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e로또디비문발$!텔DBzone24+{'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7,10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메디톡스(대표 정현호)의 계열사 뉴메코(대표 손성희, 이상윤)가 조지아 보건부 산하 의료제약활동규제청(Regulation Agency for Medical and Pharmaceutical Activities)으로부터 ‘뉴럭스(NEWLUX)’ 100단위의 신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아시아 태국, 중남미 페루에 이은 3번째 해외 진출이자 첫 유럽 국가 진출이다. 메디톡스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인 조지아에서의 허가 획득을 기점으로 하반기 ‘뉴럭스’가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뉴메코가 메디톡스로부터 톡신 후보 물질(MBA-P01)을 기술 이전 받아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는 부형제로 사용되는 사람혈청알부민(HSA)에 의해 알레르기 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분말 형태의 900kDa(킬로달톤) 보툴리눔 톡신 제제 중 최초로 원료 생산 과정에서 동물유래성분 배제 공정을 적용했으며, 화학처리 공정을 줄여 독소 단백질 변성을 최소화한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제제이다. 뉴메코 관계자는 “글로벌 20여개국에서 허가 획득을 추진하고 있는 뉴럭스가 유럽에 위치한 조지아에서 품목 허가를 획득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주최하고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가 주관하는 ‘국제 GMP 규정 동향 분석 기반 무균의약품 제조·품질관리 세미나’가 오는 9월 11일 노보텔 엠버서더 서울 강남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는 PIC/S GMP Annex 1 개정과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內 별표1(무균의약품 제조)이 개정됨에 따라, 무균의약품 제조소 종사자들이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전문가인 Dr. Ingrid Walther를 초정해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연사는 Fresenius Kabi AG와 Pharmaplan GmbH에서 연구개발·제조 및 품질 GMP 책임자를 역임했으며, EU 및 FDA GMP 규정 컨설팅을 포함해 40여개국 400회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다양한 경험을 겸비했다. 이날 오전 세션에는 ▲Annex1 Changes Future Sterile Manufacturing – A brief summary and overview ▲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 Background and Targets ▲Introduction to a CCS
인하대병원이 최근 조혈모세포이식 400례를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400번째 이식은 급성골수성백혈병(AML) 환자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딸로부터 반일치 동종이식을 받아 치료를 받았다. 반일치 동종이식은 기증자와 환자의 조직형이 절반만 일치해도 가능한 이식 방법으로 최근 가족 간 이식의 폭을 넓히며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인하대병원이 달성한 조혈모세포이식 전체 400례 중 동종이식은 220례, 자가이식은 180례로 집계됐다. 주요 치료 대상은 급성골수성백혈병을 비롯해 급성림프모구백혈병, 골수형성이상증후군 등 혈액암 질환이다. 이식 전·후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꾸준히 치료 성과를 쌓아가고 있으며, 항암치료 전 과정에서도 치료 안정성과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다. 인하대병원은 조혈모세포이식 전용 무균병동을 운영 중이다. 이식실 2병상과 준무균실 8병상 등 총 10병상 규모로 항온·항습 자동제어 시스템, 크린룸 패널, 의료용 가스 설비 등 감염 예방을 위한 인프라를 갖췄다. 이식 대상자는 준무균실에서 항암치료를 받은 뒤 이식실로 옮겨 안전하게 치료를 이어갈 수 있다. 병동은 조혈모세포이식 전문의와 숙련된 간호 인력으로 구성된 전담팀이 상주해 수준 높은 치료
연세대학교 의료원(의료원장 금기창)과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원장 이정림)은 8월 26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비슨생명연구센터에서 ‘2025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심포지엄에서는 의료 인공지능(AI)과 디지털치료기기(DTx)을 중심으로, SaMD 관련 최신 산업 동향과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발표와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행사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오전 세션에서는 국내 산업계 전문가들이 ▲AI 기반 내시경과 미래 검진, ▲의료 AI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파킨슨병 진단을 위한 AI 활용, ▲병원 현장의 첨단 기술 적용 사례 등을 발표한다. 오후 세션에는 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동향을 소개한다. 미국 의료기기 기업 Medtronic의 존 하우쉴드(John Hauschild), 낸시 반 렌트(Nancy Van Len) 디렉터와 일본 Emergo Japan의 야시로 겐지(Kenji Yashiro) 매니저는 각각 미국·유럽과 일본의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정책과 수가 승인 동향에 대해 영상(VOD)으로 발표한다. 국내 규제 전문가들의 강연도 이어진다. 연세대학교
국내 연구진이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MASLD) 환자에서 특정 유전자(PNPLA3) 변이가 면역 매개 간 손상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재준 교수,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배시현 교수 및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MASLD) 환자에서 PNPLA3 유전자 I148M 변이(GG형)가 간 내 면역세포 침윤 증가 및 고도 섬유화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이하 MASLD)은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동시에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대사질환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일부 환자에서는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그동안 PNPLA3 유전자 변이(GG형)가 MASLD 진행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연구는 해당 변이가 간 조직 내 면역세포 침윤과 염증 반응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처음으로 명확히 밝혀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연구팀은 2024년, 은평성모병원과 서울성모병원에서 MASLD 환자 70명을 전향적으로 모집하고, 구강 상피세포 또는 간 생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대장항문외과 강상희 교수 연구팀(고려대 구로병원 대장항문외과 봉준우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의료정보학교실 정석송, 이화민 교수)이 대장암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제로 사용되는 ‘옥살리플라틴’의 연령별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옥살리플라틴’은 수술 후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항암치료제 중 하나로, 특히 림프절 전이가 있는 병기 3기 대장암 환자에게 표준 치료로 권고되고 있으며 일부 고위험 2기 환자에게도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다. 옥살리플라틴은 항암 효과가 우수한 반면, 말초신경병증 등 신경독성 부작용이 비교적 빈번하게 나타나는 약제로, 고령 환자에게 사용 시 치료 지속 여부와 부작용 발생 가능성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강 교수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병기 2기 또는 3기 대장암으로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를 받은 8,561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이들은 옥살리플라틴을 포함한 항암요법군과 플루오로피리미딘 단독요법군으로 나뉘어 비교되었으며, 환자의 생존율과 항암치료 중단 여부를 주요 평가 지표로 삼았다. 분석 결과, 병기 3기 환자 중 70세
서울, 대한민국, 2025년 8월 13일 /PRNewswire/ -- 오늘 8월 13일(수), HPTW 코리아가 공식 출범하며 한국 시장에서의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번 출범을 계기로, 글로벌 진단 모델 'Health Score'가 국내에 본격 도입된다. Health Score는 직원과 조직의 건강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성과와 연결해 위기 상황에서도 지속가능한 고성과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힘을 보태는 혁신적인 평가•인증 프로그램이다. 특히 이번 출범과 함께 'Make Work Healthy 특별강연 및 Health Score 온라인 진단 인증설명회'가 열린다. Health Score를 만든 창시자이자 『Make Work Healthy』의 저자인 존 라이언(John Ryan)이 직접 발표하며, 참가자는 무료로 신청 가능하고, 『Make Work Healthy』 도서도 증정된다. HPTW는 아일랜드 Dublin University에 본사를 두고, 영국•스칸디나비아•멕시코•브라질•필리핀•아랍에미리트•루마니아 등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운영되고 있
노년층 감염병이 입원과 의료비 부담을 가중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면서 예방접종 필요성이 한층 부각됐다. 한국GSK가 주한영국대사관, 주한영국상공회의소와 함께 2025 헬시에이징 코리아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공중보건 방안으로서의 성인 예방접종을 조망하고, 지속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정책적 방향과 해법이 논의됐다. 이 날 포럼에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년내과 김광일 교수는 성인기 감염 예방의 임상적인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유소년기에도 감염병은 흔히 나타나지만, 감염병으로 인한 질병 부담이나 비용 부담은 노년층에서 더 부담이 심하기 때문이다. 가령 독감의 경우 10대 미만에서 더 많이 감염되지만 독감으로 인한 의료비용은 65~75세 이상에서 많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10세미만에서 유병률이 높기는 하나 합병증으로 인한 의료비용 증가, 입원 위험성은 높지 않다. 그러나 65세 이상에서는 독감으로 인한 폐렴도 발생하지만, 기존에 환자가 갖고 있던 심혈관 질환을 악화시킴으로써 의료비 급증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RSV 역시 영유아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 RSV로 인한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8월 12일(화) 오후 1시 30분 서울시 중구 T타워에서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7월 31일(목)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을 위촉한 이후 개최되는 첫 번째 회의로 14명의 위원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위원장 선출,▲향후 위원회 운영계획 및 일정 등에 대해 논의했다. 위원장은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 중 호선하도록 돼 있으며, 이에 따라 3명의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 중 김태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장을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향후 위원회 운영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앞으로 격주를 기본으로 정기적으로 위원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또한, 차기 회의에서는 기존 수급추계 연구들의 추계방법론에 대해 검토하기로 했다. 그 밖에 제1차 회의 회의록 등은 향후 제2차 회의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한 이후 공개될 예정이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수급추계를 논의해 주시기를 당부”하고, “정부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수급추계위원회가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한국MSD(대표이사 김 알버트)는 자사의 폐동맥고혈압 치료제 윈레브에어키트주(성분명: 소타터셉트)의 허가를 기념해 8월 1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로즈룸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대한폐고혈압학회 정욱진 회장(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교수, 심부전폐고혈압센터장)이 폐동맥고혈압의 국내 현황과 환자 삶의 질에 대해, 김경희 대한폐고혈압학회 진료지침위원장(인천세종병원 심장내과 과장, 심장이식센터장)이 윈레브에어의 임상적 가치에 대해 전했다. ‘폐동맥고혈압의 국내 현황과 환자 삶의 질’을 주제로 발표한 정욱진 대한폐고혈압학회 회장은 “폐동맥고혈압은 단순히 혈관이 수축된 상태가 아니라, 폐소동맥의 벽이 두꺼워지고 내강이 좁아지면서 구조적으로 협착되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고혈압과는 완전히 다르다. 질병이 진행되며 호흡곤란, 기침, 피로에서부터 현기증, 실신까지 겪지만 비특이적인 증상과 복잡한 진단 과정으로 진단까지 최대 3년이 걸리는 ‘진단 방랑’을 겪는다”고 밝혔다. 이어, “폐동맥고혈압 환자들은 걷는 것조차 어려울 정도로 숨이 차 운동은 물론 육아, 집안일, 사회생활 등 일상생활 전반에 심각한 제약을 받으며, 심한 경우 돌연사에 이를
이대서울병원이 지난 7일부터 콜센터에 인공지능(AI) 기반의 STT(Speech-to-Text) 솔루션을 도입해 신속하고 정확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KT의 STT 솔루션은 환자와 상담원 통화 내용을 실시간 텍스트로 변환해 상담원 PC 화면에 표시해주는 첨단 기술이다. 이를 통해 상담원은 음성으로 놓칠 수 있는 정보를 누락하지 않고 모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STT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는 AI가 자동으로 분석하고 요약하며, 환자들이 자주 언급하는 키워드나 요청사항을 추출해 상담의 질이 한층 더 높아진다. 이대서울병원은 콜센터 운영사인 KTis와 협력을 통해 AI 보이스봇을 도입했으며, ㈜바이타민에서 제공하는 알림톡 서비스와 STT 솔루션을 연계해 인공지능과 상담원, 알림톡이 함께 안내하는 ‘하이브리드 상담’ 환경을 구축했다. 이대서울병원이 환자 중심의 스마트 병원 구축을 위한 디지털 혁신을 이어가며 환자들은 예약, 문의 등 다양한 업무를 더욱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됐다.주웅 이대서울병원장은 “STT 솔루션 도입으로 상담원의 업무 효율과 전문성이 높아져 환자들에게 더욱 수준 높은 상담 환경을 구축해 예약 편의성을 높였다”라며 “이대
아마다바드, 인도, 2025년 8월 12일 /PRNewswire/ -- 다국적 제약사 인타스 파마슈티컬스(Intas Pharmaceuticals)의 자회사 어코드 플라스마(Accord Plasma B.V.)가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플라스마 유래 의약품(plasma-derived medicinal products•PDMP) 분야 선도기업인 프로티아 바이오솔루션스 벨기에(Prothya Biosolutions Belgium BV) 및 이 회사의 모든 자회사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규제 당국의 승인을 포함한 통상적인 거래 종결 조건이 충족되는 대로 인수는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인수로 인타스와 어코드는 PDMP 시장에서 글로벌 입지를 구축하려는 오랜 목표에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 인타스는 인도 내에서 확립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진정한 국제적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티아 바이오솔루션스는 암스테르담과 브뤼셀에 주요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헝가리 전역에 플라스마 수집 센터를 운영 중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이 지난 8월 5일부터 7일까지 행소대강당에서 ‘로봇 플랫폼 사전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의료진을 대상으로, 차세대 로봇수술 장비를 직접 체험하고 임상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의료진들은 실제 수술 환경과 유사하게 구성된 시뮬레이션 공간에서 장비를 직접 조작하고, 각 장비들에 대한 질의응답과 의견 등을 자유롭게 나누며 유익한 시간을 보냈다. 행사에서는 최신 로봇 수술 장비인 ‘다빈치 5(Da Vinci 5)’와 형상 유도 로봇 보조 기관지경 시스템인 ‘아이온(Ion)’이 소개됐다. 다빈치 5는 수술 중 힘의 민감도 측정이 가능한 ‘포스 피드백(Force Feedback)’ 기술과 향상된 인체공학적 콘솔, 고해상도 3D 영상 시스템 등을 탑재해 수술 정밀도와 안전성을 높였다. 아이온은 직경 3.5mm의 초소형 로봇 카테터와 형상 감지 기술을 적용해, 기존 접근이 어려웠던 폐 말초 부위에서의 작은 결절까지 최소침습으로 안전하게 도달해 조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권상훈 로봇수술센터장(계명대 동산의료원 대외협력처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의료진이 차세대 로봇 수술 환경을 직접 경험하고
부산 힘내라병원 척추클리닉 최대정 병원장이 오는 15일부터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리는 ‘제1회 인도네시아 척추내시경 집중 코스(Intensive Biportal Endoscopic Spine Course in Indonesia)’에서 교육 전 과정을 이끌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RS Jakarta 병원 내 뇌·척추 전문기관인 ‘Jakarta Sigma Brain & Spine Center’에서 열린다. 이 센터는 인도네시아 대통령 집도의 출신이자 현 신경외과 학회장인 Dr. Wawan Mulyawan 원장이 이끌고 있으며, Dr. Danu Rolian, Dr. Dimas Rahman 등 신경외과 전문의들이 참여한다. 이번 교육은 국내 내시경 의료기기 제조사 솔렌도스가 주관하고,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광역형 국내 의료기기 교육훈련센터’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이 사업에는 길병원, 인천광역시, 인천테크노파크, 인하대병원, HLB바이오스텝 등이 참여하고 있다. 솔렌도스의 척추내시경 기기는 좁은 수술 부위에 정밀하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와 다양한 시야 확보가 가능한 이중 포털(dual portal) 방식이 특징이
한올바이오파마의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오는 9월 미국 애리조나(AZ)에서 열리는 ‘미국갑상선학회(ATA)’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HL161BKN)의 그레이브스병(GD) 임상2상 치료중단 후 6개월 유지 효과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데이터는 그레이브스병에서 바토클리맙 및 아이메로프루바트(HL161ANS)의 장기적 효과 입증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레이브스병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해 갑상선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질환으로, 체중 감소, 심계항진, 불안, 피로감 등 다양한 전신 증상을 유발한다. 현재 그레이브스병 치료를 위해 항갑상선제(ATD)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부작용이나 재발 등의 이유로 치료에 실패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실제로 미국 내 환자 수는 약 88만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약 33만명이 기존 치료 후 재발하거나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년 약 6만 5000명이 그레이브스병 신규 환자로 진단받지만 이 중 약 2만명이 2차 치료에서도 증상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이거나 상용화된 FcRn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윤성찬)가 한의사 참여 없는 의사인력 추계는 의료체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불완전한 정책이 될 것이며, 의사 인력 수급과 한의사의 역할 및 수급은 상호 밀접한 만큼 한의사와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지호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은 12일 오후 1시부터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제1차 회의가 열리는 서울역 T타워 회의실 앞에서 의사인력 수급추계에 한의사 활용 방안을 함께 논의해 줄 것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펼쳤다. 대한한의사협회는 한의계와 의료계로 이원화돼 서로 경쟁하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우리나라 의료계 상황을 감안할 때, 합리적인 의사 인력수급은 붕괴된 지역필수공공의료에 한의사를 활용하는 방안과 과잉 배출되는 한의대 정원의 활용 방안까지 고려해 결정해야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정부당국의 즉각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김지호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은 “OECD 회원국 의사 수 통계 발표 시 의계에서는 한의사도 포함시켜 발표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한시가 급한 지역필수공공의료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부터 의사를 증원한다 해도 최소 10년 이상이 소요되지만, 한의사를 일정 기간 추가 교육 후 활용하게 되면 그 기간을 절반 이상 단축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회장 이성환, 이하 대공협)는 의정갈등으로 인해 수련이 중단된 채 입영한 공중보건의사의 36.6%가 고년차 필수의료 전공의라고 밝혔다. 올해 1년 차로 입대한 공중보건의사 249명 중 설문에 응답한 인원은 224명(응답률 90%)이었으며, 이 가운데 82명(36.6%)이 고년차 필수의료 전공의였다. 전공과별로는 내과 43명(19.2%), 응급의학과 11명(4.9%), 신경외과 11명(4.9%), 외과 6명(2.7%), 소아과 4명(1.8%), 신경과 4명(1.8%), 흉부외과 3명(1.3%)로 나타났다. 이성환 회장은 “전 정부의 폭압적 행태와 무리한 정책으로 인해 병원에서 주 80시간씩 환자 곁을 지키던 젊은 의사들이 수련을 중단하고 병원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며, “그 중에서도 국가 의무를 다하기 위해 섬·교도소·산간지대 응급실 등 격오지로 발령받아 복무 중인 고년차 전공의들을 보호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상당수가 중증·응급환자를 살리기 위한 사명으로 필수의료 전공을 선택했었던 젊은 의사로, 배치 이후 현장에서도 지역 유일한 의사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성환 회장은 “군복무로 인한 3년의
대한한약사회(회장 임채윤)은 최근 제약바이오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한국의약품유통협회에 ‘정당한 사유 없이 한약사 약국에 의약품 공급을 거절하지 말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한 것에 대해 당연한 처사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한약사회 관계자는 “약사법에 따라 한약사는 약국을 개설할 수 있고, 약국개설자는 의약품을 판매나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조항에는 면허범위라는 단서도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법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기 때문에 몇 년전 약사법 개정도 시도했던 것이 아니냐”며 “의약품의 조제조항인 약사법 제23조에서는 그 주어가 약사 및 한약사지만, 의약품의 판매조항인 약사법 제44조 및 제50조에서는 그 주어가 약국개설자인 것도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약국개설자인 한약사가 의약품을 취득하는 것 자체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고 밝혔다. 또 “약사법 시행규칙 제44조제1항제1호 다목에 따라 의약품공급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특정 약국개설자에게 공급을 거부해서는 안 된다. 의약품 공급을 하도록 국가로부터 허가받은 의약품공급자가 마찬가지로 국가로부터 허가받은 요양기관인 한약사개설 ’약국‘에 의약품을 공급하는 것은 당연한 처사일 것”이
*빈소 삼성서울병원장례식장 5호(13일 08시부터 3호), *발인 8월 14일
한미그룹의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인 ‘평택 바이오플랜트’가 올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실시한 의약품 제조소 GMP 정기 실태조사를 ‘무결점(Zero Observation)’으로 완료하며 무균 제조공정 분야 선도적 위상을 입증했다. 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은 지난 2월 식약처가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대상으로 실시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정기 실태조사 결과를 공식 전달받았으며 단 한 건의 지적(보완)사항 없이 마무리됐다고 12일 밝혔다. 한미 바이오플랜트는 글로벌 규제당국의 최신 규정인 cGMP(current GMP)를 충족하는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특히 무균 공정의 설계 및 유지관리,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밀한 품질관리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관리 기준을 제시하는 유럽의약품청(EMA)은 최근 의약품 품질 유지와 오염 예방을 위한 보다 강화된 규정인 ‘유럽 GMP Annex1’을 개정했고, 식약처가 발간한 최신 가이드라인에도 ‘오염관리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이 포함됐다. 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