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대복음병원 방사선종양학과 박경란 교수가 세계유방암학술대회 ‘Global Breast Cancer Conference 2023(이하 GBCC)’에서 ‘우수 포스터 구연상(Good Poster Presentation)’을 수상했다 박경란 교수는 임상욱 교수와 함께한 유방 전체 조사 시 유방의 해부학적 변화를 위한 적응 방사선 요법 (Adaptive radiotherapy for anatomical change of the breast during whole breast irradiation) 에 대한 연구로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박 교수는 “세계적으로 명망 높은 유방암 권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의미 있는 상을 주셔서 감사하다”라며 “앞으로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치료의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의료진이 되도록 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박경란 교수는 하버드 의대 연구강사와 미국 MD 앤더슨 암센터 연구원, 이화여대 목동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국내 방사선 종양학 분야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은 이비인후과 백정환 교수가 ‘3D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맞춤형 가이던스를 이용한 하악 재건술’을 통해 구강암의 광범위 절제 후 비골 유리 피판술을 통한 하악 재건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구강암은 입술, 혀, 볼, 잇몸 등에 발생하는 암이다. 전체 암 환자에서 보면 드물게 발생하지만, 전이와 주변 조직의 침범이 빈발해 환자의 예후가 매우 나쁘다. 암의 발생 위치가 먹고 말하고 숨을 쉬는데 중요한 부위이기 때문에, 암과 환자의 특성에 따라 정밀한 수술 기술이 필수적이다. 특히 구강암이 하악골에 침범하는 경우는 암의 제거를 위한 수술만도 쉽지 않지만, 저작과 연하 기능을 보존하면서 안면 부위의 미용적인 부분까지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고난도의 하악 재건술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아주 중요한 요소다. 기존 하악 재건술은 단순 CT 영상 정보로 수술을 진행해, 수술 시간이 길고 기능 보존을 위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백 교수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3D 컴퓨터 시물레이션과 맞춤형 가이던스를 통한 하악 재건술을 개발하고 환자에 적용했다. 이 기술은 수술 전 환자의 CT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컴퓨터 SW에서 가상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방수영 교수가 한국중독정신의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방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한 환경적 변화가 청소년 인터넷 게임 사용량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로 이 상을 받았다. 특히, 청소년 2032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학교에 갈 수 없었던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물론 인터넷 게임 중독위험률도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수영 교수는 “코로나19를 겪으며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사용 시간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지만 이제는 일상 회복에 맞춰 청소년의 게임 중독 예방과 회복을 위한 다양한 대안 활동과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청소년들이 가장 가까운 부모와 친구들과의 관계 회복과 더불어 학교와 지역사회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과 인터넷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정형외과 조성탄 교수가 지난 3일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척추외과학회(Asia Pacific Spine Society, APSS)에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척추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스파인(Spine) 5월호에 게재된 ‘경추척수증 환자의 경추체 전방 전위 절골술 장기 추시 결과(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이동호 교수팀 공동연구)가 우수 연구로 평가받은 것으로, 특히 5년 이상 경추체 전방 전위 절골술 환자를 분석해 수술의 안전성과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조성탄 교수는 이번 학회에서 추가로 3편의 연구결과를 발표했으며, 대한척추외과학술지(asian spine journal) 최우수 학술논문상도 동시에 수상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김영훈 교수가 최근 더케이호텔서울에서 열린 제75차 대한의사협회 정기대의원총회 개회식에서 제30회 기초의학신진학술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김영훈 교수가 최근 국제학술지 ‘Gastric Cancer(IF=7.7)’에 발표한 ‘줄기세포성의 변화가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양성 위암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위암 사이의 상호 배타성 유발‘(Alteration in stemness causes exclusivity between Epstein-Barr virus-positivity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status in gastric cancer’ 연구 성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면서 이뤄지게 됐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실험실 환경에서 두 가지 분자적 특성을 동시에 지닌 위암세포주를 제작해 분석함으로써 두 가지 위암이 유사한 후성유전자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임상에서 상호배타적으로 존재하는 원인을 규명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기초의학신진학술상은 기초의학 전공자를 양성하고, 기초의학 연구발전을 통해 의학교육의 균형 있는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의협이 제정한 상으로, 500만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된
*일시: 2023년 6월 11일 (일) 15시 30분, *장소: 더리버사이드호텔 콘서트홀
*7일 *빈소 서울성모병원, *발인 5월10일 *(02)2258-5940
제주대학교병원 제8대 병원장에 영상의학과 최국명 교수(60, 전 진료처장)가 신임 병원장으로 임명됐다. 신임 최국명 병원장의 임기는 2023년 5월 10일부터 오는 2026년 5월 9일까지 3년이다. 최국명 병원장은 진주 출신으로 진주고와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 후 2001년부터 제주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국명 병원장은 영상의학과 복부 진단 분야의 권위자로서 제주대학교 교무부처장, 제주대학교병원 진료처장, 영상의학과장 등 학교와 병원의 주요 보직을 고루 역임했다. 대외적으로는 대한영상의학과, 대한복부영상의학과,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학교법인 인제학원▲상임이사 백대욱 <2023년 4월 27일자>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환자경험관리센터장 윤병남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진료부원장 김원 <2023년 5월 1일자>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윤을식) 윤을식 의무부총장이 최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열린 ‘제6차 대한수련병원협의회 심포지엄 및 정기총회’에서 제4대 대한수련병원협의회 회장에 선출됐다. 1964년생으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윤을식 의무부총장은 고려대 안산병원 교육수련위원장, 의료원 의무기획부처장, 안암병원 진료부원장, 제30대 안암병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 3월부터는 제17대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직을 수행하고 있어 전공의 수련교육 및 수련환경 개선을 이끌 적임자로 인정받아 제4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윤을식 회장의 임기는 2023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다. 윤을식 신임 회장은 “지난 1년간 대한수련병원협의회를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이끌어 주신 전임 정승용 회장님께 진심으로 존경과 고마움을 전하며, 이를 잇게 돼 막중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느낀다”며, “세대가 바뀌고 환경이 바뀌면서 수련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생긴 만큼, 수련병원들이 겪는 고충 및 전공의들의 교육수련 환경 개선을 위해 임기 동안 책임감을 갖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전공의 수련을 맡고 있는 전국의 수련병원장들이 정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유방암 연구팀이 지난 4월 27~29일 동안 진행된 그랜드 워커힐 서울호텔에서 개최된 세계유방암학술대회 2023(Global Breast Cancer Conference)에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의 연구 주제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DEL-1의 하위물질과 치료타겟으로써의 MELK연구 (EXPLORATION OF MELK AS A DOWNSTREAM OF DEL-1 & DRUGGABLE TARGET IN TNBC)’이며, 교신저자와 공동 1저자로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채의수 교수와 이수정 교수가 참여했다. 연구팀의 주제인 ‘MELK’는 모체 배아 류신 지퍼 키나아제로 몇몇 암종에서 불량한 예후와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져 있는 물질이다. 이날 혈액종양내과 이인희 교수는 구연에서 항암제 선택의 폭이 좁고 예후가 불량한 삼중음성유방암에서 ‘MELK’의 발현 및 억제를 세포주와 종양 조직에서 확인함과 동시에 ‘MELK’가 삼중음성유방암의 치료 타겟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인희 교수는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삼중음성유방암에서 치료타겟으로 가능성이 있는 ‘MELK’에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한승엽 신장내과 교수가 지난 4월 27일에 개최된 국제학술대회(KSN 2023)에서 제39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한승엽 교수는 대한신장학회의 주요 회의들을 주관하고, 국제학술대회 의장 등으로 활동하게 된다. 임기는 2023년 5월부터 1년이다. 한승엽 교수는 계명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동 대학 내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신장내과 분과장, 심사실장, 의료질 관리실장을 역임했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문자문의원, 의료기관인증원 자원조사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또한, 대한신장학회에서 학술, 윤리, 간행 위원, 일반이사, 수련-교육이사, 신장학회지 부편집장, 대구-경북 지회장으로 활동했으며, 신장이식과 만성콩팥병의 권위자로 국제전문학술지 80편을 포함한 1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승엽 교수는 “대한신장학회는 코로나19의 격랑을 겪으면서도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미래를 바라보며 세계로 발전하고, 국민에게 다가가는 신장학회가 되도록 미력한 힘을 보태겠다. 또한, 회원들과 소통하고 섬김의 자세로 신장학회가 균형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