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가 오는 14일 오후 2시 국립암센터 국가암예방검진동 8층 대강의실에서 '북한의료: 새로운 교류와 협력' 주제로 의생명과학포럼을 실시한다. 의생명과학포럼은 우리나라 의생명과학 발전에 기여해 온 국립암센터가 개최하는 전문가 포럼으로, 의생명과학 분야 최근 트렌드 및 이슈에 대해 최고 수준의 전문가를 모시고 지식공유 및 토론의 장을 마련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북한의 보건의료 현황 및 남북의료의 차이점에 대해 이해하고, 발전적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부적으로 ▲준비된 상생의 미래: 소아청소년 보건의료와 R&D를 중심으로(신희영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경험을 토대로 한 창조적 협력: 감염성 질환을 중심으로(기모란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 ▲장기적 협력의 방안: 만성질환과 북한의학연구를 중심으로(김신곤 고려대학교안암병원 교수)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류협력: 북한 질병관과 건강행태(박상민 서울대학교암병원 교수) ▲남북한 사회격차와 사회보장의 과제(조성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일사회보장연수센터장)에 대한 강의 · 토론이 이어진다. 김대용 국가암관리사업본부장은 "북한의 보건의료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반으로 감염병뿐만 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김남규 교수(대장항문외과)가 지난 8월 29일부터 9월 1일까지 영국 런던 킹스 컬리지 부시 하우스에서 열린 29차 세계 대장 항문 외과 학회에서 'Jae-Gahb Park for outstanding contribution of colon and rectal surgery award'를 받았다고 연세의료원이 전했다. 이 상은 대장암 치료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서울대 박재갑 명예교수(국립암센터 초대 원장)가 대장항문 외과 분야에 기여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됐으며, 2년마다 해당 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세운 의학자에게 수여된다. 김 교수는 첫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김 교수는 상패 · 상장을 받았으며 수상기념 강연을 통해 학회 참석자들에게 하부 직장암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노하우를 전달했다. 김 교수는 그간 우리나라 해당 학문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한 대한 대장항문학회의 추천으로 상을 받게 됐다.
대한의사협회가 오는 9월10일 오전 9시에 임시회관이 있는 서울 용산 삼구빌딩 7층에서 ‘전근대적 대한민국 의료의 정상화 선언’을 주제로 대한방 관련 기자회견을 갖는다.
전남대학교병원은 “심혈관계 융합연구센터의 기해진 연구교수가 최근 국제학회에서 최우수포스터 발표자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기해진 교수는 지난 1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제7차 국제지질동맥경화학회 및 제56차 한국지질동맥경화 학회에서 고혈압동물에 HDAC 억제제를 이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기해진 교수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클래스 I에 선택적인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class I histone deacetylase·HDAC) 억제제인 MS-275가 안지오텐신으로 유도한 고혈압 동물모델에서 혈관재형성과 염증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기해진 교수는 HDAC 억제제를 이용해 심근비대증·심근섬유증·동맥경화증·고혈압·심부전증에 대한 세계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Circulation’·‘Circulation Research’·‘Scientific Reports’ 등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대한심장학회 젊은 연구자상 및 전남대병원 우수연구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 심혈관계 관련 연구 수준을 제고시키는데 기여했으며, 전남대병원의 위상을 드높이는데도 한 몫 했다. 또한 이번 학회에서 한국지질동맥
신신제약(대표이사 김한기)은 6일 창립 59주년을 맞아 판교 본사에서 기념식을 가지고 장기근속자 및 우수사원 포상 등 행사를 진행했다고 7일 전했다. 이병기 대표는 이날 기념사를 통해 “신신제약의 자랑스러운 59년의 역사를 열어주신 창업주 이영수 회장과 선배 임직원들, 오늘도 신신제약의 발전을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는 현 임직원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신신제약은 그동안 우리가 잘해왔던 OTC 시장에서의 제품 라인업 강화 및 유통 및 수출의 판매 채널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며, 2020년에는 수면 유도, 요실금, 천식, 전립선 비대증 패치 등의 제품 개발과 출시 등을 통하여 ETC 고부가가치 패치제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서 장기근속자와 우수사원에 대한 포상을 실시해 생산부 김민주 사원(20년 근속상)을 비롯해 총 16명의 직원이 근속상을 수상했으며, 공로상에는 영업부 김형섭 차장을 비롯한 총 10명이, 상공회의소상에서는 연구소 정지선 책임연구원을 비롯한 총 2명이 수상했다. 또한 업무 개선 및 회사 발전에 공헌을 한 팀에게 돌아가는 ‘특별상’에는 ‘프로젝트 파스팀’이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