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t인터넷티엠 *텔레howDB!('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8,04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오늘(27일) 오후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 계획 등이 담긴 ‘코로나19 예방접종 4분기 시행계획’이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국내외에서 실시된 백신 임상시험 및 접종사례에서 예방효과나 이상반응 등이 성인과 별 차이 없고, 세계 각국에서 12세 이상 청소년들에게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했을 때 접종이 더 이롭겠다는 게 소아감염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대한백신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소아감염 전문가들은 12~17세 소아청소년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에 대해 설명했다. 충남대병원 조은영 교수는 “최근 국내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보면 20세 미만에서 약 3만 7000명 발생했고 이 중 0~9세가 5.3%, 10~19세가 8.9% 정도를 차지했다. 현재까지 19세 미만 사망자는 없고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위중증 비율이 낮긴 하지만 10대 위중증 환자가 발생한 상황으로, 소아청소년에서의 질병부담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소아청소년에서 백신 접종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그러면서 “최근 여러 차례 유행이 반복되면서 전체 확진자가 늘고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0~9세, 10~19세 확진자 발생도 무시할 수 없으며, 점차 그 비율이 늘어나고
*26일, * 빈소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9월29일, *(02)2227-7569
9월 중 4곳의 제약사에서 기업설명회를 개최 현황이 확인됐다. 유한양행과 HK이노엔에서는 9일, 일동제약에서는 14일에 설명회를 진행했다. 대부분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모습이었으나, 일동제약은 오프라인을 통해 투자자들을 만난 것으로 확인됐다. SK케미칼은 아직 설명회가 개최되지는 않았으나, 27일 판교 본사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유한양행, 9일 화상회의 통해 개최 유한양행은 9일 화상회의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IR은 KB Korea Conference 참가를 위해 개최됐다. 상반기 7780억원을 기록한 유한양행은 ETC 매출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ETC 부문은 이번 상반기에 4849억원을 기록했다. OTC 부문에서는 764억원을, 기타 특목 사업과 AHC 사업은 각각 127억원, 108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ETC에서는 당뇨약 트라젠타가 557억원으로 가장 매출이 높았고, B형간염 치료제 비리어드는 411억원, 혈압약 트윈스타는 373억원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OTC에서는 소염진통제 안티푸라민이 114억원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매출을 달성했따. 유산균 엘레나는 91억원, 영양제 메가트루는 68억원으로 확인됐다. 해외 수출은 상반기
충북대학교병원이 개원 30주년을 맞이해 기념행사를 실시한다. 28일 오후 2시 병원 서관 9층 직지홀에서 시작되는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준수해 최소인원만으로 진행된다. 이날 기념행사에서는 병원의 발자취를 담은 개원 30주년 기념 영상이 상영된다. 30주년 기념 슬로건 및 사진공모전에 당선된 작품들에 대한 소개와 당선자들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된다. 또한 공로직원에 대한 포상 및 감사장 수여의 자리도 마련돼 있다. 마지막으로 故 이완호 작가의 작품기증식도 계획돼 있다. 충북대병원은 1991년 7월 20일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해 1995년 법인으로 전환했다. 초창기 9개였던 진료과를 24개로 확충하면서 충북권 유일의 상급종합병원으로 발돋움했다. 최영석 병원장은 “지난 역사를 통해 얻은 것들이 미래를 향한 원동력이 되어가고 있다”며 “함께한 모든 이들의 피와 땀과 노력이 미래를 밝게 미추는 등불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충북도민의 건강과 의학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충북대병원은 30주년 슬로건을 충북도민과 병원이 앞으로 만들어갈 희망찬 미래를 뜻하는 ‘같이 걸어온 30년, 함께 걸어갈 미래’로 정했다.
한국병원약사회(회장 이영희)는 오는 29일 웨비나를 시작으로, 30일부터 10월 13일까지 2주간 온라인으로 ‘2021 병원약제부서 관리자 역량강화교육’을 개최한다. 본 역량강화교육은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 속에서 관리자로서 자질을 함양하고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매년 시행해오고 있으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웨비나 및 온라인 교육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금년도 관리자 역량강화교육은 ‘MZ 세대를 이끄는 리더십’을 주제로 한 웨비나를 비롯해, 최근 약무정책 방향 및 마약류 안전사용 기준 등 업무관련 주요 정책이나 제도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보건복지부, 식약처 관계자를 초청한 강의들로 꾸려진다. 29일 웨비나를 시작으로 30일부터 2주간 진행되는 온라인 교육에서는 ‘약제 업무의 방향성 고찰’을 주제로 총 7개의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약관리과 김정연 과장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처방분석 및 마약류 안전사용 로드맵’ 강의에서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의 이해와 의약용 마약류 안전사용 기준과 조치기준, 그리고 지난해 12월부터 시행 중인 사전알리미제도 소개와 자율적 안전관리 지원 등을 전달할 계획이다. 이어 서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2700명대를 기록하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30만 명대를 돌파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735명, 해외유입 사례는 36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30만 1172명(해외유입 1만 433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만 598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0만 3026건(확진자 587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만 654건(확진자 88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6만 4278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2771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726명으로 총 26만 8140명(89.03%)이 격리해제 돼, 현재 3만 58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20명이며, 사망자는 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50명(치명률 0.81%)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923명, 경기 922명, 인천 169명, 대구 143명, 경북 85명, 충남 74명, 경남 72명, 대전 53명, 충북 49명, 강원·전북 각각 47명, 부산 46명, 광주 39명, 울산 27명, 전남 25명, 세종 8명, 제주 6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3000명대를 넘어선 가운데, 수도권에서만 2500명 넘는 확진자가 무더기로 쏟아져 나왔다. 가파른 확산 속도로 누적 확진자 수는 30만 명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245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9만 8402명(해외유입 1만 430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6만 3658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4만 1593건(확진자 731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만 2623건(확진자 6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22만 7874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3273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922명으로 총 26만 6414명(89.2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9547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39명이며,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41명(치명률 0.82%)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217명, 경기 1094명, 인천 201명, 대구 118명, 충남 91명, 대전 79명, 전북 67명, 충북 59명, 경북 57명, 강원 56명,
무과실 분만 의료사고 보상 기금이 고갈 위기에 처해 재원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는 보건의료인이 충분한 주의의무를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 분만 과정에서의 의료사고에 대해 최대 3000만원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그동안 의료중재원은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으로 총 25억 1000만원을 집행했으며, 2021년 6월 현재 6억 7500만원이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안정적인 제도 운용을 위해 추가 재원 확보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보상 재원은 적립목표액 31억원에 대해 국가 70%, 분만 의료기관 30% 분담하도록 했으며, 국가 분담금은 2013년 1회 출연했고, 의료기관 분담금은 2014년~2017년 순차적으로 부과·징수했다. 이와 관련 분만 의료기관 개설자 1854명 중 폐업자를 제외한 1754명(98.9%)이 8억 8000만원을 납부한 상태다. 한편 최근 5년간(2016~2020년) 불가항력 의료사고로 보상 청구가 접수된 98건 중 85건(86.7%)에 대해 총 20
미국 CDC에서 부스터샷 접종 대상자가 결정된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 후 5~6개월까지는 충분한 예방효과가 유지됐지만 이후 점차 감소해 8개월 이후부터는 부스터샷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는 국내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2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대한백신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코로나19 백신 교차접종과 추가접종(부스터샷)에 대해 설명한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송준영 교수는 “델타변이 바이러스 출연 이후 코로나19 백신의 장기적인 예방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지만, 접종 완료 후 5~6개월까지는 충분한 예방효과가 유지됐다가 중화항체 역가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6~12개월 사이에는 부스터샷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송 교수는 “모더나 백신 접종 후 장기면역원성 효과를 평가한 연구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항체역가가 감소하고 고령자에서 더 빠른 감소를 보였지만, 적어도 2차 접종 6개월간은 80~160 수준으로 유지되고, 반감기를 고려하면 2차 접종 후 8개월 이후에는 80 미만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서 이 시점부터는 부스터샷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실제 최근 미국에서 초기에 백신 접종을 받았던 의료인력 4000여명을 대
영남대병원은 지역 사립대학병원으로서 최초로 단일 구멍 수술 전용으로 상용화된 로봇수술 시스템 ‘다빈치 SP’(Single Port, 싱글 포트)를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영남대병원은 2013년 ‘다빈치Si’ 로봇 풀 패키지를 도입하고, 2020년 ‘다빈치X’ 로봇을 업그레이드 하는 데에 이어, 최첨단 로봇 시스템 ‘다빈치 SP’를 도입한다. 이로써 여러 분야의 수술환자들에게 여러 구멍(멀티 포트)을 이용한 수술과 단일공(싱글 포트) 수술 모두를 포괄하는 로봇수술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단일공 수술은 절개창 부작용이 적고, 일반적으로 흉터가 잘 드러나지 않는 배꼽에 직경 약 2.5cm의 구멍 하나를 내어 이를 통해 모든 수술 과정이 이뤄진다. 기존의 개복수술이나 여러 구멍 수술에 비해 환자의 통증은 감소하는 반면 미용적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재원 기간이나 일상으로의 복귀 시간도 줄일 수 있는 있는 신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영남대병원에서 단일공 수술이 가능한 분야는 두경부암, 담낭, 부인과, 유방암, 갑상선암, 전립선암, 신장암, 부신, 대장암 수술 등이다. 사실상 이전에 여러 구멍 로봇수술이 이루어진 전 분야를 포괄하며, 구강
일동홀딩스(대표 박대창)가 계열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지분 일부를 NH투자증권을 비롯한 기관투자자들에게 매도한다고 24일 밝혔다.주식 매각 규모는 발행 총 수의 20%에 해당하는 160만주, 200억원 상당이며, 이달 중 1차 분에 대한 130억원이 납입되고 나머지 2차 분은 11월 말까지 거래가 완료될 예정이다.일동홀딩스 측은 지분 매각을 통한 이번 투자 유치가 기업 및 주주 가치를 제고하고, 계열사 운영 및 사업 추진 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뿐만 아니라, 회사가 보유한 계열사의 지분 가치를 시장에서 평가 받고, 사전 투자를 유도하는 등 향후 예정된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기업공개(IPO)를 활성화하는 기회로 삼는다는 복안이다.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016년 일동제약으로부터 분할, 일동홀딩스의 계열사로 신설된 건강기능식품 및 관련 소재 전문기업이다.특히, 유산균을 비롯한 프로바이오틱스 분야의 원천기술 및 특허, 국내 최고 수준의 전용 제조 시설 및 종균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일동제약은 물론, 국내외 유수의 업체에 다양한 원료와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최근에는 자사 원료 등에 대한 미국 자체 검증 GRAS(Self-Affi
㈜휴온스(대표 엄기안)는 하반기 ‘휴닥신주’로 면역증강 보조 주사제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고 24일 밝혔다. 휴닥신주는 관계사 ㈜휴메딕스(대표 김진환)가 개발에 성공, 허가를 받은 ‘싸이모신 알파 1(Thymosin α1)’ 주사제로, 휴온스가 국내 유통을 맡았다. 싸이모신 알파1 주사제는 주로 면역기능이 저하된 고령 환자의 인플루엔자 백신접종 시 면역증강을 위한 보조요법에 쓰인다. 체내 흉선에 존재하는 면역조절 펩타이드인 싸이모신 알파1은 면역계 T세포, NK세포, 수지상세포 등 면역계 다양한 세포를 활성화해 면역 반응이 저해된 상황에서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식약처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싸이모신 알파1주사제 생산실적은 약 423억원으로 집계됐으며, ‘면역’이 제약업계 주요 화두로 떠오르면서 올해 들어 시장에 새롭게 진출하는 업체들이 증가하는 등 시장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처럼 경쟁이 치열해진 싸이모신 알파1 주사제 시장에서 휴온스는 ‘바이알’ 제형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보통 싸이모신 알파1 주사제는 약제는 바이알, 용제는 앰플 제형이지만, 휴닥신주는 약제와 용제 모두 편의성이 높은 ‘바이알’ 제형을 채택했다. 일반적으
국내 비뇨의학과에서는 최초로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가 ‘아르테미스’(Artemis)를 도입했다. 이대서울병원은 비뇨의학과에서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와 전립선 자기공명영상(MRI)을 융합해 3차원 이미지로 전립선암을 진단할 수 있는 아르테미스를 도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대서울병원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도입한 아르테미스는 MRI와 초음파에서 3차원 이미지를 얻고 융합해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부위를 정확하게 추적해 조직을 채취할 수 있는 반자동 로봇 기계다. 전립선암은 초기에는 5년 생존률이 100%에 육박할 만큼 예후가 좋은 암이지만,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뼈 전이 및 다른 장기로 전이가 돼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전립선암은 조직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암을 진단하는데 기존에는 전립선특이항원(PSA) 선별 혈액 검사의 상승과 직장 수지검사에서 전립선암이 의심되면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를 보면서 조직검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암세포가 있는 정확한 위치가 아닌 암이 흔히 생기는 부위를 무작위로 조직을 얻기 때문에 암을 놓칠 가능성이 존재했다. 이에 최근에는 조직검사 전 MRI를 촬영해 영상으로 전립선암
24일 0시 기준으로 지난 1주일 동안의 국내 발생 확진자는 1만 3006명으로, 수도권은 전주에 비해 38.5명(2.8%), 비수도권은 53.7명(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석 연휴가 끝난 뒤 확진자가 대거 속출해 병상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명령 추진상황으로는 23일 기준 확보 목표 대비 수도권은 위중증 병상 89.5%, 중등증 병상 92.9% 확보가 완료됐고, 비수도권은 위중증 병상 80.8%, 중등증 병상 98.5% 확보할 계획이다. 김부겸 본부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보건복지부로부터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보고받고 논의했다. 보고에 따르면, 수도권의 1일 평균 확진자 수는 1,399.6명으로 전주에 비해 38.5명(2.8%) 증가했고, 비수도권은 458.4명으로 전주에 비해 53.7명(13.3%) 증가했다. 검사량도 늘고 있다. 어제(23일)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7만 616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17만 5952건의 검사가 이뤄졌다.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202개소(수도권 142개소, 비수도권 60개소)를 운영
전남대학교병원이 개원 111주년을 맞아 ‘미래 의료의 표준을 제시하는 뉴 스마트병원’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제2의 도약을 다짐했다.전남대병원은 24일 전남대의과대학 명학홀에서 전남대병원 개원 111주년 기념식과 전남대어린이병원 개원 4주년 기념식을 가졌다.이날 기념식에서 안영근 병원장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급격한 의료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선진의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아울러 병원의 나아갈 방향과 의무를 나타내는 미션과 핵심가치도 새롭게 선포했다.이번에 발표된 비전은 첨단학문의 연구와 전인 양성을 통한 의학발전에 기여하고, 고객중심 의료서비스의 혁신과 건강한 의료문화의 정착을 지향하는 생명존중의 병원으로 거듭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또한 AI, 디지털 기술,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적인 의료서비스와 새로운 의료지원체계를 구축해 최고의 선진병원을 목표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도 나타내고 있다.비전에 이어 핵심가치 ‘PRIDE’도 제시됐다.‘PRIDE’는 Professional (따뜻한 전문가), Respectful (존경받는 인재), Innovative (끊임없는 혁신), Public Duty (사회적
최근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APN5 펩타이드가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증상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탈모는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고통스러운 질환이다. 이 질환은 노화, 호르몬 장애, 여러 약물의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탈모의 치료법은 바르는 약, 먹는 약, 모발 이식술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모촉진제는 부작용이나 부분적인 효능에 대한 우려로 사용이 제한돼 탈모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신약에 대한 수요가 높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정진호 교수·서울대 화학부 이형호 교수 공동연구팀은 아디포넥틴(adiponectin)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증상 억제 효과를 보이는 펩타이드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아디포넥틴’은 주로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체내 단백질의 일종이다. 이 단백질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체내에서 비만, 당뇨병, 동맥경화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 아디포넥틴 부족과 남성형 탈모증의 중증도가 연관이 있다는 사실에 연구팀은 주목했다. 연구팀은 아디포넥틴 단백질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중
80세 이상 초고령 대장암 환자의 경우 복강경수술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강경수술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몸속으로 가스를 주입하는데, 이로 인해 복압이 올라가며 심장, 폐, 혈관 등이 눌리게 된다. 초고령 환자들은 이러한 과정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복강경수술이 꺼려졌다. 하지만 복강경 술기의 발전으로 수술시간이 줄어들고 수술의 완성도도 높아짐에 따라 최근에는 초고령 대장암 환자들도 복강경수술로 완치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초고령 대장암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복강경수술을 시행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같은 내용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김종완 교수(교신저자), 김정연 교수,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손일태 교수,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김병천 교수,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강병모 교수, 강동성심병원 김민정 교수(이상 외과) 연구팀은 ‘고령의 대장암 환자에서 복강경수술과 개복수술의 임상 및 종양학적 결과(Clinical and oncologic outcomes of laparoscopic versus open surgery in elderly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 retrospect
대한개원의협의회는 지난 18일 오전 10시부터 12시경까지 약 2시간 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 수진자 자격조회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건강보험 자격확인이 되지 않는 환자들이 오랫동안 대기하거나 진료를 받지 못하고 돌아가는 사태가 벌어진 데 대해서 공단에 항의하고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23일 대개협은 공단 측 관계자에게 지난 18일 사태에 대한 자초지종을 문의했으나, 신뢰하기 어려운 답변으로 인해 크게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공단은 수진자 자격조회 시스템이 다운된 이유가 인증모듈 소프트웨어의 문제라고 답변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을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하며, 에러가 계속 반복되어 결국 시스템을 재부팅 한 뒤에 복구됐다고 한다. 따라서 인증모듈 소프트웨어의 문제라면 아직 다 해결되지 않은 것이며, 언제 다시 이런 사태가 재발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공단은 이미 의료전문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태가 병·의원에서 사용하는 청구 프로그램의 서버 인증 절차에서 일부 문제가 발생해 그런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이런 인증 절차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 만큼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동석 회장은 “공단의 문제를 요양기관이나 청구
추석 연휴가 끝난 여파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400명 넘게 대거 쏟아져 나왔다. 특히 확진자는 서울과 경기 수도권에 집중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416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9만 5132명(해외유입 1만 4275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7만 616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5만 2338건(확진자 46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만 3614건(확진자 7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24만 6568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2434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650명으로 총 26만 4492명(89.62%)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820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09명이며,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34명(치명률 0.82%)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903명, 경기 704명, 인천 140명, 대구 128명, 충남 75명, 대전 71명, 전북 62명, 충북 60명, 경북 45명, 강원 43명, 광주 42명, 경남 37명, 울산 30명, 부산 29명, 전남 17명, 세종 16
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이 2021년 하반기 신입/경력 정기 공채를 실시한다. 모집 분야는 ▲영업부(ETC) ▲마케팅부(ETC) ▲전략기획실(IR) ▲재경실 ▲홍보실(CP) ▲컨슈머헬스케어부(온라인영업) ▲R&D(연구기획, 합성연구, 약리연구, 임상) ▲향남공장(제조설비, 원료관리) ▲진천공장(관리약사, 설비기술, 생산) 등이다. 전형절차는 서류 전형에 이어 인적성 검사와 1차 실무 면접, 2차 임원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정한다. 자세한 사항은 대원제약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서류 접수 기한은 30일(목)까지다. 이번 공채에서는 채용에 대한 궁금증을 비대면으로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채용설명회 및 상담회를 운영한다.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온라인 상담이 가능하며, 유튜브 생방송으로 비대면 채용설명회를 진행한다. 한편 대원제약은 올해부터 ‘대원제약 DNA 채용‘이라는 이름으로 공채를 진행하고 있다. 소위 ‘스펙을 위한 스펙‘이 아닌 역량 중심의 채용으로, 대원인의 DNA를 보유한 인재를 찾는다는 의미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대원인으로서 갖춰야 할 공통 역량 및 직무 역량이 채용에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며, “코로나19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