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9,93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대한내과의사회 현 박근태 회장이 연임에 성공했다. 박 회장은 ‘국민과 동행하는 내과, 회원과 소통하는 내과, 화합과 상생하는 내과’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주요 사업을 의욕적으로 펼쳐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9일 대한내과의사회 대의원총회에서 단독 입후보한 박근태 회장은 만장일치로 재신임을 받아 제13대 회장에 재선됐다. 박 회장은 10일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년간 만성질환시범사업, 백신사업, 검진사업의 세 가지 큰 사업에 주력했다”고 지난 임기를 정리하고 사업별로 진행상황을 설명했다. 박 회장은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은 3월말 만성질환위원회 정책회의가 킥오프됐으며, 조만간 본사업으로 궤도에 오를 예정”이라며 “환자들이 만성질환관리를 편하게 접근하고 질적으로 많이 상승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검진사업을 보면 지난해 한국건강검진학회가 창립됐다”며 “내과의사회와 검진학회가 잘 공조해서 올해 예정된 검진기관 질평가에서 회원들이 불이익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백신사업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코로나 백신으로 의원급 의료기관들이 많이 힙들었다.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도 많았다”며 “그래도 의원급에서 백신을 하지 않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10만명대로 발생한 가운데 사망자는 닷새째 300명대를 유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0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114명, 사망자는 32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만 942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만 4454명, 해외유입 사례는 27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6만 448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33만 3670명(해외유입 3만 1398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10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3514명, 2차접종자 1329명, 3차접종자 1만 1992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99만 7993명, 2차접종자수는 4451만 4462명, 3차접종자수는 3292만 2883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닷새만에 20만명대 아래로 발생한 가운데 누적 확진자가 1500만명을 넘어섰다. 사망자는 나흘째 300명대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9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99명, 사망자는 33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만 909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만 5526명, 해외유입 사례는 4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8만 556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16만 9189명(해외유입 3만 1371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9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7804명, 2차접종자 3860명, 3차접종자 3만 740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99만 4252명, 2차접종자수는 4451만 3034명, 3차접종자수는 3290만 9970명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지속가능한 의료체계를 위해 현재 가동률 20~30%에 그치고 있는 생활치료센터 및 중등증 병상을 단계적으로 축소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9일 본부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 18개 시·도 경찰청과 함께 생활치료센터 및 중등증 병상 조정계획을 논의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로부터 ‘중등병 병상 및 생활치료센터 조정 계획’을 보고받았다. 경증 중심의 오미크론 특성 및 재택치료 확대로 생활치료센터 및 중등증 병상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중 무증상·경증 환자의 격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위해 설치한 생활치료센터는 재택치료를 전면 확대한 2월 중순 이후 가동률 2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등증 병상은 4월 현재 30%대 가동률로 운영되고 있다. 아울러 일반병상에서 외래진료 및 입원치료를 받는 형태로 의료대응체계도 전환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생활치료센터 및 중등증 병상 조정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생활치료센터는 가동률, 병상현황, 입소 수요 등을 반영해 단계적으로 감축된다. 다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유대현)이 지난 8일 제중원 137주년·연세의료원 출범 6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코로나19로 인해 'ZOOM'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1962년, 연세의료원 신촌시대를 열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유대현 학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는 제중원 개원 137주년이 되는 해 이자 의료원이 출범한 지 6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기도 하다”며 “새로운 60년을 향하여 준비하고 미래에 도전하고자 미래 의학교육과 연구에 합당한 소프트웨어(software)나 하드웨어(hardware)의 구조개혁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세브란스병원의 신촌 지역 이전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과 연세의료원의 공간과 건축사적 의의, 역사 등에 관한 주제로 구성됐다. ▲신촌 연세의료원의 건설에 관한 연대기적 기초조사(연세의대 인문사회의학교실 의사학과 이경록 교수) ▲세브란스, 신촌시대를 열다-사진을 중심으로-(연세의대 동은의학박물관 정용서 학예연구실장) ▲신촌 연세의료원의 공간과 건축사적 의의(인천대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이연경 교수) ▲1960년대 초반 연세 간호교육의 회고(전 연세대 간호대학장) ▲
한양대학교병원(병원장 윤호주)은 ㈜NTI(대표 배명옥)로부터 코로나 극복 및 감염예방을 위해 사용해달라고 마스크 10만 장을 기증받았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7일 동관 8층 제1회의실에서 ‘마스크 기증식’을 진행했다. 의료용마스크, 가운 등 의료용 소모품을 생산하는 ㈜NTI는 KF94 1만 장, 덴탈 9만 장 등 총 10만 장을 기증했다. 이날 기증식에는 윤호주 병원장, 김대성 운영지원국장, ㈜NTI 배명옥 대표, 김종은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윤호주 병원장은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시기가 지나가고 있고, 어느덧 엔데믹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시기이지만 방역 최일선에서는 아직도 감염예방을 위해 사투하고 있다”라며 “기증해 주신 따뜻한 마음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교직원 모두에게 소중하게 사용해 감염에 더욱 안전한 병원이 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전달식에서 배명옥 대표는 “큰아들을 출산한 한양대학교병원에 마스크를 기증하게 되어 영광이다”라며 “앞으로도 환자와 의료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좋은 제품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지난 1일 인도네시아 약학대학 석∙박사 13명이 참여하는 ‘대웅 글로벌 DDS 교육 프로그램(Daewoong Global DDS Training Program) 3기’를 시작했다고 금일(8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인도네시아 석∙박사과정 학생들을 선발해 제약 분야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프로그램으로 4월 1일부터 7월 29일까지 총 17주간 대웅제약 용인 연구소에서 진행된다. 대웅제약 연구소와 인도네시아 약학대학 간 학점연계 교육∙연구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의약품 분야 전문인력 배양을 위한 글로벌 오픈 콜라보레이션 연수 플랫폼을 확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참가 학생 대부분이 현지에서도 가장 명망이 높은 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University of Indonesia, UI)와 반둥공과대학교(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ITB) 출신으로,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최신 설비 및 선진 기술을 현장 실습하고 대웅제약의 제제연구 프로젝트에 투입돼 신제품 개발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들은 국내 및 인도네시아에서 대웅제약의 연구, 품질, 생산 부문으로의 입사 기회도 부여된다. 대웅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올해 1분기, 관련 의약품의 판매 역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보존 제약은 코로나19와 관련한 호흡기군, 해열진통소염군, 항생제군 자사 의약품의 3월 매출이 지난해 12월과 비교했을 때 193%의 큰 폭으로 성장했다고 8일 밝혔다. 제이카민정을 비롯한 비보존 제약의 자사 호흡기군 3월 매출은 지난해 12월 대비 247% 상승, 항생제군은 153%, 해열진통소염군은 181% 상승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회사의 코로나19와 관련한 의약품 매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10만명을 돌파하기 시작한 2월부터다. 일일 확진자 평균이 30만명을 돌파한 3월에는 2월 실적보다도 평균 3배의 매출 성장세가 확인됐다. 코로나19의 대표적인 증상이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이상과 발열 등인 만큼 관련 제품의 판매가 환자 수 급증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증가한 것이다. 박테리아 감염을 막거나 세균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역시 매출이 올랐다. 가장 큰 폭으로 매출 성장을 한 제품은 비보존 제약의 소염효소제인 세토나제정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3월 매출이 849%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급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산하 제약기업 홍보 실무진들의 모임인 홍보전문위원회(이하 홍전위)는 최천옥 한림제약 상무를 위원장으로 재선임했다. 홍전위는 7일 서울 서초구 제약회관에서 임시 정기총회를 열어 최천옥 상무를 위원장으로 재추대했다. 또한, 부위원장인 차흔규 국제약품 수석부장과 진성환 삼진제약 이사, 총무 최재호 대원제약 부장과 노석문 안국약품 부장, 간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정찬웅 팀장 등으로 구성된 집행부도 전원 유임됐다. 이들 임기는 2년이다. 최천옥 위원장은 “다시 한번 위원장이라는 중책을 맡겨주신 점에 대해 감사드리며, 안팎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집행부와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홍전위는 회원사 홍보담당자간 내부 결속을 다지는 동시에 언론사와의 교감을 확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홍전위는 조만간 서면총회를 통해 올해 예산안과 이날 회의에서 도출된 의견을 반영한 주요 사업계획을 확정, 코로나19로 인해 보류됐던 각종 사업을 적극 집행할 방침이다. 한편, 홍전위는 39개사로 이뤄져 있다.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아직 코로나19 예방 접종을 하지 않은 국내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백신 선택권이 제공될 전망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7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코로나19 백신인 ‘뉴백소비드’의 접종 연령 확대를 위한 품목허가 변경 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 변경이 승인되면, 만 12세 이상 청소년들도 높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강점인 합성항원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수 있게 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에 앞서 지난달 23일 식약처 허가 변경의 보다 빠른 진행을 위해 심사에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제출해 검토받는 절차를 진행해왔다. 뉴백소비드는 성인에서 이미 허가된 만큼 신규 품목허가 없이 허가 변경만으로 접종연령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뉴백소비드는 미국 바이오기업 노바백스가 개발한 합성항원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이다. 현재 전 세계 38개국에서 승인을 받아 사용되고 있으며 WHO(세계보건기구) 긴급사용목록(EUL)에 등재됐다. 국내에서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기술이전(License-in) 계약을 맺고 원액부터 완제까지 제조해 지난 2월부터 공급 중이다. 합성항원 방식은 독감, HPV 백신 등에 장기간 활용되며 안전성이 확인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날대비 약 2만명 감소한 가운데 나흘째 20만명대를 유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8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93명, 사망자는 37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만 875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만 5302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0만 533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498만 3694명(해외유입 3만 1330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8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2473명, 2차접종자 1871명, 3차접종자 1만 9988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98만 5960명, 2차접종자수는 4450만 8703명, 3차접종자수는 3287만 8452명이라고 밝혔다.
“간호법은 간호사의 업무범위를 명확히 규정했다. 이는 국제간호협의회(ICN)가 추구하는 방향이다. 그래서 ICN은 간호법 제정을 지지한다” 국제간호협의회(ICN) 파멜라 시프리아노(Pamela Cipriano) 회장은 7일 출국 전 간호계 지도자들과 가진 ‘간호법 제정을 위한 특별방한기념 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힌 뒤 “간호법은 환자 안전을 위한 것뿐 아니라 간호사의 역량 강화 차원에서도 매주 중요한 법안”이라고 강조했다. 파멜라 ICN 회장은 간담회에서 ‘간호법 제정을 위한 ICN의 역할과 활동’이란 주제로 “간호법을 통해 간호사의 명확한 업무범위를 규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업무범위가 명확히 규정돼야 간호사가 규정된 업무 외 행위를 하지 않고, 타 직역도 간호업무를 침범하지 않아 궁극적으로 환자 안전을 지킬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대한민국 간호사들은 처방 및 수술처치 등 간호 업무 외 지시를 거절하기 힘든 환경에 놓여있었다. 이로 인해 간호사들은 합법과 불법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해야 했고, 이는 업무 부담을 느낀 간호사가 빨리 퇴직하는 원인이 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간호법은 간호사의 업무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했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전날보다 6만명 감소한 가운데 사흘째 20만명대를 유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7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116명, 사망자는 34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만 8381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2만 4780명, 해외유입 사례는 4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2만 482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477만 8405명(해외유입 3만 1299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7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2218명, 2차접종자 1601명, 3차접종자 1만 6108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98만 3099명, 2차접종자수는 4450만 6422명, 3차접종자수는 3285만 7630명이라고 밝혔다.
*빈소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9호실(7일 오후 3시 이전), 14호실(7일 오후 3시 이후), *발인 4월 8일코로나19로 인해 조문과 부의금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지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백신에 대한 이슈는 새로 생겨나고 있다. 최근 소아에 대한 백신 접종도 시작되면서 자녀의 백신접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MSD의 코로나19 경구치료제 ‘라게브리온’이 지난 달 26일 긴급사용승인을 받으면서 기존의 경구치료제인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에도 다시 주목되고 있다.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지난 1일 고대의료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견해를 밝혔다.소아 백신 접종에 대해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지금이라도 당장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고했으며, 경구용 치료제의 효능은 팍스로비드가 보다 우수하고 편의성은 라게브리온이 좀 더 좋다는 입장이다. 먼저 10세 이하의 소아 중 기저질환자 소아암이, 당뇨 등의 경우는 지금이라도 백신을 꼭 맞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10세 이하의 건강한 아동들은 고령자에 비해 자연면역이 강해 코로나19에 감염돼도 중증으로 진행하지 않고, 가볍게 지나간다는 것이 많이 알려졌다. 때문에 아동들이 많이 확진돼도 실제 사망자는 굉장히 적다.”고 설명했다. 특히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도 5세~11세 소아의 경우 건강한 아동들은 백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일대비 2만여명 증가했지만 이틀째 20만명대를 유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128명, 사망자는 37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만 8033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8만 6272명, 해외유입 사례는 22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8만 629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455만 3644명(해외유입 3만 1259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6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878명, 2차접종자 1819명, 3차접종자 1만 212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98만 377명, 2차접종자수는 4450만 4308명, 3차접종자수는 3284만 952명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1일 국내 제약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국내외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축적한 글로벌 사업개발 전문가 김윤빈 상임 컨설턴트를 진흥원 해외제약전문가로 초빙했다고 밝혔다. 김윤빈 상임 컨설턴트는 약학 학사와 경영학 석사를 졸업하고 약 25년간 글로벌 제약사에서 제약 영업, 마케팅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다. 2003년 한국 노바티스에서 이식면역사업부의 마케팅 매니저로 근무한 데 이어 2007년 노바티스 벤처펀드 국내 담당자로 임명돼 국내 제약 바이오 관계자들과 노바티스 본사와 협력 채널을 확립하고 국내 유관 기관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한 바이오기술글로벌사업화 프로젝트를 수행해 노바티스 벤처펀드의 국내 신생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결정에 기여한 주역이다. 이후 싱가포르 노바티스 열대병연구소(NITD: Novartis Institute for Tropical Disease) 국제 협력 및 연구운영 수석으로 역임하며 주요 열대병의 치료제 및 예방법에 대해 전 세계 주요 연구기관과의 제휴관계를 개발하고 소외 질환에 대한 신약 연구 후원 기관들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20
베링거인겔하임이 4일 연례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2021년 사업 성과와 2022년 전망을 공유하며 한 단계 더 나아갈 금년의 포부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독일 본사에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개최한 것으로, 후베르투스 폰 바움바흐 베링거인겔하임 경영이사회 회장과 미하엘 슈멜머 베링거인겔하임 경영이사회 재무 및 경영지원 담당이 나와 ▲2021년 핵심 성과 ▲2021년 경영 재정 실적 ▲2022년 전망 등을 주제로 비전을 나눴다. 간담회에 의하면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난 해 전 사업부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2021년 순매출은 전년대비 5.4% 증가, 206억유로(한화 약 27조 4392억원)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47억유로(약 6조 2604억원)를 달성해 2020년 46억유로 대비 1억유로가 늘었다. 인체 의약품 사업의 R&D 투자에서는 2021년 33억유로에서 37억유로로 확대됐으며, 현재 전 연구단계를 아울러 100여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SGLT-2 계열 당뇨병 치료제 ‘자디앙’의 심장, 신장, 대사 시스템의 상호 연결성을 이해에 투자함으로써 당뇨병에서 심부전까지 적응증을 확대했으며, 좌심실 박출량과 무관한 성인 증상성 만성 심부전
대한의사협회가 5일 제주지방법원이 내린 ‘녹지병원의 내국인 진료를 금지한 제주도의 조건부 개설 허가가 부당하다’는 판결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지난 2018년 12월 녹지병원에 내국인을 제외한 외국인 의료 관광객만을 대상으로 병원을 운영하도록 하는 조건부 허가를 내린바 있다. 하지만 녹지병원 측은 이러한 제주도의 조건부 개설 허가 처분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취소하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의협은 “의료기관이 운영되는 궁극적 목적은 단 한 가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함이다. 우리나라 의료법 33조에서도 의료기관 설립이 가능한 기관은 비영리 법인으로 한정하고 있다”며 “그 이유는 의료에 공공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고 영리행위로 개방될 경우 환자들에게 많은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판결은 기존의 의료법을 뒤집고 영리병원을 합법화하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의협은 “영리병원은 의료기관 본연의 역할을 다하기보다는, 말 그대로 오로지 영리추구만을 위해 운영될 것”이라며 “영리병원의 도입은 대형 자본 투자로 이어지고 결국 의료는 이윤창출의 도구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영리병원의 도입은 한 병
간호법을 저지하기 위한 10개단체 국회 앞 1인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4일에는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과 4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한 대한간호조무사협회 곽지연 신임회장이 릴레이를 이어갔다. 이필수 회장은 “의료시스템의 균열과 붕괴를 초래해 국민 생명을 앗아갈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간호단독법 제정을 반대하는 것이다. 지금은 직종을 막론하고 의료인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의료시스템을 유지하고 코로나19로부터 환자를 살려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회장은 “그동안 홍옥녀 회장께서 간호단독법 저지에 큰 힘이 돼주셨다. 간호조무사협회 21대 회장으로 취임한 곽지연 회장 역시 간호단독법 저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줄 것으로 생각한다. 대한의사협회는 대한간호조무사협회와 더욱 긴밀히 공조해 국민건강 수호와 보건의료 발전을 위해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곽지연 회장은 “간호단독법은 간호사 직역 이익만을 대변하는 법안으로, 83만 간호조무사의 사회적 지위를 악화시키고 장기요양기관 등에서의 일자리마저 위협하고 있다”라고 지적하며, “‘간호단독법 저지 10개 단체 비상대책위원회’의 행보를 측면에서 지원하고 참여해 왔다면 이제부터는 적극 앞장설 것이다. 앞으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