혜미 원장은 “생활 습관, 나이, 시술 후 관리 방법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며 “치료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치료 이후의 관리이며, 이를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슬로우 에이징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장을 찾은 인도네시아 VIP 환자는 “한국까지 가지 않아도 한국 의료진과 직접 상담을 받을 수 있다니 놀랍고, 의료진과의 소통에서 큰 신뢰감을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시지바이오의 에스테틱 자회사 ‘DNC 에스테틱스(DNC Aesthetics)’ 김정희 에스테
알콘은 지난 19일, ‘Alcon SynergEYES - Beyond Vision’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100여명의 국내외 안과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백내장 수술의 최신 임상 지견을 논의하고, 서지컬 혁신 기술을 통한 환자의 시력 회복, 치료 후 만족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의료진의 임상 경험과 전문적 노하우가 공유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노안교정 인공수정체(PCIOL)의 임상적 가치와 환자 삶의 질 향상 가능성을 중심으로 백내장 수술 후 시야의 질 개선과 환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심층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서울아산병원 정호석 교수는 ‘클라레온 비비티(Clareon Vivity)를 통한 치료 옵션 단순화’를 주제로, 비회절형 연속초점 렌즈의 임상 성과와 실제 적용 경험을 공유했다. 비비티는 중간거리 시야에서의 시각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빛 번짐이나 달무리 등의 시각적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인공수정체로, 난시가 있거나 경미한 망막 질환을 동반한 환자 등 폭 넓은 환자군에서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비비티는 원거리에서 생활형 근거리까지 연속적인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환자가 일상
한국얀센(대표이사 크리스찬 로드세스)은 10월 29일 세계 건선의 날을 맞아, 중증 건선과 손발바닥 농포증에 대한 정보를 담은 인포그래픽 2종을 공개했다. 이번 인포그래픽은 중증 건선과 손발바닥 농포증 질환에 대한 인식 제고와 정확한 진단 및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작됐다. 첫 번째 인포그래픽 ‘중증 건선 자세히 알아보기’는 ▲건선의 정의 ▲평가 방법 ▲주요 동반질환과의 연관성 ▲치료 방법 ▲전문 의학 용어 설명 등을 담고 있다. 특히, 세계건선협회연맹(IFPA)이 올해 주최하는 세계 건선의 날 캠페인의 주제가 ‘건선성 질환과 동반질환’인 만큼, 건선성 관절염과 같은 대표적인 동반질환 관련 정보가 비중 있게 포함됐으며, 보건의료전문가의 정확한 진단 및 가이드에 근거한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건선은 면역체계 이상으로 발생하는 전신성 염증질환으로, 홍반, 인설 등 피부 병변 외에도 심리적 스트레스, 사회활동 능력 저하, 합병증 등을 동반할 수 있다. 임상 형태에 따라 판상, 농포성, 물방울 건선 등으로 나뉘며, PASI, BSA 등으로 건선의 중증도를 평가한다. 국내 건선 환자는 약 150만명으로 추정되는데, 이 중 10~
한미약품이 세계적 권위 암 학회에서 신규 파이프라인 ‘EP300 선택적 분해제’를 처음 공개하는 등 다양한 차세대 모달리티 연구 성과를 대거 공개했다. 비만 신약 등 대사질환 분야 신약 외에도 기존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차세대 모달리티 분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글로벌 신약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는 평가다. 한미약품은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암 학술대회 ‘AACR-NCI-EORTC 2025’에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코드명: HM101207) ▲STING mRNA 항암 신약 ▲p53-mRNA 항암 신약 ▲YAP/TAZ-TEAD 저해제 등에 관한 비임상 연구 결과 5건을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화제를 모은 EP300 선택적 분해제는 한미의 신규 모달리티 ‘표적 단백질 분해(TPD)’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항암신약으로, EP300 단백질에 의존하는 암세포 혹은 CBP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원리로 작용한다. EP300과 CB
한국에자이(대표 고홍병)가 오는 11월 6일(목) 오후 3시,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 오르체홀에서 ‘제2회 헬스케어 에코시스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한국에자이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으로서, 환자와 사회의 건강 증진을 위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에 힘써왔다. 지난해 제1회 심포지엄에서는 ‘For Senior, With Partner, To the Future’라는 주제를 통해 헬스케어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과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제2회 심포지엄은 급변하는 헬스케어 환경 속에서 ‘연결(Connecting)’과 ‘확장(Expanding)’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산업 간 융합과 협력의 지혜를 나누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1부에서는 ‘헬스케어 생태계의 연결(Connecting the Healthcare Ecosystem)’을 주제로 정부 지원과제인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스타트업들이 참여해 성공적인 협업 사례를 공유한다. 강남대학교 박영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시니어를 위한 미래 헬스케어 생태계의 방향 모색(Shaping the Future Healthcare Ecosystem for Senior)’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이어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지난 28일 서울 중구 소재 본사에서 ‘제4회 화이자 페이션트 유니버시티(Pfizer Patient University)’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화이자 페이션트 유니버시티는 환자단체 관계자를 위한 교육강좌로, 화이자의 ‘환자 중심’ 비전 하에 환자들이 올바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 여정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보건의료 생태계의 중요한 주체로서 함께 성장해 나가는 데 기여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올해로 4회차를 맞는 화이자 페이션트 유니버시티는 10월 화이자의 글로벌 캠페인인 ‘가치의 날(Values Day)’을 기념해 마련됐다. ‘가치의 날’은 화이자의 핵심 가치(용기, 탁월함, 공정성, 기쁨)를 되새기며, ‘환자 중심 혁신’이라는 기업 목표를 성찰하고 나누는 날이다. ‘환자와 함께 만드는 더 나은 치료의 미래: 환자 중심 임상시험과 실사용증거(Real-World Evidence, RWE)의 가치’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국 및 필리핀 화이자 클러스터 임상 관리 리드 김미영 상무와 ▲한국 화이자 실사용증거팀 리드 정승희 이사가 연사로 나섰다. 특히, 환자가 더 이상 단순한 연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이사 남인봉)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테크 기업 오믹인사이트(OmicInsight, 대표이사 유제관)와 정밀의학 연구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의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 플랫폼과 오믹인사이트의 공간 오믹스(Spatial Omics) 분석 기술을 결합해, 질환 메커니즘을 정밀하게 규명하고 신약개발 초기 단계의 효율을 높이는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오가노이드는 환자 세포로부터 실제 장기 구조를 구현한 3차원 생체 모델로, 질환의 병리적 변화와 약물 반응을 재현할 수 있어 정밀의학 연구의 핵심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의 대규모 PDO 및 hiPSC 유래 뇌 오가노이드 리소스를 오믹인사이트의 초감도 공간 전사체 분석 플랫폼에 연계함으로써, 세포 단위의 유전자 발현과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는 통합 분석 체계가 구축될 예정이다. 이 분석 체계는 공간 분석을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해, 세포 수준의 유전자 반응과 분자 활동을 고해상도로 시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적용성과 확장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
스카이랩스(Sky Labs, 대표 이병환)가 카카오헬스케어(대표 황희)와 반지형 혈압계 ‘카트 비피(CART BP)’의 공급 및 데이터 연동 기반의 혈압 관리 서비스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2022년 양사가 체결한 모바일 기반 만성질환 관리 협력 MoU의 후속 본계약으로, 카카오헬스케어의 AI·빅데이터 기술력과 스카이랩스의 생체신호 기술의 전문성을 결합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카트 비피’는 카카오헬스케어의 건강관리 앱 ‘파스타(Pasta)’와 연동된다. 사용자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혈당·체중은 물론 혈압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카트 비피’가 수집한 24시간 연속 혈압 데이터가 ‘파스타’의 AI 분석 기능과 결합돼 일상 속 혈압 변동성을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가 가능해진다. ‘카트 비피’는 반지형 웨어러블 의료기기로, 기존 혈압계의 커프방식과는 다르게 반지 착용만으로 일상생활은 물론 수면 중에도 24시간 연속으로 혈압을 측정한다. 측정된 혈압 결과는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시간별로 혈압 변화를 확인함과 동시에 ‘혈압 달력’도 만들어줘 개인의 혈압 관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