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가 지난 11일 집회를 성공적으로 마친 가운데 이제는 실질적인 성과를 얻기 위해 대 국회 협상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과천에서 열린 ‘의료법 개악 저지 의사궐기대회’에는 무려 3만명의 의사들이 참여해 의료법 개정에 반대하는 의사들의 목소리를 확실하게 전달했다.
이제는 이번 집회를 발판으로 삼아 실질적인 성과를 얻어야 한다는 게 의료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정부가 의료법 개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입법예고를 한 뒤 의견수렴을 거쳐야 한다.
그런 다음 법제처에서 심의를 한 뒤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야 정식으로 발의가 된다.
통상적으로 봤을 때 2월 임시 국회에서는 발의가 어렵지 않겠느냐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긴 하지만 정부가 서두른다면 의료법 개정안이 올해 안에 발의가 될 가능성도 있다.
무엇보다 국회에 상정되지 않는 것이 제일 좋겠지만 일단은 국회에 상정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이제 대한의사협회는 대국
정부의 의료법 개정안을 두고 의료계의 반대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지난 11일 열린 의료법 개정저지 전국궐기대회에는 3만여 명의 의사가 참여, 개정반대에 대한 열기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번 궐기대회를 성공적으로 이끈 대한의사협회 의료법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보다 적극적으로 정부를 압박할 계획이다.
우선 비대위는 조직 재정비에 나선다. 비대위는 의료계 전 직역을 망라한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직역의 경우 직역 내부의 방침이 정리되지 않거나, 인사에 이동이 있어 위원이 재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개정안이 문제점을 이슈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대국민 홍보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비대위는 홍보 분야를 언론과 국회, 회원 부문으로 나누고 홍보전을 진행한다.
개정안 논의가 주요 포털사이트의 검색 순위 상위에 오를 수 있도록 의대생들을 중심으로 사이버 홍보단을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