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6텔darknessDB{}사업자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8,05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울산대학교병원(병원장 정융기)은 “박능화 의학연구실장(소화기내과 교수)이 3일 오후 2시 서울엘타워에서 개최된 ‘2018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시상식’에서 우수연구부문 ‘보건복지부장관표창’을 수상했다.”고 당일 밝혔다.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해 올해로 17회를 맞이한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 포상은 우리나라 보건의료 분야에 탁월한 성과가 있는 연구자와 보건산업 육성에 공적이 있는 사람들을 발굴해 시상하는 보건의료 분야 최고의 전통과 권위가 있는 상이다.박능화 의학연구실장은 간암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시행한 결과 텔로미어 조절에 관련된 유전자가 간암의 발생, 재발,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으며 간암 발생을 촉진하는 유전자인 톤이비피(TonEBP)를 발견하는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발표했다. 개인별 맞춤 치료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게놈 기반 바이오메디컬 육성사업과 울산시민 만명 게놈 프로젝트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며 바이오의료와 스마트케어서비스 사업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공헌한 점도 인정받았다. 아울러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지역 바이오의료산업 육성과 고도화를 목표로 울산대학교병원, 울산대학교,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 · 질병관리본부가 3일 오후 2시 ENA 스위트 호텔에서 '극희귀질환, 상세불명 희귀질환 및 기타염색체이상질환' 진단요양기관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산정특례 등록절차 △희귀질환관리 · 지원정책 △희귀질환 개요 · 진단을 비롯하여 △신규 극희귀질환과 기타염색체이상질환의 진단 · 사례에 대한 학계 전문가의 진단 사례 발표가 이뤄진다. 공단 측은 "내년 1월 1일부터 일스병 등 68개 극희귀질환 및 30개 기타염색체이상질환에 대해 산정특례를 확대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JW그룹은 2019년 1월 1일부로 JW중외제약 이성열 전무를 부사장으로, 구자억 상무를 수석상무로 승진 발령하는 등 총 12명의 임원에 대한 승진인사를 단행했다고 3일 발표했다. JW홀딩스△ 상무송웅빈, 이승철△ 이사대우노도윤 JW중외제약△ 부사장이성열△ 수석상무구자억, 이용수△ 상무호필수, 황현준△ 이사대우이상일, 이준구, 정성기 JW생명과학△ 수석상무노정열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이 뇌종양 뇌내시경수술 전문클리닉을 개설하고 12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3일 순천향대 천안병원이 전했다. 클리닉 명칭은 '뇌내시경 · 뇌하수체클리닉'으로, 뇌하수체종양을 비롯해 두개인두종 · 척삭종 · 뇌수막종 등 다양한 뇌종양을 뇌내시경 수술로 제거한다. 뇌내시경 수술은 머리를 열지 않고 콧속으로 내시경 · 미세수술 기구를 집어넣어 종양을 제거하는 최신 수술 방법이며, 흉터가 전혀 남지 않고 회복이 매우 빨라 환자 만족도가 매우 높다. 수술은 신경외과 백학근 · 오혁진 교수가 담당한다. 클리닉은 신속한 원스톱 의료서비스가 강점이다. 진단부터 수술 · 퇴원까지 1주일이면 된다. 방문 당일 모든 검사를 실시하고, 뇌종양이 발견되면 즉시 입원해 수술을 받을 수 있다. 병 · 의원 의뢰 환자는 진료협력센터를 통하면 신속 · 편리하게 진료받을 수 있다. 신경외과 배학근 교수는 "클리닉은 최신 뇌내시경수술 외에도 신경외과 · 내분비내과 · 이비인후과 · 안과 등 여러 진료과 전문가가 함께 다학제 치료를 실시해 최상의 치료 효율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CT 요양급여비용 청구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 안산지사가 주장하는 ‘속임수나 부당한 방법’으로 요양급여를 지급받은 것이 절대 아니다.” 3일 전국16개 광역시도의사회 회장단도 “의료기관들이 비록 비현실적인 특수의료장비 운용인력기준을 일부 지키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의사가 진료하면서 요양급여기준에 따라 CT요양급여 비용을 지급받은 것이다.”라면서 이같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앞서 지난 10월11일 공단 안산지사는 H병원 측에 CT검사 요양급여비 6.5억원을 환수한다고 통보했다. 보건복지부 지침인 ‘의료방사선안전관리편람’의 ‘비전속 영상의학과전문의 최소 주 1일(8시간) 이상 방문근무’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다. 이에 경기도의사회 대한지역병원협의회 대한개원의협의회가 성명서를 발표했고, 전국16개 광역시도의사회 회장단도 성명서를 발표했다. 전국16개 광역시도의사회 회장단(이하 회장단)은 “공단 안산지사는 비이성적 환수에만 눈이 멀었다. 의료기관에 대해 의료법 38조, 63조에 명기된 대로 시정조치나 과태료의 적법절차가 아닌 마치 해당 의료기관이 CT요양급여를 제공하지 않은 것처럼 해당 비용 전액을 추후 한꺼번에 소급하는 행정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조남천)은 “치주과 윤정호 교수 연구팀의 고미선 전임의가 골형성 촉진 단백질과 3D 프린팅 스캐폴드가 치과 임플란트 주위 골 재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 발표하여 ‘우수학술상’을 수상했다.”고 30일 밝혔다. 고미선 전임의는 이달 초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열린 제37차 국제치과연구학회 한국지부회 (KADR,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Dental Research Korean Division) 학술대회에서 ‘수직골 증강을 위한 rhBMP-2 탑재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및 3D 프린팅 스캐폴드(rhBMP-2 loaded-dental implant fixture and 3D printed scaffold for vertical bone augmentation)‘의 제목으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골형성 촉진 단백질인 rhBMP-2를 치과 임플란트(Implant)와 3차원적 스캐폴드(Scaffold)에 적용하여 수직적 골 재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토끼 실험모델을 통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스캐폴드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맞춤형으로 제작됐다. 실험은 rhBMP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연세의료원 의과학연구처 연구개발자문센터(ALYND)가 오는 13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연세암병원 서암강당에서 'ALYND for BioHealth R&D Platform' 주제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제약 · 바이오 기업,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연구자 대상으로 개최되는 이번 설명회는 박은철 연세의료원 산학협력단장 겸 의과학연구처장의 축사와 함께 총 2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은 연구개발자문센터의 소개 및 산학협력을 위한 SALT PLUS 프로그램 소개 위주로 연구개발자문센터 심재용 소장 · 연구개발자문센터 김동규 부소장이 각 연자로 참석한다. 2013년 보건복지부 임상연구인프라조성사업 과제의 일환으로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를 운영하면서 다학제적 의학 컨설팅 SALT PLUS 서비스를 제공한 바 있다. 설명회에서는 지금까지 진행한 총 30여 건의 컨설팅에 대한 경험을 소개할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은 'Real World Evidence: From Nice to Have to Must Have'라는 주제로 IQVIA 김정애 상무가 연자로 나서며, 이 외에도 연구개발자문센터에서 개발한 임상개발지원 시스템인 자비스(JARVIS) 활용 사례
이대목동병원 재활의학과 이준희 전공의가 최근 개최된 2018년 대한림프부종학회 제8회 정기학술대회에서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Lymphaticovenous Anastomosis in Patients with Lymphedema by Utilizing Ultrasonography' 주제로 포스터 부문 우수 연제상을 받았다고 3일 이대목동병원이 전했다. 림프부종센터장인 이대목동병원 재활의학과 배하석 교수의 지도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림프부종을 진단받은 환자 대상으로 림프혈관문합술을 시행 받기 전 · 후 상태를 초음파를 활용해 정량적으로 비교하고자 했으며, 수술 후 시간 경과에 따라 표피 · 피하지방층 두께에 호전 추세를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미미하던 림프부종환자에게서 새로운 수술적 방법을 이용한 부종 관리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국립소록도병원에 입원 중인 강선봉 씨(만 79세, 남)의 시집 ‘곡산의 솔바람 소리’가 11월 일본어로 번역, 출간됐다. 小鹿島の松籟(ソロクトのしょうらい)란 제목으로 출간된 이 시집은 가와구치 사치코(川口祥子)에 의해 번역되었는데, 원작의 구성대로 제5부 67편의 시를 담았다. 시집의 작가인 강선봉 씨는 1939년 경남 진주에서 한센인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8세 때인 1946년 어머니와 함께 소록도 땅을 밟게 된다. 이후 1962년 소록도를 탈출할 때까지 어머니와 격리된 채 살았던 보육소 생활, 발병 이후 마을 생활보조원으로 일했던 경험, 소록도 내 한센인 자녀들이 다녔던 소학교부터 당시 최고 학부로 여겼던 의학강습소 시절 등 차마 죽지 못해 살았던 험난한 한센인으로서의 삶을 그대로 ‘곡산의 솔바람 소리’ 시집에 담고 있다.이번 시집의 번역을 맡은 가와구치 사치코는 책을 번역하기 위해 그간 강선봉 씨가 써왔던 작품을 정독한 것은 물론, 2017년 소록도를 방문해 소록도의 역사와 일제강점기 시절의 각종 건축물을 직접 보고 작가를 인터뷰했다고 한다. 그는 번역후기에서 “지금까지 한센인, 한센병에 대해 무관심한 자신이 부끄럽고, 늦었지만 지금
건국대병원이 오는 14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원내 지하 3층 대강당에서 대장암센터 정기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는 △건국대병원 대장암센터 황대용 교수가 대장암의 수술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이어 △건국대병원 비뇨의학과 백성현 교수가 건강한 성생활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강의 이후에는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돼 있다. 본 강좌는 별도의 신청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건국대병원 대표번호(1588-1533)로 하면 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이 4대 사회보험료를 상습적으로 체납한 고액체납자 8,845명의 인적사항을 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정보공개>사전정보공개>국민생활정보>고액 · 상습체납자공개)를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고액체납자 8,845명은 △건강보험 8,260명 △국민연금 573명 △고용 · 산재보험 12명으로 구성돼 있다. 공개대상은 관련법에 따라 금년 1월 10일 기준 체납된 지 2년이 지나고 △체납금액이 건강보험은 1천만 원 이상인 지역가입자 · 사업장 △국민연금은 5천만 원 이상인 사업장 △고용 · 산재보험은 10억 원 이상인 사업장이며, 보험료 체납금액에는 보험료뿐만 아니라 연체금 · 체납처분비 · 시효가 완성되지 않은 결손(괸리종결) 금액이 포함된다. 공개 항목은 △체납자 성명 △상호(법인인 경우 명칭 및 대표자 성명) △나이 △주소 △체납액 종류 · 납부기한 · 금액 △체납요지 등이다. 공단은 지난 3월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1차 보험료정보공개심의위원회를 개최해 공개예정대상자 33,232명을 선정해 사전 안내문을 발송했으며, 6개월 이상의 자진납부 · 소명기회를 부여한 후 체납자의 재산 상태 · 소득수준 · 미성년자 여부 · 그 밖
“시정 조치가 CT 검사 자체를 부정하는 전액 환수인 것은 지나친 행정권 남용이라 판단된다.” 3일 대한개원의협의회(이하 대개협)도 경기도의사회 대한지역병원협의회에 이어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 안산지사의 H병원에 대한 6.5억원 환수 통보가 과도하다는 취지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지난 10월11일 공단 안산지사는 H병원 측에 CT검사 요양급여비 6.5억원을 환수한다고 통보했다. 보건복지부 지침인 ‘의료방사선안전관리편람’의 ‘비전속 영상의학과전문의 최소 주 1일(8시간) 이상 방문근무’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다. H병원은 2013년 12월부터 운영하는 특수의료장비(CT)의 품질관리 업무를 총괄 감독 하는 진단방사선과 전문의 비전속의가 주 1회 이상 근무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2013년12월부터 2015년9월에 대한 CT 요양 급여비용 전액인 6억 5천여만 원의 환수 결정을 받은 것이다. 이에 대개협은 “환자를 진료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CT로 인한 지장이 없더라도 관리 규정에 따르지 못한 것에 대하여 지적을 하고 시정조치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그동안 진단받고 치료 받은 모든 의료행위를 부정하는 것, 즉 전액환수는 정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사보 '문안(問安)'이 한국병원홍보협회에서 수여하는 '사보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3일 일산병원이 전했다. 한국병원홍보협회는 11월 30일 삼성서울병원에서 하반기 세미나 및 정기총회를 열고, 한 해 동안 각 의료기관에서 발행된 사보와 뉴스레터 중 우수한 제작물을 선정 · 시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시상식에서 일산병원 사보 문안은 기획 · 디자인 · 콘텐츠 등 다양한 부문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올해의 사보로 선정돼 대상을 받았다. 특히 올해 건강 · 일 · 삶 등의 밸런스를 테마로 분기별 발간된 4권의 사보는 주제별 맞춤 의학정보를 비롯해 여행 · 생활 · 문화 · 보건의료정책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전문적이고 폭넓게 담아내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흥미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병원 측은 "그동안 사보를 통해 일산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각종 국가정책시범사업을 비롯해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소개와 다양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등 건강보험 모델병원으로서 국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보건의료발전을 위한 콘텐츠 구성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며, "앞으로도 보험자병원으로서 건강 · 정책을 비롯해 문화 · 생활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는 오는 7일 서울 마곡동 소재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대강당에서 PMDA 해외 제조소 GMP 실사 경력이 풍부한 일본 GMP 컨설턴트를초청하여 '일본 의약품 시장 진출과 일본의 최신 GMP 제도 설명회'를 개최한다. 협회는"일본은 2014년에 한국과 동시에 PIC/S에 가입했으며, PIC/S 가입에 앞서 일본의 GMP와 PIC/S GMP의 차이 분석이 진행되었고, 부족한 사항에 대해서 GMP관련 법령의 개정으로 PIC/S GMP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말하며, "현재 일본에서는 이를 법제화하기 위해 GMP 법령을 개정할 전망이며, 2019년 1월부터 개정된 GMP 법령이 시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설명회는 현재 세계적인 관심사인 ‘Data Integrity’에 근거한 문서·기록 작성과 관리 그리고 일본 내 최근 이슈를 토대로 일본 의약품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준비사항과 일본 내 의약품 시장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회는이번 설명회를 위해'GMP 문서 관리'의 저자이며, 일본 GMP 컨설턴트인 아라이 카즈히코(Arahi Kauzuhiko, 현 C&J 대표) 씨를 초청했다. 자세한 행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 자 시 간
사노피 젠자임의 한국 사업부는 소아 급성림프구성 백혈병(ALL) 치료제 '에볼트라주(성분명 클로파라빈)'가 근거생산 조건부(CED, Coverage with evidence development) 위험분담제(이하 RSA, Risk Sharing Agreement) 재평가를 통과해 12월 1일부로 위험분담계약을 종료하고 급여를 유지하게 됐다고 3일 발표했다. '에볼트라'는 2013년 12월 RSA를 통해 보험 급여 목록에 등재된 첫 품목으로, 현재까지 RSA 적용 약제 중 유일하게 근거생산 조건부 방식으로 급여 승인 받은 치료제이다. 근거생산 조건부 급여는 약제의 임상적 성과와 연계되는 성과기반제도로, 계약기간 동안 진행된 임상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급여 유지 여부를 결정한다. '에볼트라'는 RSA 승인 당시 근거생산 조건을 만족해 약제 요양급여 적정성 재평가를 통과했다. 이번 재평가는 2018년 11월에 완료됐다. 그동안 수집된 환자 임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에볼트라'의 반응률은 RSA 계약 당시 목표했던 수치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근거생산 조건을 달성하면서 12월부터는 기존 임상에 참여했던 병원뿐 아니라 전국 모든 병원에서 급여
한미약품이 자사가 단독 개발한 금연치료제 ‘노코틴’ 발매를 기념하는 전국 심포지엄을 시작했다고 3일 전했다. 지난 15일 울산에서 시작된 ‘노코틴’ 발매기념 심포지엄은 서울(11/29)과 대구(12/4), 전주(12/11) 등 전국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1월까지 순차적으로 개최된다. 2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에서 열린 심포지엄에는 전국 내과 개원의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제민통합내과정형외과 조문숙 원장을 좌장으로 서울배내과 유태호 원장(한국금연운동협의회 이사)이 ‘금연 치료의 1차 약제, 노코틴 정’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노코틴은 '바레니클린' 성분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옥살산염(oxalate)'을 붙인 금연치료제이다. '바레니클린'은 뇌의 니코틴 수용체에 직접 결합해 도파민 분비를 유발, 흡연 욕구와 금단 증상을 줄인다. 노코틴은 여러 회사가 함께 수행하는 공동개발이 아닌, 자체 단독 임상시험(1상)을 통해 수입약과의 동등성을 입증했으며, 자체 연구개발한 원료로 생산해 품질력도 우수하다. 또, 한미약품은 부프로피온 염산염 성분의 금연치료제 ‘니코피온’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치료옵션을 의료진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갖추
종근당이 지난 11월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세대 빈혈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네스벨’(CKD-11101)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네스벨'은 다베포에틴 알파(Darbepoetin α)를 주성분으로 하는 '네스프'의 바이오시밀러로,만성 신부전 환자의 빈혈 및 고형암의 화학요법에 따른 빈혈치료에 사용되는 조혈자극인자다.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해 약물의 투여 빈도를 대폭 줄여 환자의 편의성을 개선한 2세대 지속형 제품으로 내년 국내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종근당은 2008년 차별화된 원료 제조기술을 확보한 뒤 2012년 바이오제품의 생산인프라를 구축하고 네스프를 개발해 왔다. 임상 1상에서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2017년 임상 3상에서 오리지널 제품과 동등한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종근당 관계자는 “네스벨은 세계 최초 네스프 바이오시밀러이자 종근당이 개발한 첫 번째 바이오의약품으로 의미가 크다”고 말하며 “현재 개발중인 후속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신약 임상에도 박차를 가해 바이오의약품 선두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종근당은 올해 글로벌 제약사의 일본법인에 '네스벨'을 수출하여 지난 10월 일본 후생노동성에 제조판매 승인을 신청하고 현재 심사
식약처는 12월 1일부로 식품안전정책국 식품안전관리과장에 김용재 기술서기관(전, 국무조정실 파견)을 보한다고 발표했다.
GC는 GC녹십자를 비롯한 계열사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3일 발표했다. 발령 일자는 내년 1월 1일자다. 회사 측은 책임경영 강화 기조와 성과주의 인사 원칙에 따라 각 분야별 전문성을 갖춘 인재 발탁에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자세한 승진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 GC 전무 박순영 ▲ GC녹십자 상무 오영훈, 유현아 상무 강성연(외부 영입, 11월 26일자) ▲ GC녹십자엠에스 상무 김유신 ▲ GC녹십자랩셀 사장 박대우, 전무 황유경, 상무 조성유 ▲ GC녹십자웰빙 전무 김상현 ▲ GC녹십자헬스케어 부사장 전도규 ▲ GC녹십자이엠 상무 김대인 ▲ GC녹십자아이메드 전무 우병호
한국애브비가 여성가족부에서 주관하는 ‘가족친화기업’으로 재인증 받았다고 3일 전했다. 한국애브비는 지난 2013년 가족친화기업으로 신규 선정된 이후 이번 재인증으로 2021년까지 8년 연속 가족친화기업 인증을 유지하게 된다. 여성가족부의 ‘가족친화기업’은 일과 가정의 조화를 도모해 직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가족의 행복과 기업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제도를 모범 운영하는 기업을 평가‧인증하는 제도다. 기업의 가족 친화 제도 운영 전반, 출산 및 양육 지원, 임직원 만족도, 경영진의 관심과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한다. 인증 기간은 3년, 연장 기간은 2년이다. 한국애브비는 직장과 가정생활의 조화로 직원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도입·시행하고 있다. 탄력근무제를 통해 출퇴근 시간 조율이 가능하고, 학업, 육아 등 사유로 사무실 근무가 불가능한 경우 재택근무제를 운영하고 있다. 또, 출산 축하금과 출산 전후 90일 간 임금의 100%를 지급하며, 130 여명으로 직원 수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내 임신, 출산 과정을 거치는 여성들을 배려해 모유 유축기, 임산부 의자 등을 구비한 ‘엄마의 방’을 마련했다. 더불어 매월 둘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