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재활의학
중환자 치료의 목표가 생존을 넘어 일상 복귀로 확장되면서, 재활은 치료 과정 전반에서 지속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되었습니다. 본 교과서는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표준과 원칙, 다학제 접근의 실제를 한 권에 정리했습니다. 환자의 여정을 기준으로 중환자실 내 조기 재활, 이행기 관리, 지역사회 복귀까지의 흐름에 따라 핵심 주제를 배치하였고, 각 장에는 최신 근거와 실무 지침, 팀 기반 의사소통, 안전 관리 등을 함께 제시했습니다. 의사, 간호사, 물리·작업치료사, 영양 및 정신건강 전문가 등 다양한 직역이 역할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사례, 체크리스트, 권고 수준을 제시했습니다. 교육 현장을 고려하여 필수 도표, 알고리즘, 요점 정리 등을 담은 점도 특징입니다. 편찬 과정에서 용어와 정의, 표기 원칙을 정비하여 챕터 간 일관성을 높였습니다. 국내 제도와 자원 여건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고, 조기 가동, 호흡 재활, 진정·섬망 관리, 연하와 영양, 이행기 재활 처방, 팀 회진, 성과지표와 질 관리 등 서로 연관된 주제를 하나의 경로 안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연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단편적 지식의 나열을 줄이고
- 대한중환자재활학회
- 2025-11-10 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