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류마티스내과와 한국 쇼그렌증후군 환우회는 오는 4월 27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 아주대병원 본관 지하 1층 아주홀에서 쇼그렌증후군 극복을 위한 ‘제3회 오아시스 캠페인’ 시민강좌를 개최한다. ‘오아시스 캠페인’은 쇼그렌증후군 환자와 보호자가 질병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다른 환자들과 친목을 도모하며 좋은 정보를 교환하는 유익한 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캠페인이다. ‘쇼그렌증후군’은 우리 몸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면역체계에 문제가 생겨 자신의 몸을 스스로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눈물샘, 침샘과 같은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침윤해 발생한다. 쇼그렌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구강건조와 안구건조다. 이번 시민강좌는 △쇼그렌증후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류마티스내과 김현아 교수) △쇼그렌증후군의 약물 및 자기관리(류마티스내과 정주양 교수) △쇼그렌증후군의 구강증상 및 대처방법(치과교정과 강정현 교수) 등의 강의가 진행된다. 쇼그렌증후군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은 누구나 무료로 강좌에 참가할 수 있다.
대한의사협회와 한국화이자제약은 제 14회 ‘대한의사협회 화이자 국제협력공로상’ 수상자로 배순희 원장(미즈앤미여성의원)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시상식은 오는 4월 28일(일) 대한의사협회 제71차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총 2천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대한의사협회 화이자 국제협력공로상’은 대한의사협회와 한국화이자제약이 공동으로 제정한 상으로, 보건 의료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통해 국위 선양에 기여한 의료인을 발굴·격려하고 국내 의료인들의 국제 활동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배순희 원장은 2008년부터 대한의사협회 국제협력위원으로서 세계의사회(WMA), 아시아오세아니아의사회연맹(CMAAO)과 같은 주요 국제회의에 참여하여 국제협력을 도모하고, 지난 2008년 세계의사회 서울 총회의 총책임 운영위원으로 활동하며 총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해 한국의 국위선양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또한 서울에서 개최한 2013년 세계여자의사회 국제학술대회의 문화행사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국제학회의 성공과 더불어 세계여자의사회 내에서 한국여자의사회의 위상을 드높인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이와 더불어 배순희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재활의학과 권동락 교수팀(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권동락‧박기영 교수, 해부학교실 문용석 교수 /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이상철 교수 / 포항공대 창의IT융합공학과 장진아 교수)은 지난 4월 6일(토) 강남세브란스병원 대강당에서 개최된 2019년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회전근개 전층 파열 토끼 모델에서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와 삼차원 생체 프린팅 스케폴드의 병합 상승효과’라는 논문을 발표해 ‘최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권동락 교수팀은 실험적으로 18마리의 토끼에 회전근개 전층파열을 유발한 후 6주 경과 뒤 만성 전층 파열이 성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하고, 18마리를 무작위로 6마리씩 3개의 군으로 배정하였다. 1군은 생리식염수 주사군(대조군), 2군은 제대혈유래 줄기세포 0.2ml치료군, 3군은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와 삼차원 생체 프린팅 스케폴드 병합 치료군으로 각각 배정해 주사 후 4주째 육안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3군에서 치료 4주째 평가한 회전근개 파열의 회복이 다른 두 군에 비해 탁월하게 변화되어 회전근개가 재생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군은 조직학적 소
제주대학교병원은 “The Korean Journal of Interanl Medicine (KJIM) 33권 5호 (9월호)에 게재 되었던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주승재) 감염내과 유정래 교수, 허상택 교수의 ‘Painful erythematous nodules in the left finger pads’ 논문의 내용이 우수하고 의학발전에 기여한바가 크다는 평가를 받아 지난 3월 2018년 하반기 대한내과학회 우수임상화보로 선정되었다.”고 15일 밝혔다.
울산대학교병원(병원장 정융기)은 권역호스피스센터 개소식을 지난 12일 오후 4시 울산현대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융기 울산대병원장을 비롯해, 고수진 울산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장, 민영주 울산대학교병원 암생존자지지센터장, 강정훈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부울경 지회장, 김숙남 부산시 완화케어센터장, 백승완 부산보훈병원장, 최윤선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이사장, 울산시청 시민건강과 관계자, 부산시청 건강정책과 팀장 및 권역 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 16개 관계자 등 내외빈 80여명이 참석해 울산 권역호스피스센터 개소를 축하했다. 행사는 ▲개회사 ▲권역호스피스센터 사업소개 ▲현판 전달식 및 리본 커팅 ▲권역 호스피스완화의료전문기관 간담회 순으로 이어졌다. 앞으로 울산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는 해당 권역(울산, 부산, 경남) 내 호스피스전문기관의 역량강화를 위한 자문 및 의료지원과 함께 교육, 홍보, 연구 등에 대한 행정지원 등 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고난이도 시술 및 환자 전원체계 지침 개발과 커뮤니티 중심의 생애말기돌봄의 기반을 조성을 통해 고령 사회에 필요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울산대학교병원은 지난 2013년 ‘입
건양대병원(의료원장 최원준) 외과 최인석 교수(로봇수술센터장)가 중부권 최초로 담도암 환자에게 로봇 휘플수술을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휘플수술(Whipple operation, 췌십이지장절제술)은 담도암, 췌장두부암, 팽대부암, 십이지장암 등 팽대부 주위에서 발생하는 종양에 주로 적용되는 수술이다. 담도암으로 진단받은 50대 남성에게 로봇 휘플수술을 시도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것으로, 환자는 수술 후 순조롭게 회복되어 퇴원했다. 장의 일부, 담낭, 담도, 십이지장, 췌장두부 및 소장 일부분을 절제하고 남은 췌장과 담도, 위장에 소장을 문합하는 외과 수술 중 가장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수술로 ‘외과 수술의 꽃’이라고 불린다. 휘플수술은 개복수술로도 쉽지 않은 고난도의 수술이지만 최근 복강경 또는 로봇을 이용한 미세침습수술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미세침습수술의 경우 절개창이 작아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특히 로봇수술의 경우 복강경 수술과 비교하여 췌장 및 담도와 소장과의 문합에 용이한 장점이 있어 문합부와 관련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인석 교수는 “휘플수술은 광범위한 절제로 인해 합병증 발생위험이
이창호 前한국오츠카제약 전무 차녀 주희 양이 화촉을 밝힌다. *5월 19일(일) 낮 12시 30분, * 장소 드레스 가든
*13일, *빈소 조선대병원, *발인 4월16일, *(062)231-8901
*13일, *빈소 부산 좋은강안병원, *발인 4월16일, *(051)610-9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