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나리아바이오가 다국적제약사 BMS 출신 Sri Jada 박사를 의약학 개발본부장 (Head of Medical Affair) 으로 영입하며 상업화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Jada 박사는 다국적 제약사인 BMS, MSD, 머크, 그리고 아스트라제네카에서 의약학 전담조직인 Medical Affair팀의 팀장으로 니볼루맙 등 여러 제품의 런칭을 담당했다. 카나리아바이오는 글로벌 임상3상 환자모집이 마무리 단계에 진입하면서 상업화 조직을 신설하고 있다. 의약학 개발본부 (Medical Affair) 팀의 기능은 연구개발과 상업화 부서 간의 내부적 소통, 회사와 외부 이해 관계자 간의 외부소통, 마케팅 임상전략 수립, 전문가 및 공공 교육, 그리고 환우회와의 협력 등으로 외부소통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Jada박사는 BMS에서 카나리아바이오와 공동임상연구를 주도한 인물이다. BMS의 면역관문제 니볼루맙과 카나리아바이오의 오레고보맙의 병용투여 임상을 진행했다. Jada 박사는 “오레고보맙은 임상2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 (PFS)를 30개월이나 늘리는 고무적인 결과를 보였다. BMS 재직 당시 카나리아바이오와 공동연구를 진행하면서 오레고보맙의 가능성을 보고 카나리아바
이대관 치과의사 장인상*23일, *빈소 삼성서울병원, *발인 10월25일, *(02)3410-6914
*과장급 임용▲장관 정책보좌관 박재준
차 의과학대학교 의료홍보미디어학과 학생들로 구성된 ‘컬쳐노크’(김다솔, 이학범, 이현규, 이민정, 유승현, 홍정현)의 ‘컬쳐 노크 아파트(Culture Knock Apartment)’가 2022 코리아 메타버스 어워드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창작자 부문)을 수상했다. ‘컬쳐노크 아파트’는 국내 출생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정체성을 찾고 포천 시민의 다문화 감수성을 제고하는 다양한 가정의 모습을 담아낸 옴니버스 형식의 인터렉티브 다큐멘터리다. 컬쳐노크 팀원들이 포천시 가족센터에서 주선한 다문화 가정 친구들과의 대화를 계기로 컨텐츠를 기획, 한국 사회의 왜곡된 시선과 다문화 청소년의 억압된 이중문화 정체성을 해소하기 위해 제작했다. 컬쳐노크 대표 김다솔 학생은 “이중국적을 가진 자녀들이 대부분 이주민 여성인 어머니의 나라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르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라며 “메타버스 기반 콘텐츠를 통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가족과 돈독해지고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 이중국적의 혼란을 줄이고 우리 사회의 일원이라는 자긍심을 갖도록 하고자 이 같은 콘텐츠를 기획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대회에서 ‘컬쳐노크 아파트’는 다문화 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