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a최신증권디비인바운드{(텔레DBnara!-'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5,171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국애브비(주)(대표이사: 강소영)는 9월 23일 조은미(趙恩美, 만 50세) 전무를 인사부 총괄로 영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조은미 전무는 2015년부터 한국이콜랩에서 인사부 총괄로 근무하며, 한국이콜랩과 날코의 인수합병에 따른 조직개편 및 통합에 참여해 한국, 아시아, 글로벌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이끌었다. 2017년부터 2018년에는 이콜랩의 아시아태평양 식음료사업부 인사파트너로서 13개국 F&B 부서의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이외에도 조 전무는 한국라이나생명 인사부 총괄,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인사부 인사노무 담당 이사, 옥션 인사부 조직개발 담당 차장 등 유수 기업의 인사 담당자로 제약, 금융, 컨슈머 등 다양한 분야에서 18년간 HR 전문가로 업무 경험을 쌓았다. 조 전무는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영어교육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 대학교(University of Texas) 에서 MBA를 취득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사흘째 17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98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9만 2699명(해외유입 1만 4257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8634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0만 1192건(확진자 326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만 5631건(확진자 3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6만 5457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716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030명으로 총 26만 2842명(89.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743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12명이며,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27명(치명률 0.83%)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40명, 경기 544명, 인천 108명, 충남 54명, 대구 53명, 대전 43명, 전북 40명, 광주 36명, 강원 30명, 경남 28명, 부산·충북 각각 24명, 울산 22명, 경북 20명, 전남 14명, 세종·제주 각각 9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이 2021년도 한국연구재단 기본 연구사업에 의정부성모병원 순환기내과의 김찬준 교수가 선정돼 활발히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의정부성모병원에 따르먄, 이번 연구 목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인 급성 심근경색의 예후 개선을 중점으로 하는 내용으로, 현재 급성 심근경색의 초기 단계에서 폐쇄 혈관의 재관류를 위한 치료는 많은 발전을 이뤘으나 재관류 치료 이후 심장 자체의 기능 저하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심장성 사망을 겪는 환자의 사례가 많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난 수십 년간의 성공적인 재관류화 기술의 발전으로 심근경색의 급성기 사망률을 낮추는 데는 성공했지만, 여전히 재관류화 이후에도 14~36%의 환자는 심부전의 양상을 보이며 매우 높은 확률로 사망의 위험에 노출된다. 이러한 심부전의 양상은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인한 염증과 과도한 좌심실 재형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 과도한 좌심실 재형성을 억제해 심부전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는 치료법은 심장이식이 유일하며, 기증자의 부족으로 그나마도 난관에 처한 가운데, 그 외의 방법은 없다시피 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김찬준 교수는 대안으로써 세포 기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비만 진료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이전에 비해 감염병 시기의 소아청소년의 비만 진료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성별, 연령별 비만(상병코드 E66 비만) 상병을 입력한 진료량을 살펴보면, 2019년 상반기 대비 2021년 상반기 9세 이하의 비만 진료량은 81.7%(706건에서 1283건), 10대는 83.3%(1094건에서 2005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세 이하와 10대 모두 남자에서 각각 126.9%, 94.7% 증가로 여성 진료량 증가분 48.9%, 61.1%에 비해 각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 30대의 경우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이전 시기에 비해 이후 시기의 비만 진료량이 증가했으나(20대 8.0%, 30대 2.3%), 2020년 대비 2021년의 비만 진료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20대 –7.2%, 30대 -2.2%) 감염병 첫해와 두 번째 해의 진료행태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30 또한 남성에서의 비만 진료량의 증가분이 여성에 비해 확연했다(20대 여성27.1% vs 남성2.1%, 30대 여성23.2% v
범정부 백신도입 TF(팀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는 영국 정부와 백신 상호 공여 약정을 22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약정에 따라 우리 정부는 영국 정부로부터 화이자 백신 100만 회분을 공급받고, 12월 중 분할해 반환하게 되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현재 협의 중이다. 양국 정부는 8월 말부터 백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백신 상호 공여 가능성을 논의해 왔다. 양국은 그간 코로나19 및 기후변화 대응 등 국제사회의 각종 현안에 있어 협력해 왔으며, 특히 9월 20일(현지시간) 한-영 정상회담을 비롯한 주요 외교 행사를 계기로 상호 공여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강화하고 조속한 약정 체결 의지를 확인했다. 영국으로부터 도입될 백신은 50대 연령층 및 18~49세 청장년층의 2차 접종 등에 사용될 예정으로, 정부는 화이자 백신 100만 회분이 도입됨에 따라 10월 말 전국민 70% 2차 접종의 안정적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백신이 안정적으로 국내에 도입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백신의 수급 시기 차이에 따른 백신의 상호 공여, 재구매 등이 활발해짐에 따라 한국 정부도 백신의 효율적 활용
원격의료와 같은 비대면 의료·건강서비스가 아직 환자들에게 요원한 이야기이자 오히려 사회구조의 양극화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6일에서 17일 이틀간 개최된 한국역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신재용 교수는 “코로나19 지난 1년 반 동안 비대면 의료서비스를 운영해봤더니 무엇이 문제인지 시장이 경험해봤다”면서 ▲원격의료가 대면의료만큼 또는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지 ▲원격의료가 모두에게 동등한 접근성 개선을 보장하는지 ▲원격의료가 오히려 의료의 남용을 불러일으키지는 않을지 ▲원격의료가 부당청구나 보험사기의 매개체가 되지는 않을지 등 4가지 우려를 꼽았다. 이어 “지난해 2월 24일부터 전화상담 처방 이후 올해 5월 16일까지 1만 695개 의료기관에서 208만 건이 진행됐지만, 작년 전체 의원급 외래 명세서 수 4621만 2769건 중 0.45%가 비대면 의료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 막상 환자 이용 부분에서는 많지 않았다”며 “비대면 의료·건강서비스는 환자들이 느끼기에는 아직까지 요원한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는 우려가 있다”고 했다. 무엇보다도 신 교수는 비대면 서비스가 임시적인 수단으로 여겨졌지만 앞으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하반기를맞아 제약사들이 새로운 모델과 함께 자사 제품 홍보에 나섰다. 배우부터 가수, 예능인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방송인들에 제약사들과 손을 잡았다. 현대약품과일동제약은 각각 배우 성훈, 오정세와 손을 잡아 탈모치료제 ‘마이녹실’·활성비타민 ‘아로나민 골드’를홍보했다. 한독은수입 유산균 ‘컬처렐®’ 홍보를 위해 방송인 탁재훈을 비롯, 장동민, 이수민 등과 웹 예능을 촬영했고, 알보젠코리아는 피임약 ‘머시론’ 홍보모델로 싱어송라이터 비비를 앞세워 신규 관고영상을 촬영했다. ◆현대약품, ‘마이녹실’의 홍보모델 배우 성훈 현대약품은 탈모치료제 ‘마이녹실’의모델로 배우 성훈을 선정하고, ‘복합마이녹실’ CF를 공개했다. 이번 CF 영상은 경쾌한 록 음악을 배경으로 영화 같은 색감과 빠른전환, 모델과 제품의 비주얼을 강조하며 복합마이녹실의 효능과 성분을 소개하는 것이 특징이다. 복합마이녹실 모델 성훈은 이번 TVCF에서 풍성한 머리를 보여주며머리카락이 빠지거나 가늘어지지 않도록 복합마이녹실로 치료하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자신감 있고 당당한워킹과 함께 영상을 마무리한다. 현대약품은 탈모인구 중 2030세대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바탕으로,
*21일, *빈소 서울성모병원, *발인 9월24일, *(02)2258-5922
감염병 확산으로 심각 위기경보가 발령될 경우 감염병 업무에 참여한 보건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생명안전수당을 지원하도록 하는 법 개정이 추진된다. 이른바 ‘생명안전수당 지원법’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많은 보건의료인력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열악한 처우와 감염 우려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희생과 헌신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감염병 재난 상황이 장기화 하면서 의료현장에서는 ‘번아웃’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날로 심각해 지고 있다. 이처럼 ‘더는 못 버티겠다’는 보건의료인력의 고충을 해소하는 한편, 파견인력 등과의 형평성 문제 해소를 위해 생명안전수당을 지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그간 정치권과 정부는 추경을 통해 보건의료인에 대한 위험수당을 지급해 왔지만 명확한 법적 근거는 없었다. 반복되는 감염병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현장 대응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보건의료인력의 헌신과 수고에 대한 보상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적정한 보상 체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평가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17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연일 수도권에서만 1300명 넘는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03명, 해외유입 사례는 17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9만 983명(해외유입 1만 423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115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만 1688건(확진자 34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6634건(확진자 6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9만 9473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720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722명으로 총 26만 1812명(89.9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75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17명이며, 사망자는 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19명(치명률 0.83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41명, 경기 528명, 인천 145명, 충남 61명, 대구 41명, 광주 40명, 부산 38명, 강원 33명, 경남 29명, 경북 27명, 충북·전북 각각 26명, 전남 23명, 울산 20명, 대전 16명, 제주 5명, 세종 4명이다. 해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7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에서만 1300명 넘는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97명, 해외유입 사례는 32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8만 9263명(해외유입 1만 422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31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만 9286건(확진자 26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721건(확진자 3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9만 317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729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079명으로 총 26만 90명(89.91%)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76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28명이며,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13명(치명률 0.83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73명, 경기 499명, 인천 130명, 대구 46명, 부산·충남 각각 44명, 대전 43명, 광주·강원 각각 39명, 전북 31명, 경북 27명, 경남 26명, 충북 23명, 울산 15명, 전남·제주 각각 7명, 세종 4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6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에서만 1100명 넘는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577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8만 7536명(해외유입 1만 4190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47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만 5601건(확진자 357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155건(확진자 4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만 5233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60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562명으로 총 25만 9011명(90.0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11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32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09명(치명률 0.84%)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78명, 경기 503명, 인천 96명, 대전 49명, 부산 47명, 전북 38명, 대구·충북·경북 각각 35명, 충남 33명, 광주 32명, 경남 30명, 강원 29명, 울산 14명, 세종 9명, 제주 8명, 전남 6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9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 확진세가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71명, 해외유입 사례는 39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8만 5931명(해외유입 1만 416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388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만 1239건(확진자 454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1188건(확진자 4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9만 6310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910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420명으로 총 25만 7449명(90.04%)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078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33명이며, 사망자는 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04명(치명률 0.84%)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732명, 경기 544명, 인천 180명, 대전 48명, 대구 47명, 강원 46명, 부산 44명, 충남 41명, 경북 39명, 충북 32명, 울산 30명, 광주·전북·경남 각각 21명, 전남 11명, 세종 8명, 제주 6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
추석 연휴가 시작된 가운데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2000명대를 기록해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백신 1차 예방접종자는 전 국민 70%를 돌파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47명, 해외유입 사례는 40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8만 4022명(해외유입 1만 412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만 766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만 8988건(확진자 46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2546건(확진자 8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만 9194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2087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935명으로 총 25만 6029명(90.14%)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559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29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94명(치명률 0.84%)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700명, 경기 665명, 인천 145명, 전북 72명, 대구·충남 각각 71명, 부산 49명,강원 48명, 대전·경남 각각 43명, 충북 39명, 울산 33명, 광주 25명, 경북 22명, 세종 12
최근 변이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수요가 전세계적으로확산하자, 전문가들은 백신 확보를 넘어 ‘백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국산 백신 개발이 중요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산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겠다며 뛰어든 제약사가어느덧 7곳으로 크게 늘었다. 이 중 3건은 1상시험, 3건은2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었고, 1건은 얼마 전 3상시험을 시작하게 되면서 국산 백신 확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HK이노엔 ‘IN-B009주’는 지난 7월 식약처로부터 1상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 면역원성은 바이러스 감염성을 없애거나 낮추는 중화항체 증가 비율로, 미국 노바백스의 백신처럼 표면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든 ‘재조합백신’이다. 특히 IN-B009주는 표면항원 단백질의 N-말단 부위에 세포 투과 펩타이드를 추가 발현시켜 세포내로 단백질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지난 15일 임상을 실시하는 기관 3곳에서환자 모집을 시작했으며, 건강한 만 19~55세 성인을 대상으로용량에 따라 2군으로 나눠 IN-B009를 3주 간격으로 2회 근육투여하며, 백신의안전성과 반응원성, 면역원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아스트라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가 환자경험평가에 대해 평가 점수로 순위를 매겨 의료기관 간의 경쟁을 부추긴다고 쓴소리를 날렸다. 의료진이 환자중심의료를 온전히 실천할 수 있도록 최상의 의료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우선시하라고 당부했다. 의정연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환자중심의료 평가 도구 개선 방안(오영인·안덕선)’ 보고서를 공개했다. 2016년 12월 환자경험평가 세부시행계획(안)이 심의・의결된 후 심평원은 2017년 제1차 환자경험평가 조사를 실시했고, 동일한 설문으로 2019년 2차 평가에서는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급(상급종합병원 포함)으로 대상을 확대해 시행했다. 보고서는 환자중심의료 평가도구의 우려사항으로 ▲환자경험과 임상적 품질의 상관관계 ▲환자경험평가 도구의 모호성 ▲의료의 특성 간과 ▲의료기관 간 불필요한 경쟁 및 환자 선택의 영향 ▲임상적 진료 행위에 영향 등을 언급했다. 이어 현재 심평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자경험평가와 관련해 개선사항을 제시했다. 우선 의료 경험은 연령, 성별, 건강상태, 교육 수준, 거주 지역, 성향, 소득, 이전 경험 등과 같은 다양한 특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례혼합조정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는 의견
헌혈 증진과 헌혈자 예우 방안을 범정부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첫 번째 국가헌혈추진협의회가 17일 화상회의로 개최됐다. 협의회를 통해 코로나19 대응 혈액수급 안정화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국가헌혈협의회는 혈액관리법 제4조의2 개정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 소속으로 설치하고, 위원장(보건복지부 제2차관 강도태) 1명을 포함한 관계부처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운영된다. 오늘 회의는 국가헌혈협의회 첫 번째 회의로 국가헌혈협의회 위원(10명) 및 17개 시·도, 2개 공급혈액원(대한적십자사, 한마음혈액원)의 헌혈업무 담당자가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먼저 국가헌혈협의회 구성 및 운영 지침안을 심의했다. 지침안의 주요내용은 국가헌혈협의회의 기능과 위원회 구성 및 회의 개최방식 등으로, 보건복지부는 헌혈 증진을 위해 매년 정례적으로 회의를 개최할 예정으로 앞으로 각 부처가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청했다. 첫 번째 보고안건은 혈액보유량 관심단계 지속에 따른 ’코로나19 대응 혈액수급 조치 및 대책‘이었다. 복지부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혈액수급 위기관리를 위해 그간 지속적으로 요청해온 공공부문 단체헌혈 참여, 유관기관 헌혈 독려 및 각 부처·지자체 헌혈 장려 임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추석 연휴 전 금요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잠정집계한 결과,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3600만 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2월 26일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한 이후 204일만이다. 금일 오후 5시 기준 누적 1차 접종자는 3600만 4101명으로 전 국민의 70.1%, 18세 이상 인구의 81.5%에 해당한다. 이 중 2188만 6103명이 접종을 완료(총 인구 대비 42.6%)했다. 우리나라의 1회 이상 백신 접종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먼저 접종을 시작한 국외 주요 국가와 유사하거나 높은 수준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1차 접종률은 미국, 일본, 독일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조기에 시작한 국가들에서 1차접종률 50% 이후에는 접종속도가 정체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1차접종률 50% 이후에도 꾸준히 접종이 이루어져 비교적 단기간에 70% 접종률에 도달했다. 정은경 단장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돼 1차접종자 수 3600만 명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덕분으로, 동참해주신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백신의 생산과 배송을 위해 밤
대한요양병원협회는 감염병전담요양병원들이 코로나19 대응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대한요양병원협회는 17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에 감염병전담요양병원 손실보상을 포함한 지원을 공식 요청했다.방역당국은 지난 1월 초 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 환자들이 집단 발생하자 긴급의료 대응방안을 수립하면서 요양병원 확진자를 전담하는 감염병전담요양병원 11개를 지정했으며, 현재 4개 요양병원이 운영중이다. 요양병원은 의료법상 코로나19 감염증과 같은 제1급 감염병 환자들이 입원할 수 없지만 이들 요양병원은 방역당국의 요청에 따라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전환해 현재까지 맡은 소임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감염병전담요양병원에 따르면 정부가 손실보상금 산정방식을 변경하고, 과도한 파견인력 인건비로 인해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2개 감염병전담요양병원들이 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방역당국은 당초 감염병전담요양병원 등 코로나19 환자들을 치료하는 의료기관들을 충분하게 손실 보상해 경제적 손실을 보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대한요양병원협회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 상황 속에서 감염병전담요양병원들이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이 공식적인 병원 정상화를 선언하고 17일 21개 입원병동을 모두 ‘클린 존(Clean Zone)’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지난 8월 22일 대구가톨릭대병원 병동 내에서 7명의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현재까지 총 130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24일 45명의 확진자가 나오며 최대 정점을 찍었고, 26일부터 한 자리 수를 유지하며 진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9월 3일 처음으로 확진자 발생 0명을 기록했다. 대구가톨릭대병원은 그동안 21개 입원 병동을 A그룹(환자, 보호자, 직원 등 환자 다수 발생한 병동), B그룹(병동내 1~2명 정도 산발적 발생한 병동), C그룹(환자 발생되지 않은 병동 (Clean Zone))으로 분리해 운영했다. 2주 이상 꾸준히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자 A, B그룹을 C그룹으로 전환해 완전한 병원 정상화를 준비했고, 단계적으로 격리 병동별 환자 및 보호자, 의료진 등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PCR)를 실시해 A, B그룹 병동을 순차대로 격리 해제하며 17일 공식적인 병원 정상화를 이뤘다. 병원 관계자는 “지난 16일 오후 마지막 1개 병동이 격리 해제 되면서 모든 병동을 정상 운영할 수 있게 됐다. 빠른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