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대표 김재은, 이하 퍼스트바이오)는 항암제 등 차세대 치료제 개발을 위한 표적 단백질 분해(Target Protein Degradation, TPD) 기술 전문가 이상현 부사장을 영입하고, TPD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신약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TPD 연구센터를 신설해, TPD 및 그 파생 기술을 통한 신약개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이상현 부사장은 텍사스 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분자 세포 생물학) 취득 후, 미국의 인사이트(Incyte)를 거쳐 2018년 세계 최고 수준의 TPD 기술을 갖춘 아비나스(Arvinas)에 합류했다. 첫 한국인 직원으로 알려진 그는 아비나스에서 항암 신약팀을 이끌며 프로탁(PROTAC)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을 활용해 다수의 전임상시험 단계 후보물질 발굴을 주도했다. 이후 프렐류드 테라퓨틱스(Prelude Therapeutics)로 옮겨 최근까지 최신 TPD 후보물질의 전임상 개발을 이끌었다. 이상현 부사장은 신설된 TPD 연구 센터장으로서, TPD 기반의 치료제 개발을 주도할 예정이다. TPD 기술은 질병 유발 단백질을 분해·제거함으로써, 단백질 활성 조절에 그치는
한국팜비오(회장 남봉길)가 ‘충청북도 우수장수기업’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열린 ‘제18회 충청북도 기업인의 날’에서 한국팜비오가 ‘충청북도 우수장수기업’에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우수 장수기업’선정은 충청북도에 사업장을 두고 20년 이상 활동한 기업을 대상으로, 고용 창출 등 지역사회 공헌 및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한 도내 유망 장수기업을 심사해 선정한다. 수상기업에게는 중소기업 정책자금 우대 지원, 해외 전시·박람회 참가 지원, 세무공무원 질문·검사권 유예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한국팜비오는 충청북도내에서 업력이 올해 20년째로 타 기업에 비해 업력은 짧지만 기업 경영과 사회적 기여부분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한국팜비오는 연평균 15%의 매출신장을 달성했고 매년 60만달러 이상 로열티를 지불 받는 조건의 기술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충주시로부터 고용증대, 노사협력 등 근로환경과 사내복지가 우수한 기업에 시상하는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지역사회 공헌 및 경제 활성화에 앞장서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남봉길 회장은 “한국팜비오는 기업의 성장과 동시에 지역 경제 발전을 중요한 가치로 삼았다.”며 “이번 수상으로 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에 이명수 前 국회의원이 임명됐다. 신임 이명수 이사장은 제18~21대 국회의원으로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및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으로 2024년 10월 28일부터 2027년 10월 27일까지 3년간 임기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명수 이사장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국내 보건산업 발전과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의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 도약을 위해 역할을 다 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신임 이사장 임명은 관련 법령에 따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임원추천위원회의 서류, 면접심사를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이 임명하는 절차로 진행됐다.
양산부산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주민호 교수가 비수도권 최초로 최신형 좌심실 보조 장치 ‘HeartMate 3(HM3) Proctor’로 선정됐다. ‘HM3 Proctor’는 HeartMate 3 장치의 사용법과 수술 절차를 교육하고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는 해당 분야의 최고 전문가에게 부여되는 중요한 직책이다. 이번 선정은 양산부산대병원이 LVAD(좌심실 보조 장치) 수술 분야에서 국내 선도적인 병원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주민호 교수는 ”이번 HM3 Proctor 지정은 양산부산대병원이 심장 보조 장치와 심장이식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심부전 환자들에게 최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일시 2024년 11월 23일 (토) 14시, *장소 성균관컨벤션웨딩홀 3층
*26일, *빈소 해운대백병원 장례식장 107호, *발인 10월 28일
*26일, *발인 10월 30일, *빈소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7호실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김민영)는 한국ESG기준원의 ‘2024년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평가’에서 처음으로 A+ 통합등급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그룹사인 동아에스티, 에스티팜도 A 통합등급을 받았다. 한국ESG기준원은 매년 국내 상장사 및 기업을 대상으로 ESG관련 경영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S(탁월)부터 A+(매우 우수), A(우수), B+(양호), B(보통), C(취약), D(매우 취약)까지 7개 등급으로 평가한다. 동아쏘시오그룹은 유가증권시장에 그룹 지주사인 동아쏘시오홀딩스, 전문의약품 사업회사 동아에스티가, 코스닥시장에는 원료의약품 사업회사 에스티팜이 상장돼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통합등급에서 전년대비 한 단계 높은 A+ 평가를 받았다. 환경 부문은 B+에서 A로 등급이 올랐다. 지배구조 부문도 A에서 A+로 상향됐다. 사회 부문은 A+ 등급을 받았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환경경영시스템 ISO 14001 인증을 획득하며 환경경영체계를 구축했고,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주주환원정책 수립 및 ESG위원회를 설립해 ESG활동을 강화했다. 동아에스티는 4년 연속 통합 A등급을 획득했다. 환경 부문에서는 B+에서 A로 한 등급 상승했으며, 사회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는 하창우 본부장을 외과 및 에스테틱사업본부장으로 영입했다고 25일 밝혔다. 하창우 본부장은 25년 이상의 다양한 경력을 보유한 헬스케어 영업마케팅 전문가로, 이번 영입을 통해 시지바이오는 줄기세포를 포함한 미용성형 신사업과 기존 외과 사업을 더욱 강화해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하창우 본부장은 성균관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한 후, 동아제약에서 병원사업부 과장을 시작으로 박스터에서 바이오서저리 본부장을 역임하며 고급 지혈제 시장을 개척하고, 동화약품에서는 종병사업부장으로 필름형 유착방지제의 매출을 성공적으로 반등시키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해 왔다. 특히, 휴젤에서는 국내사업부를 총괄하며 미용 시장 내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하창우 본부장은 유착방지제 메디클로(MEDICLORE), 손상된 연조직을 재건하는 퍼티형 피부이식재 시지리알로퍼티(CG REALLO PUTTY)와 시트형 피부이식재 시지덤 원스텝(CGDERM ONESTEP), 향후 출시 예정인 지혈제 등 외과 수술 재료들의 시장 확장을 담당한다. 이식용 인공피부 티슈덤(Tissue Der
*일시 11월 16일 (토) 14시, *장소 보테가마지오 G층(B2) 로스타뇨홀
*23일, *빈소 울산대병원, *발인 10월25일, *(052)250-8444
지난 21일, 제79주년 경찰의 날을 맞이해 한국유나이티드제약 강덕영 대표이사가 경찰청장 감사장을 수상했다. 강덕영 대표이사는 평소 경찰을 이해하고 적극 협조해왔으며, 경찰행정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조지호 경찰청장으로부터 감사장을 수여받았다.
휴온스그룹 휴메딕스가 충청북도에서 고용 안정 및 지역경제 활성화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지난 22일 열린 ‘제 18회 충청북도 기업인의 날’ 행사에서 충청북도 ‘고용우수기업’과 ‘품질경영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충청북도는 일자리 창출과 고용안정에 기여한 우수기업과 품질경영 혁신을 통한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우수기업을 선정해 인증서와 인증패를 수여하고 있다. 휴메딕스는 바이알, 앰플, 사전충전(프리필드) 제형 등 전문의약품과 에스테틱 분야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제천 바이오밸리 내 제 2공장을 증설하며 지속적인 고용 창출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휴메딕스는 주요 심사 기준인 ▲경력단절여성, 장애인력 등 취약계층에 대한 정규직 채용 등 안정적이고 동등한 취업 기회 제공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 대학과 채용연계형 인턴제 운영 ▲일과 가정양립을 위한 기업문화 및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품질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제품질규격 인증 획득과 산업재산권 등록 우수 ▲ESG 경영실천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제품의 품질혁신 업무수행 우수 등에 대한 종합 평가를 거쳤다. 그 결과 ‘고용우수기업’과 ‘품질경영 우수
*빈소 봉화장례식장 1호, *발인 10월 24일, *054-673-0061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과 대한약학회(회장 이미옥)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제55회 ‘한독학술대상’ 수상자가 선정됐다. 올해 수상자는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문애리 교수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정낙신 교수 총 2명이다. ‘한독학술대상’은 한독과 대한약학회가 1970년 공동 제정한 상으로 약학 분야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15년 이상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고 활발한 활동을 통해 한국 약학 발전에 헌신하고 있는 연구자를 선정해 수여한다. 문애리 교수는 유방암 전이 분자기전 연구에 매진하며 암 악성화 신호전달 규명에 기여했다. 국가지정연구실(NRL),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중점연구소 사업 등에 참여해 전이 제어 신약개발 연구를 이끌었다. 특히 표적치료제가 없는 삼중음성유방암 타겟발굴 연구를 주도해 ‘Cancer Research’, ‘Autophagy’ 등 세계 유수 저널에 발표했다. 또 한국인 최초로 UN 과학기술전문가 10인 그룹에 선정돼 한국 약학 위상을 높이고, 후학 양성을 위해 힘쓰는 등 약학 발전에 기여했다. 현재 문 교수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정낙신 교수는 변형 핵산 분야에서 독창적인 연구 성과를 거뒀으며,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