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9,93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국약제학회는 지난달 27일 김진석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신임 회장에 선임했다.김진석 신임 회장은 취임과 함께 오는 9월에는 ‘2022 제제기술워크숍’을, 12월에는 ‘2022 한국약제학회 국제학술대회’ 개최 등 산학 및 국제 교류 활성화에 힘쓸 예정이다.김 회장은 “코로나 팬데믹의 긴 터널을 조심스레 빠져나오고 있는 이 시기에 젊고 유능한 젊은 과학자들이 세계적인 석학들과 함께 연구하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데 학회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한국 속담처럼, 국내외 연구자분들의 소중한 ‘구슬’을 잘 ‘꿰어’ 값진 ‘보배’로 탄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비전을 밝혔다.이어 “한국약제학회의 차별점인 산학연의 참여를 더욱 높이고 약제학회 회원들의 역량을 증강시켜 대한민국의 제약강국 도약에 한 축을 담당하는 중심 학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내과의사들이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에 대해 경제부처, 플랫폼 기업이 중심이 돼 제도의 도입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서비스 플랫폼 업체들의 원격진료, 과도한 의료이용 조장, 의약품 배송 등 불법행위에 대한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서울시내과의사회는 19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제26회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같은 장소에서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정용 회장은 “국가재난 상황에 한시적인 비대면 진료의 편리함을 경험한 후 원격의료제도의 본격적인 도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하지만 우리나라의 의료 접근성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을 만큼 뛰어나고 외국의 경우에도 코로나 유행이 한풀 꺾인 이후로는 비대면 진료의 이용도 감소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비대면 진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경제부처가 중심이 돼 제도의 도입을 밀어붙이는 형국”이라며 “만약 플랫폼 기업들이 주도돼 비대면 진료가 시작된다면 기업 간 경쟁, 비대면 진료 전문의원의 난립, 상급병원의료의 환자 쏠림현상으로 인해 의료전달체계가 붕괴되고 종국에는 의료영리화로 가는 수순을 밟을 수 있다”고 쓴
“미리 준비하고, 혁신 기술을 Transform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실질적인 협력 관계가 이뤄질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미래 의학을 조망하기 위해 서울아산병원이 개최한 ‘2022 아산미래의학 심포지엄’에서 ‘신약/백신 개발의 새 패러다임’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 김훈 SK바이오사이언스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이같이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GPB-510’은 임상 3상시험에서 대조군 대비 중화항체가도 높았고, 항체 전환률도 99.8% 이상으로 좋은 결과를 보여 현재는 최종 허가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상반기 내에 국내 식약처 허가를 받고 영국 등 유럽에 대한 신청을 진행하고 있다. WHO 허가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끝까지 완주해 백신이 글로벌 공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 CTO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가 대응전략 기반으로 삼은 CEPI 전략 2.0에서는 △미래를 위한 다양한 백신 준비 △mRNA백신 등 새 플랫폼 확보 △사전 네트워크 구축이 강조됐다. 그는 “미래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백신을 항상 비축을 하고 있어야 하고 변이에 대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열흘 연속 1만명 이하, 일요일 기준 22주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6월 19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0명, 사망자는 1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44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988명, 해외유입 사례는 83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607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27만 6552명(해외유입 3만 3894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6월 19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240명, 2차접종자 1192명, 3차접종자 1207명, 4차접종자 3842명이고,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6만 3550명, 2차접종자수는 4461만 8287명, 3차접종자수는 3335만 481명, 4차접종자수는 432만 6666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9일 연속 1만명 이하를 기록하며 6000명대로 감소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6월 18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1명, 사망자는 1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42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763명, 해외유입 사례는 79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684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27만 481명(해외유입 3만 3811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6월 18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509명, 2차접종자 2649명, 3차접종자 3210명, 4차접종자 1만 7312명이고,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6만 3221명, 2차접종자수는 4461만 6668명, 3차접종자수는 3334만 9051명, 4차접종자수는 432만 1976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8일 연속 1만명 아래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6월 17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2명, 사망자는 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41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130명, 해외유입 사례는 68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7198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26만 3643명(해외유입 3만 3714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6월 17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335명, 2차접종자 875명, 3차접종자 2177명, 4차접종자 1만 64명이고,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6만 2531명, 2차접종자수는 4461만 3835명, 3차접종자수는 3334만 5641명, 4차접종자수는 430만 4478명이라고 밝혔다.
비대면 한의약 치료를 받은 코로나19 재택치료자 중 94.4%가 만족감을 표시하고, 93.8%는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급성감염병 치료에 한의진료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홍주의)는 작년 12월 22일부터 올 4월 15일까지 운영된 코로나19 한의진료접수센터를 통해 진료 받은 84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한의진료접수센터 한의진료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Google form을 활용해 문자로 발송, 익명으로 진행-유효 응답자 수 1839명, 응답률 31.65%). 설문 조사 결과, ‘귀하께서는 코로나19 관련 한의진료(한약치료)에 얼마나 만족 하는가’를 묻는 문항에서 94.4%가 ‘만족했다’를 선택했으며(매우 만족 68.0%, 만족 26.4%), ‘불만족스러웠다’는 0.9%에 불과했다. ‘귀하께서 코로나19 한의진료접수센터를 통해 접수한 코로나19 관련 증상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한 격리기간 중 치료’가 96.2%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코로나19확진 후 후유증’ 3.4%, ‘백신 접종 후유증’ 0.4% 순이었다. ‘귀하께서는 귀하의 지인이 코로나19 재택치료자라면 한의진
쿠퍼비전 코리아(대표 최의경)은 지난 6월 9일과 15일, 서울과 부산에서 각각 쿠퍼비전 마이사이트 원데이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9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과 15일 롯데호텔부산에서 열린 ‘마이사이트 원데이 심포지엄’은 국내 저명한 안질환 전문가들을 모시고 소아 근시 관리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소아 시력 교정과 근시 진행 완화를 위한 마이사이트 원데이의 매커니즘과 실전 치료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참석한 안과 전문의 약 90여명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서울과 부산 심포지엄은 각각 바른눈서울안과 임현택 원장과 부산대학교병원 최희영 교수의 소아근시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환영사로 시작해 ‘마이사이트 원데이, 소아 근시 관리를 위한 새로운 매커니즘’이라는 주제로 9일 서울에서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선영 교수, 15일 부산에서는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하석규 교수가 첫 번째 강연을 진행했다. 해당 강연에서는 코로나 이후 근시 발병률도 증가하고 있고, 근시 진행 억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며, 마이사이트 원데이의 광학과 임상 결과를 통한 효과와 안전성을 소개했다. 이어서 ‘마이사이트 원데이, 실전 치료 사례’라는 주제로 9일 서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은 16일 질병관리청을 방문해 백경란 질병관리청 청장과 간담회를 갖고, 코로나19 대책을 포함한 국가 감염병 정책 관련 건의사항 등 의료계 현안을 전달하는 한편, 향후 질병청과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협조를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감염병 상황에서 보다 즉각적이고 원활한 소통창구가 마련될 수 있는 의·정 실시간 핫라인 소통체계를 구축하기로 하고, 민관이 한 목소리로 상호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간담회 자리에서 대한의사협회는 코로나19 및 신종 감염병 대비를 위해 의정 소통창구를 의협으로 일원화하고, 공식적인 전문가단체와의 충분한 사전 협의, 국가의 질병관리 주요시책 마련에 의료계와의 정보 공유를 통한 전문성 제고 등을 건의했다. 이필수 회장은 “의료계와 질병청이 코로나19는 물론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 적극적인 의견 교류를 해나가야 한다”며 “특히 정부에서 국가 감염병 대응에 있어 과학적 근거에 무게중심을 두겠다고 한 만큼, 질병청의 의료관련 공식적인 위원회 및 협의체에 보건의료 전문가단체인 의협 추천 위원이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의·정 소통창구를 의협으로 일원화해 체계적인 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째 1만명 아래로 집계됐다. 목요일 기준으로는 21주만에 최소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6월 16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8명,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40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904명, 해외유입 사례는 9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799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25만 6457명(해외유입 3만 3647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6월 16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287명, 2차접종자 855명, 3차접종자 2228명, 4차접종자 1만 2273명이고,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6만 2047명, 2차접종자수는 4461만 2789명, 3차접종자수는 3334만 3297명, 4차접종자수는 429만 4147명이라고 밝혔다.
박태근 대한치과의사협회장은 지난 13일 민생현장 회원들의 의견 수렴을 위해 안동분회와 간담회를 갖고 그동안의 치협 회무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는 치협 집행부와 지역 분회 간의 서로에게 격려와 응원을 보내며 최근 치과계 현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는 건설적인 논의의 장이 됐다. 간담회에는 박태근 협회장을 비롯해 전용현 경상북도 치과의사회 회장, 유정수 부의장, 전상용 총무이사, 박정호 안동분회 회장, 신두교·박재춘 고문 등을 비롯한 안동분회 회원 30여 명이 자리했다. 박태근 협회장은 인사말에서 “오늘처럼 현장에서 회원 여러분의 눈빛만 봐도 회무 원동력을 얻는 기분”이라며 “안동은 개인적으로 여행을 오가며, 추억이 많은 곳이다. 또 고향인 경주와 같은 경상북도인 만큼 각별한 마음을 갖고 있다. 오늘 간담회에서 수렴한 의견을 추진력으로 삼아, 회원에게 보답하는 회무를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전용현 경북지부 회장은 “지난 2년 동안 코로나19로 경북지부 소속 13개 분회와 대면이 어려웠으나, 이번 간담회로 그 아쉬움을 덜어낼 수 있게 됐다”며 “경북지부는 지난해 12월 ‘경상북도 치과의사회 사회소통공헌단’을 기부금 단체로 지정받는 등의 성과를
대웅제약이 글로벌 제제기술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전승호)은 16일 ‘2030 글로벌 제제 No. 1’ 비전을 발표하고, 미래 유망 제제기술 분야에 대한 집중 및 최고 전문가들과의 오픈 콜라보레이션 확대를 통해 제제기술 분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혔다. 대웅제약은 중장기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이후 변화된 의료 현장과 제약산업에서 고객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군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2030년까지 글로벌 제제 성과를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미래 유망 제제기술 분야로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 기술 ▲신규 투여 경로 기술(비강분무제형 및 마이크로니들 기술) 등 2가지 분야를 선택해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해당 분야에서는 대웅제약 자체 기술이나 설비 및 역량에만 의존하지 않고, 이미 선행 연구를 통해 기술성이 입증됐거나 새로운 적응증 및 기술을 보유한 업체와도 적극적으로 오픈 콜라보레이션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단기적으로는 대웅제약이 현재 보유한 복합∙서방∙가용화 기술 및 새로운 투여경로 기술에 집중함으로써 지속적인 수익 기반을 확
한미약품의 지속가능 혁신경영 목표와 성과가 담긴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리포트’(사진)가 다섯번째 발간됐다. 한미약품(대표이사 우종수·권세창)은 지속가능성 보고서 국제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를 기반으로 작성한 ‘2021-22 CSR 리포트’를 발간하고, 자사 홈페이지(www.hanmi.co.kr)에 게재했다고 15일 밝혔다. 근년 들어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이에 따른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을 통해 회사의 CSR, ESG 경영 기조를 명문화하는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을 선제적으로 파악한 한미약품은 2017년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CSR 리포트를 발간했으며, 이번 보고서에서는 회사의 핵심 기업가치인 ‘창조와 도전’ 정신 아래 확고히 쌓아가고 있는 ‘지속가능 혁신경영’에 대한 구체적 사례들을 명문화했다. 리포트에는 한미약품의 ▲R&D 경영 ▲윤리경영·준법경영 ▲인재경영 ▲고객만족경영 ▲동반성장, 상생경영 ▲EHS(환경/보건/안전) 경영 등이 테
-- 코로나 이후의 경제 불확실성과 분쟁에 기인 런던 , 2022년 6월 15일 /PRNewswire/ -- 오늘, 국제 싱크탱크인 Institute for Economics & Peace(IEP)가 제16차 Global Peace Index(GPI)를 발표했다. 주요 결과- 현재 미국의 평화 수준은 200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 전 세계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식량 불안정과 불안이 증가했으며, 아프리카, 남아시아 및 중동은 가장 큰 위협에 처해 있다. - 폭력으로 인한 세계 경제 영향은 2021년에 16조5천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세계 GDP의 10.9%(1인당 2,117달러)에 해당한다. - 폭력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10개 국가에서 폭력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2021년에 GDP의 34%를 차지했으며, 가장 적게 영향을 받은 10개 국가의 경우에는 3.6%를 차지했다. 갈등과 이주- 현재 망명 신청자로서 난민과 국내 실향민 그리고 유엔난민기구(UNHCR)의 기타 우려 대상은 8천800만 명 이상이다. 이들은 분쟁으로 인해 어떤 식으로든 강제 이주된 사람들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일 연속 1만명 미만을 기록했다. 수요일 기준으로는 21일주만에 최저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6월 1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3명, 사망자는 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399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331명, 해외유입 사례는 104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943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24만 8479명(해외유입 3만 3557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6월 15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274명, 2차접종자 641명, 3차접종자 1951명, 4차접종자 1만 2347명이고,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6만 1590명, 2차접종자수는 4461만 1779명, 3차접종자수는 3334만 889명, 4차접종자수는 428만 1571명이라고 밝혔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회는 여름철 여행지의 불청객인 모기와의 거리두기를 위해 감염병 전문가의 제언을 담은 건강정보를 15일 제공했다. 최근 코로나19가 안정세에 접어들고 날이 따뜻해지면서 여행 수요가 꿈틀대고 있다. 특히 해외여행의 빗장이 풀리고 호텔, 리조트 뿐 아니라 차박 캠핑 등의 다양한 숙박 형태의 여행이 늘어나고 있다. 낯선 여행지에서 여행자를 가장 큰 위험에 빠뜨리는 두 가지는 바로 감염병과 교통사고다. 특히 모기 매개 감염병은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모기와의 거리두기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모기기피제’ 사용이다. KMI 연구위원회 신상엽 상임연구위원(국제여행의학회 여행의학 인증의, 감염내과 전문의)은 “모기기피제는 식약처의 의약외품 승인을 받은 제품 중에서 연령과 효과 지속시간을 고려해서 선택하고 올바른 투여 방법으로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자외선 차단제와 같이 사용할 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먼저 바르는 것이 중요하며, 대부분의 모기기피제는 모기 뿐 아니라 진드기 등의 여러 해충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여행 전 필수적으로 챙겨야 할 준비물이다”고 조언했다. KMI한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킷 탕)과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는 6월 16일 아프리카 어린이의 날을 맞이해 14일 석촌호수에서 ‘어린이를 위한 걷기 대회(칠드런스 워크; Children’s Walk)’를 오프라인으로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2003년부터 로슈그룹은 유니세프가 지정한 ‘아프리카 어린이의 날(Day of the African Child, 6월 16일)’을 기념해 매년 전세계에서 ‘어린이를 위한 걷기 대회’를 진행해오고 있다. 한국에서는 진단사업 부문 한국로슈진단과 제약사업 부문인 한국로슈가 ‘원 로슈(One Roche)’의 이름으로, 2005년부터 매년 공동으로 아프리카와 국내 소외 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어린이를 위한 걷기 대회(칠드런스 워크; Children’s Walk)’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작년, 60개국 138개 지역에서 2만 6000명의 로슈그룹 임직원들이 참여했으며, 현재까지 약 271억 8000만원(2100만 스위스 프랑)가량의 기금을 마련했다. 이 기금으로 전세계 어린이들의 건강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지속가능한 미래 실현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양 사는 비대면으로 저탄구지(탄소는 낮추고, 지구는 구하고) 캠페인
코로나19 후유증, 이른바 롱코비드 환자를 대상으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기됐다. 또한 올해 9월, 코로나19가 재유행할 것이라는 제언도 등장했다.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 이하 화이자)의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13이 성인 대상 국내 허가 10주년을 맞게 됐다. 프리베나13은 폐렴구균 혈청형(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 13가지에 의한 폐렴 및 침습성 질환에 대한 담백접합 백신으로, 국내에서도 전 연령 대상 12년 연속 판매 1위를 기록했다. 프리베나13은 세계 120여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2009년 12월 유럽에서 영유아 대상으로 처음 도입됐다. 2013년 1월에는 미 FDA로부터 만 6세~17세 어린이·청소년 대상으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을 예방하는데 확대 승인됐다. 국내에서는 2010년 3월 처음 허가받았으며, 2012년 5월 50세 이상 성인의 폐렴구균 폐렴 및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예방에 허가됐다. 같은 해 10월 18세 이상까지 확대됐으며 2015년 10월에는 18세 이상 폐렴구균 폐렴 예방으로 허가연령이 확대됐다. 화이자가 국내 허가 1
- 연결된 풀 서비스 외과 플랫폼의 제품 확장 가속화 도모 - Advent Life Sciences 주도의 자금 조달 라운드, Emerson Collective, SoftBank Vision Fund 2, British Patient Capital, Mubadala 및 Minderoo Foundation 등 신규 투자사 참여 - 조달된 자금은 연결된 외과적 치료를 제공하는 중앙식 플랫폼 'Proximie의 Operating System for the Operating Room'의 발전과 확장 가속화에 사용될 예정 런던 , 2022년 6월 14일 /PRNewswire/ -- 여러 수술실(Operating Room, OR)을 디지털로 연결하는 글로벌 의료 기술 플랫폼 Proximie [ https://proximie.com/ ]가 시리즈 C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8천만 달러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 투자가 있기 전, Proximie는 1년 동안 총 거래액을 크게 늘렸고, 13,000건이 넘는 수술을 지원했으며, 자사의 국제적 풋프린트를 100개국으로 확장했다. Proximie's platform in action in
인하대병원 재활의학과 김명옥 교수가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 제10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는 지난 11일 연세대학교 에비슨 의생명연구센터에서 2022년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명옥 교수가 제10대 회장에 선출됐으며, 그의 임기는 2024년 6월까지다. 그는 현재 인하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의료평가실장, 기관연구윤리심의실장, 사회공헌지원단장을 맡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대한재활의학회 이사, 대한발의학회 차기 회장(2023~2025년), 대한척수학회 학술위원장을 겸임하는 등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는 국내 소아재활을 대표하는 학회로 뇌성마비와 발달지연, 유전질환 및 신경근육질환 등의 재활 분야 전문가 2,500여 명(정회원 1,300여 명)이 함께하는 학술단체다. 학회는전문가 단체로서 소아재활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 수립 과정에 폭넓게 참여해 장애 아동의 삶의 질 향상과 권익옹호에 앞장서고 있다. 매년 학술대회와 소아재활전문가과정, 연수강좌, 리뷰코스 등을 열고, '소아재활의학' 교과서를 제3판까지 발간하는 등 다양한 학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장애인의 날 전후로 중증 뇌성마비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