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6텔darknessDB{}사업자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8,04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해외 의존율에 대한 분석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일무역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특정국가에 수입을 의존하는 것이 국가와 산업에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경각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 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일례로 식약처는 올해 초 고어사(社)의 소아용 인공혈관 공급 중단 사태로 곤혹을 치르기도 했다. 일부 언론보도에 따르면 중국과 무역갈등을 겪고 있는 미국에서도 자국 내 항생제의 97%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해외 의존율을 파악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는 없는 실정이다. 다만 의존율을 추측할 수 있는 몇 가지 데이터만 있을 뿐이다. 인재근 의원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원료의약품 국내자급도는 26.4%였다. 지난해 약 2조 5616억원의 원료의약품을 국내 생산했고, 이 중 약 1조 7468억원이 수출됐다. 수입규모는 2조 2672억원이었다. 원료의약품은 생산과 수출, 수입 모두 2014년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
경희대학교병원(병원장 오주형) 정형외과 이용걸 교수가 지난 9월 19일(목),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개최된 제14회 세계견주관절학술대회에서 ‘견주관절 선구자상’(PIONEER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을 수상했다. 해당 상은 견주관절 분야에 큰 공헌을 기여한 자에게 수여된다. 아시아에서는 이용걸 교수가 최초 수상자로서 세계 속에서 한국 의료의 위상을 드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교수는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견주관절 분야 발전에 힘써오고 있으며, 매년 경희 견주관절 라이브 수술(Live Surgery)과 방콕 카데바 워크숍을 진행하며 후학 양성에도 앞장서고 있다. 정형외과 이용걸 교수는 “뜻깊은 자리에서 영광스러운 상을 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정진하며 견주관절 분야의 밝은 미래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용걸 교수는 2016년 세계견주관절학회 대회장으로서 제13회 세계견주관절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한 바 있다. 세계견주관절학술대회는 3년마다 열리는 세계 어깨관절 분야의 최대 학회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병원장 유경호) 폐센터(센터장 장승훈)는 10월 15일(화)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본관 4층 한마음홀에서 ‘제17회 폐의 날 시민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는 장승훈 폐센터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만성기도질환 관리와 치료…독감·만성기침과 천식’ 주제로 세 개의 강좌를 진행한다. ▲장승훈 교수가 <호흡기 위생관리> ▲박성훈 교수가 <독감,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김환일 교수가 <만성기침과 천식> 주제로 강의하고 별도의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폐기능 검사는 사전등록을 통해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장승훈 센터장은 “호흡기·알레르기환자를 위해 올해 폐의 날 시민강좌는 만성기도질환의 관리와 치료, 독감 및 만성기침과 천식치료에 대한 강의를 마련했다”며 “환자뿐 아니라 관심있는 분 누구나 참석하여 호흡기 건강에 필요한 최신 의학을 함께 나누는 좋은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며 참여를 독려했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은 호흡기·알레르기환자의 질환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마다 10월 폐의 날을 지정하여 시민강좌를 개최하고 있다. 사전등록 및 문의는 폐센터(031-383-3715)로 하면 된
유진홍 교수(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감염내과)가 지난 2019년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경주 화백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19년 추계 감염학회 겸 국제 감염학회(International interscience Conference on Infection and Chemotherapy)에서 제30대 대한감염학회 회장으로 추대됐다. 유진홍 교수는 2019년 12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2년 동안의 임기동안 대한감염학회 회장 업무를 수행한다. 유진홍 교수는 대한감염학회 부회장(2009~2011). 대한감염학회 부이사장(2013~2015),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11대 회장(2015~2017)을 역임한 바 있다. 한편, 대한감염학회는 1961년 창립돼 국가적 감염병 관리와 감염학 발전에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학회다.
의료기관의 처방으로 환자가 직접 놓는 ‘자가투여 주사제’에 대한 안전사용 및 오남용 우려가 높아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보건복지위‧송파구병)은 7일 “성장호르몬제제, 인슐린제제, 비만치료제 등 자가주사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자가주사제는 의료기관이나 약국을 자주 가는 불편을 최소화하는 편리함이 있는 반면, 주사제의 가정 내 보관상의 문제나 투약 방법의 오류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출혈이나 감염, 통증 등 부작용 사례도 적지 않기 때문에, 오남용 방지 및 환자 안전사용 대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식약처가 남인순 의원에게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바이오 의약품 자가주사제 생산실적’에 따르면, 비만치료제인 삭센다펜주6mg/mL(밀리그램/밀리리터)의 경우 2017년 7월 허가했는데 생산실적이 2017년 30만 달러(최근 환율로 4억원)에서 2018년 3074만 달러(최근 환율로 368억)로 급증했다. 난임 난포성숙을 위한 폴리트롭프리필드시린지주 0.6mL의 경우 생산실적이 2015년 94억원에서 2018년 165억원으로 증가했으며, 당뇨병 치료 인슐린제제인 트레시바플렉스터치주100단위/mL의 경우 생산실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조남천)이 의료계를 이끌어갈 훌륭한 의료인 양성을 위해 전북대학교 의·치대학 및 간호대학생 12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고 7일 밝혔다. 전달식은 병원 본관 2층 한벽루홀에서 조남천 병원장과 정명자 교육수련실장, 전북대학 의·치대학 및 간호대학 등에서 선발된 학생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전북대병원은 학생들의 면학분위기를 조성하고 훌륭한 의료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전북대학교 의·치대학생 및 간호대생을 추천받아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눠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올해는 의과대학 4명 치과대학 2명 간호대학 6명 등 총 12명에게 총 162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했다. 조남천 병원장은 “전달된 장학금은 우리 의료계를 짊어질 젊은 의학도들이 훌륭한 의료인으로 성장하길 바라는 병원 가족들의 마음을 모은 것으로 여러분들이 학업에 정진하는데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릉아산병원은 강릉시보건소와 함께 4일(금) 저녁 5시부터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은 강릉시 강동면 지역에 의료봉사단을 파견해 이재민들을 대상으로 긴급 의료봉사를 진행했다. 강릉지역은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약 371mm의 집중호우가 내려 건물침수, 토사 유실 등으로 인한 재산피해와 많은 수재민이 발생했다. 강릉아산병원은 의사 1명, 간호인력 2명 등 5명으로 구성된 의료봉사단을 구성해 강동면 산성우2리 마을회관에서 진료상담, 혈압 및 혈당체크, 투약 등을 실시했다.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직무대행 송병철)은 “본원 간호부가 지난 4일 병원 1층 로비에서 ‘건강한 삶은 간호사와 함께 건강을 지키는 깨끗한 손, 올바른 손씨기’ 라는 주제로 '1004Day 행사'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외래환자와 방문객들 대상으로 우리의 손과 핸드폰의 오염도측정기를 통하여 손 씻기의 중요성을 알렸으며, 올바른 손위생 6단계 등 혈압, 혈당 체크와 건강 상담을 실시했다. 강희욱 간호부장은 “제주대학교병원 간호부는 병원간호사회에서 지정한 10월 4일 1004Day에 맞춰 다양한 봉사활동으로 환자들에게 육체의 질병은 물론 마음까지 치유하는 병원으로 환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고 전했다.
지난 6월 식약처가 시술 이후 희귀암 발생 가능성의 우려가 존재하는 텍스쳐 표면을 가진 실리콘겔 인공유방의 부작용 예방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정부에서 관리하는 인체삽입의료기기 52개 품목 중 실리콘겔 인공유방이 전체 부작용의 80%를 넘게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작용 예방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이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추적관리대상 인체삽입의료기기의 부작용 발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인체삽입의료기기의 부작용 발생건수는 14개 품목 4839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부작용 발생건수 중 실리콘겔 인공유방은 81.3%에 달하는 3933건을 차지해 부작용 발생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특수재질 인공무릎관절 477건(9.9%), 생체재질 인공심장판막 129건(2.7%) 순이었다. 특히 실리콘겔 인공유방의 경우 2014년 463건, 2015년 525건, 2016년 523건, 2017년 846건, 2018년 967건, 2019년 1~6월 609건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부작용으로는 ‘구형구축’이 2,165건으로 59.2%를 차지
거친표면 인공유방 보형물로 인한 희귀암 발병이 확진된지 2개월 가까이 지났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식받은 환자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6일 제출한 자료를 확인한 결과 안전성 정보 개별 통보가 이루어진 환자는 9832명으로, 이식받은 환자 6~7만명(추정치)의 15% 안팎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엘러간 사의 거친 표면 인공유방으로 인한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BIA-ALCL) 최종 확진이 된 날짜는 지난 8월 13일이다. 다음날 대한성형외과학회가 식약처에 보고를 했고, 식약처는 이를 이틀 후인 16일 확정발표하고 의료기관에 사용중지 명령을 내렸다. 안정성 정보를 환자에게 처음 통보한 것은 보름이 지난 8월 30일이다. 10월 4일 기준 엘러간 인공유방 보형물 8만 3198개가 약 1195개 의료기관을 통해 약 6~7만명의 환자에게 이식된 것으로 식약처는 추정했다. 이중에 파악된 이식 환자는 837개 의료기관의 4만 4478명이다. 이중에 안전성 정보에 관한 환자 개별 통보는 272개 의료기관 9832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식약처가 환자를 파악하지 못하는 이유는
소위 제2의 프로포폴이라고 불리는 마취제 에토미데이트 수입량이 지난 8년 새 8.3배 증가했고, 식약처가 불법 유통·판매를 현장 조사한 결과 2개의 의료기관, 3곳의 도매상이 총 1만5,700개의 에토미데이트를 빼돌려 불법 유통한 사실이 확인됐다. 에토미데이트는 전신마취유도제로 프로포폴과 유사하게 초단시간(1분에 시작, 5~15분 지속) 작용해 제2의 프로포폴로 불리며 은밀히 확산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에토미데이트는 지난 2010년 6만 3000개 앰플이 수입됐는데, 프로포폴이 마약류로 지정된 2011년에 17만 5490개로 2.8배 폭증한 이후 2018년에 52만 3920개 앰플이 수입돼 8년 새 8.3배 증가했다. 이와 관련 식약처는 지난 7월 2018년 기준으로 에토미데이트 공급 상위 30개소 중 불법 유통·판매가 의심되는 10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도매상이 의료기관에 거래내역만 발급한 후 의료기관에 공급하지 않고 뒤로 빼돌려서 불법 유통했던 서울 동대문구 소재 H정형외과의원과 대구 북구 소재 E내과의원과 3개의 도매상을 적발했다. 이들이 빼
최근 국민적 공분을 일으킨 버닝썬 사건을 비롯한 연예인 마약 투여와 모 대기업 재벌 4세의 국내 마약반입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고 있어 마약류에 대한 철저한 관리 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정숙 의원(대안신당(가칭), 비례대표)이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마약류 사범으로 검거된 인원이 51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로 증가했으며 일명 물뽕과 같은 향정신성의약품 사범이 82%(421명)로 가장 많았다. 이에 식약처는 마약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의료기관이나 수출입 및 제조업자, 도매업자 등의 관리소홀로 도난, 분실, 변질, 파손된 사고가 2018년부터 올해까지 총 2137개소에서 4592건이나 발생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유형별로 살펴보면 마약 불법투약 범죄로 이어질 수 있는 도난이 53건, 분실이 34건이나 발생했다. 또한 사고 발생 업종별로는 병원과 의원이 전체의 90%에 달했다. 이에 2014년부터 올해 8월까지 마약류 도난·분실을 확인한 결과, 총 256건이 발생했고 도난·분실된 의약품 수량은 무려 5만 4534개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최근 5년간 도난·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세포·유전자 치료제와 관련,STR(Short Tandem Repeat,단편일렬반복)검사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2010년 파악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 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의원에 따르면, 식약처는 지난 2010년 12월 ‘생물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세포기질 관리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세포은행으로 제조된 세포를 확인(identification)하기위해 적절한 시험을 수행해야 한다”며 “사람 세포인 경우 DNA 프로파일링과같은 유전적 시험(예, STR분석, 다중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을통해세포의 특이적인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고언급하고 있다. 반면식약처는 지난 4월15일 ‘인보사케이주’ 관련 중간조사 결과 발표 시 “STR을실시해2액 세포는 신장세포임을 확인했다”며"재발방지 대책으로 허가 신청 시 연구개발 및 제조 등에 사용된 모든 세포에 대한 ‘유전학적계통검사(STR)’ 결과를 의무 제출하도록 하고, 주요요소는 교차 검증해 세포 동일성을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특사경)이 식품 및 의약품 위해사범을 적발해 검찰에 송치한 사건에 대한 검찰과의 협조체계가 매우 빈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서울 성북을, 보건복지위원회)이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의 검찰 송치 사건 수사 경과자료(2019년 7월 현재)’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이 최근 5년동안 1538명의 식품 및 위해사범을 적발해 검찰에 송치했는데 이 중 150명은 혐의 없음으로, 157명은 무혐의가 났는지 재판에 넘겨졌는지 파악이 안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하면 최근 5년간 1538명의 식품 및 의약품 위해사범을 적발해 검찰에 송치. 식약처가 검찰에 공문을 보내 파악한 현황에 따르면 위해사범 중 구속 36명(0.2%), 불구속 145명(0.9%), 기소유예 288명(18.7%), 약식기소 701명(45.5%)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검찰이 식약처 위해사범수사단에게 수사 결과를 말 그대로 수사 결과로만 통보하고 있고, 이 마저도 식약처에서 요청해야 답변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식약처는 적발 및 단속에 고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는 오는 16일(수), 24일(목) 병원동 1층 로비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주간을 기념하여 암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행사 및 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 암환자 및 가족들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16일(수) 오전 10시에는 ‘가을편지 나무-내일의 나에게 보내는 메시지’행사가 진행되는데 암환자와 가족이 직접 본인에게 응원의 편지를 쓰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더불어 24일(목) 오후 7시에는 아카펠라 그룹 ‘두왑사운즈’의 공연이 진행된다. 조현정 호스피스완화의료실장은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삶에서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돌아보게 한다”면서 “올해 행사에는 바쁘게 지나가는 일상 중에 우리에게 소중한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 보자는 의미를 담았다”고 밝혔다. 이어 “매년 개최하는 주간 행사를 통해 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알게 되고 성원해 주시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주간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매년 10월 둘째 주로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에서 지정하였고, 전국 108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공동으로 실시하는 행사 주간이다. 한편, 국립
건보공단이 헌법재판소의 의료정보제공 위헌판결에도 수사기관에 제공하는 개인정보 건수가 크게 늘었다는 지적에 반박했다. 압수수색영장을 통한 의료법 위반사건 수사목적으로 제공된 51만건을 제외하면 헌재결정 이후 약 50% 감소했다는 주장이다. 헌재는 지난해 8월 ‘건보공단이 용산경찰서 수사협조 공문에 의해 철도노조원 2명의 3년치 진료일자, 요양기관명, 전화번호를 제공’한 것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린 바 있다. 헌재는 “공단의 제공행위는 국가형벌권 수행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 목적의 정당성과 수단의 적합성은 인정되지만, 요양기관 명칭과 장기간(3년)의 요양기관 진료일자 제공은 질병 종류 예측이 가능해 민감 정보에 해당, 침해의 최소성을 위배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공단은 수사상 필요성과 침해의 최소성을 고려한 제공기준 마련을 위해 변호사·대학교수 등 법률전문가 자문과 회의, 검찰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지난 3월 제공기준을 강화했다. 강화된 제공기준을 보면 경찰에서 진료일자, 요양기관명, 요양기관 주소‧전화번호 요청 시 ▲먼저, 휴대전화 위치추적을 통한 소재확인이 어려운 경우 등 다른 방법으로는 수사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필요성, 불가피성을 소명 시에만 한
글로벌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이 지난 2년새 약 9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별로는 ‘세포치료제’, 타겟별로는 ‘CD19’를표적으로 한 약물 개발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은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것으로확인됐고, 중국은 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108개를 개발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암연구소 Jia Xin Yu 박사팀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Nature Reviews Drug Discovery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7년 글로벌 면역항암제 개발 동향에 대한 보고서를처음 발표했다. 이번에 게재한 후속 보고서는 지난 2년간의 지형변화를 담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글로벌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은 2년새 91% 증가했다. 구체적으로2017년 2030개에서 2019년3876개로 늘어났다. 이 기간 동안 두드러진 성장을 보인계열은 세포치료제였다. 새로 합류한 파이프라인은 모두 797개로집계됐다. 반대로 항암바이러스제(oncolytic virusclass) 계열은 31개만 추가하는 데 그쳤다. 전체 파이프라인에 대해 실시중인 임상시험은 2019년 기준 5166개였다. 이 중 66%(3428개)는 T세포 표적 면역항암제에
각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4일 천사데이를 맞아 의료봉사를 했다. 천사데이는 대한간호협회 병원간호사회가 정한 기념일로 천사를 숫자로 나타내는 매년 10월4일을 기해 다양한 주제로 전국적인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고, 간호 사업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정한 날이기도 하다. 올해는 '건강한 삶은 간호사와 함께 건강을 지키는 깨끗한 손'을 캐치프레이즈로 했다. 각종 건강 체크와 상담 등의 의료봉사를 통해 환자와 국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했다. 혈압측정, 혈당측정, 산소포화도, 비만도 측정, 건강 상담, 손씻기 체험 등을 실시했다. 천사데이가 시작된 2005년부터 각 병원에서 환우와 국민을 위한 백의천사들의 선행이 진행되고 있다. ◆계명대 동산병원, 백의천사들의 선행 펼쳐져 계명대 동산병원(병원장 조치흠)은 4일 ‘천사(1004)데이’를 맞아 ‘건강한 삶은 간호사와 함께, 건강을 지키는 손-올바른 손씻기’를 주제로 환우들과 보호자들을 위한 이벤트를 마련했다. 병원 1층 로비에서 혈압, 혈당 및 체지방분석 측정을 통해 건강 상담을 제공하고, 소아청소년과 병동과 각 층 외래를 돌며, 준비한 다과를 대접했다. 또 1
*6일, *빈소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0월8일, *(02)2227-7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