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식 스스로 치료하기 개정판이 최근 출간됐다. 1993년 출간 이래 세계 각국에서 수많은 섭식장애 환자들에게 회복의 길잡이가 되어 온 책이다. 이 책은 섭식장애의 자가 인지행동 치료법에 관한 책들 중 가장 이해가 쉽고 실질적인 조언이 담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정판은 울리케 슈미트(Ulrike Schmidt)ㆍ자넷 트레저(Janet Treasure)ㆍ준 알렉산더(June Alexander)가 공동으로 집필했으며, 김율리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모즐리회복센터 소장)와 강희찬 백상신경정신과 원장(백상식이장애센터 소장)이 국내 독자들이 실제 적용하기 쉽도록 옮겼다. 책에는 ▲치료일기 쓰는 요령 ▲최적의 체중과 체형 갖기 ▲새로운 식습관에 익숙해지는 방법 ▲어떻게 폭식을 멈출 것인가 ▲다양한 체중 조절법의 진실 ▲내 몸에 친숙해지기 ▲ 고립된 생활에서 벗어나기 ▲죄책감과 자기 비난에 대처하기 등 어떻게 하면 섭식장애를 이겨낼 수 있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과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폭식증 치료에 가장 효과적 기법으로 권장되는 인지행동치료의 핵심이 농축되어 있어, 독자를 섭식장애에서 회복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으로 무장시켜서 회복의 여정을 돕는다.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지난 9월 3일(월)부터 이비인후과 이상흔 교수가 석좌교수로 부임하여 진료를 시작했다.”고 7일 전했다. 이명, 인공와우, 중이염분야에서 명의로 소문난 이상흔 교수는 경북대학교병원장(2015- 2018), 경북대학교 의무부총장(2010-2012)과 대구보훈병원장(2013-2017)등을 역임한 바 있다. 학회활동으로 대한청각학회 회장, 대한이비인후과 학회장과 아시아-태평양 인공와우학회 회장을 맡아 할동했다. 2009년 2월에는 EBS 명의 ‘소리를 찾아드립니다’에 출연했다. 이상흔 교수는 2004년부터 보청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완전 이식형 보청기를 경북대학교팀과 개발 연구 중에 있으며 향후 임상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이상흔 교수는 “새롭게 몸담는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환자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 봉사하겠다.”고 전했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된 사상 첫 제약․바이오산업 채용박람회에 박능후 장관이 방문하여 제약바이오 기업과 구직자를 격려한다.”고 밝혔다. 박능후 장관은 개막식 축사에서 “제약․바이오 산업 채용박람회가 기업에게는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여 산업의 미래를 밝힐 수 있고,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자신의 꿈을 이룰 기업을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사상 첫 채용 박람회를 축하할 계획이다. 박 장관은 “이번 행사를 통해 제약바이오산업의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고, 우수한 제약바이오기업과 재능있는 청년구직자들의 만남이 활성화되어 청년 실업 극복의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관계자를 격려할 예정이다.◇ 일시 및 장소 : ’18. 9. 7(금) 9:00 ~ 17:00,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 주최·주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한국제약바이오협회 ◇ 후원 : 일자리위원회,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 참가기업 : 유한양행, GC녹십자, 보령제약,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주요제약기업 48여개사
이대목동병원 신장내과가 오는 20일 오후 2시부터 3시 30분까지 병원 2층 대회의실에서 '만성콩팥병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만성콩팥병과 고혈압, 당뇨’를 주제로 한 이번 건강강좌에서는 ▲만성콩팥병과 고혈압, 당뇨(류동열 신장내과 교수) ▲만성콩팥병과 스트레스 관리하기(김현희 의료사회복지사) ▲만성콩팥병과 영양(강병진 영양사) 등의 강연이 진행된다. 무료로 진행되는 이번 건강강좌에는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이대목동병원 신장센터(02-2650-5132)로 문의하면 된다.
가족력만 있는 경우 남성 탈모위험이 약 4배, 수면무호흡까지 있는 경우에는 일반인보다 7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 신철 교수 연구팀이 남성 932명 중 탈모증으로 진단된 환자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 연구한 결과, 수면무호흡이 있고 탈모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 7배 탈모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6일 전했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 또는 남성 탈모증을 가진 사람은 철분의 이동을 담당하는 혈청 트랜스페린 포화도가 정상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문에 모공의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탈모를 촉진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신 교수는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무호흡 증상은 모낭 세포에 직접 필요한 산소 공급뿐만 아니라 철분을 비롯한 영양 공급에도 영향을 미쳐 탈모증을 야기할 수 있다."며, "수면무호흡 증상이 만성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면 현대인 남성에게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는 탈모증의 위험에도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했다.수면무호흡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으로, 이로 인해 신체에 정상적인 산소공급이 되지 않는 질병을 의미하며,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림증
*6일, *빈소 삼성서울병원, *발인 9월8일, *(02)3410-6912
치매 환자를 이해하고, 치매를 예방하고, 이미 진행된 치매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알려주는 인지예술치료 가이드북이 출간됐다. 한양대학교 명지병원 백세총명치매관리센터가 6일 출간한 '뇌 건강 인지예술치료 백세까지 총명하게'(힐링앤북 刊, 284쪽)는 치매 환자를 위한 인지예술치료의 이론과 실기 프로그램을 소개한 책이다. 이 책은 간호사,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등 치매 관련 기관 종사자를 위한 책이지만, 치매의 예방과 관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구성돼 있다. 명지병원이 백세총명학교를 통해 지역의 경도인지장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수년간 진행해 온 인지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세하게 소개돼 있다. 책의 이론 부분에서는 치매 환자와 소통하는 방법, 치매 환자 가족과 상담하고 교육하는 방법 등을 담았으며, 실기 부분에서는 '백세총명학교 프로그램'의 실제를 소개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인지예술치료'는 전통적인 '인지치료'에 음악 · 미술 등 '예술치료'를 접목한 대표적인 비약물 치료법이다. 치매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음악치료, 미술치료, 인지훈련, 치매 예방 운동, 신체활동, 통합인지재활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국립암센터가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기획단과 오는 12일 오후 2시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커뮤니티 케어: 지역 기반의 의료 · 보건 · 복지 연계형 암환자 케어 모델과 방향' 주제로 제68회 암정복포럼을 개최한다고 전했다. 커뮤니티 케어란 돌봄을 필요로 하는 주민들이 집이나 그룹홈 등 지역사회에서 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어울려 살아가며 자아실현과 활동을 하는 혁신적인 사회 서비스 체계이다. 이번 포럼은 초고령사회와 암유병자수 증가에 대비해 효율적 의료와 지역사회 돌봄을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 지자체, 학계, 소비자단체 및 언론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제언과 토론을 통해 암환자에게 적합한 커뮤니티 케어 모델과 실행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1부에서는 ▲국가 커뮤니티 케어 제공체계(김승연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부연구위원) ▲지역 기반의 암환자 커뮤니티 케어 모델(정소연 국립암센터 암환자헬스케어연구과 선임연구원) ▲말기암환자의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장윤정 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센터장) ▲커뮤니티 케어 정착을 위한 지자체의 역할(이현숙 성동구 보건소장)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고, 2부에서는 전문가들이 패
강남세브란스병원이 오는 8일 오전 10시 병원 3층 대강당에서 '척추 건강 바로 알기'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본 강좌에서는 척추관협착증의 원인과 증상,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에 대한 강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척추관협착증이란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척수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하지부 통증, 저림, 보행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더 자세한 문의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척추신경외과(02-2019-2480)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