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45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2023년 1분기, 국내 주요 상위 제약사가 또 한번 위력을 입증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주요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1분기 상위 50개 제약사는 매출이 5조 5098억원을 기록하며 2022년 1분기 5조 2093억원보다 5.8%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영업이익은 3880억원에서 3757억원으로 3.2% 감소했으나, 당기순이익은 2181억원에서 3113억원으로 42.8% 확대됐다. 상위 5개 제약사들의 경우 순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녹십자가 실적 감소로 인해 5위까지 내려가게 된 점이 특징이다. 먼저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유한양행의 매출은 2022년 1분기 4108억원에서 2023년 1분기 4430억원으로 7.8% 확대됐으며, 영업이익은 61억원에서 226억원으로 270%, 당기순이익은 160억원에서 222억원으로 38.6% 증가했다. 이어 종근당의 매출은 2022년 1분기 3413억원에서 2023년 1분기 3651억원으로 7% 상승했다. 이와 함께 영업이익도 250억원에서 314억원으로 25.7%, 당기순이익도 174억원에서 360억원으로 106.3% 늘었다. 3위를 차지한 한미약품의 매출액은 2022년 1분기
올해로 만 11년을 맞이한 동국대학교 의료융합기술실용화연구원의 김성민 센터장은 센터가 출범한 10년간 다양한 측면에서 의료기기 산업계가 많이 개선됐으며, 이제는 메이저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식약처가 주최하고,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이 주관하는 ‘제16회 의료기기의 날’ 행사는 ‘디지털 시대 건강한 미래, 안전한 K-의료기기가 주도합니다’라는 슬로건으로 5월 26일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에 앞서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과 함께 의료기기 제조산업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만나는 소규모 인터뷰를 진행한다. 첫 번째 인터뷰 대상은 동국대학교 김성민 교수로, 특성화대학원인 의료융합기술실용화연구원의 센터장으로서 의료기기 산업 인력 양성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김성민 교수를 15일 동국대학교 혜화관 강의실에서 만났다. Q. 그동안 의료기기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으며, 그 소감은? 2013년 9월에 첫 특성화대학원 학생들을 모집하고, 어느덧 만 11년을 맞게 됐다. 특성화대학원을 시작하면서 의료기기 산업 생태계에 규제 관련 인력을 처음 배출했고, 그런 전문 분야 인력에 대한 필요와 위상도 10년간 정립이 된 것 같아 보람을 느낀다. 동국대
*15일, *빈소 서울아산병원, *발인 5월17일, *(02)3010-2000
*일시 : 5월 28일, *장소: 엘타워 6층 그레이스홀, *02-526-8600
*일시: 5월 20일 (토) 18시, *장소: 남양주 프라움 악기박물관 야외정원
*발인: 5월 17일, *빈소: 공주의료원 장례식장 특1호, *041-962-1444
-- 말레이시아 보건부 장관 Dr. Zaliha Mustafa, Taimei Technology 부스 방문 (상하이 2023년 5월 15일 PRNewswire=모던뉴스) 생명과학 사업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Taimei Technology가 이달 11~12일에 인터콘티넨탈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CRM Trial Connect 2023에 참가했다. 이 행사에서 말레이시아 보건부 장관 Dr. Zaliha Mustafa가 Taimei Technology 부스를 방문해 회사 임원들과 함께 토론했다. 2012년에 말레이시아 보건부가 설립한 Clinical Research Malaysia는 고품질 연구를 위해 신속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포괄적인 임상 연구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밝고 희망찬 국민의 미래를 보장하고자 세계 보건 솔루션을 발전시킨다. 올해 2회를 맞은 CRM Trial Connect는 
최근 1주간(5월 8~14일) 61~75번째 엠폭스 확진 환자가 발생하며, 누적 엠폭스 확진 환자는 총 75명으로 늘어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월 8일 엠폭스 발생현황 발표 이후 5월 14일까지 총 15명의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해 현재까지 국내 발생 누적 확진환자는 내국인 69명과 외국인 6명을 합해 총 75명이라고 밝혔다. 발생일별 엠폭스 확진환자 수는 ▲5월 8일 4명 ▲5월 9일 4명 ▲5월 11일 2명 ▲5월 12일 3명 ▲5월 13일 2명 등이며, 5월 2주(5월 14일 포함) 확진환자 거주지역은 서울(9명), 경기(4명), 부산·세종(2명)순으로 수도권에서의 발생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누적 엠폭스 확진환자 거주지역은 서울 39명, 경기 16명, 인천 3명, 경남 3명, 대구 3명, 경북 2명, 부산 2명, 대전 1명, 전남 1명, 강원 1명, 충북 1명, 충남 1명, 광주 1명, 세종 1명 등이다. 인지경로로는 의심증상 발생 후 본인이 신고한 사례 10건과 의료기관 신고 5건으로 조사됐으며, 누적 인지경로는 ▲본인 신고 사례 48건 ▲의료기관 신고 26건 ▲환자 역학조사 중 확인된 밀접접촉자 1건 등으로 집계됐다. 주간 신규환자의 추정 감염경
고신대복음병원 간호부 윤영순 수간호사가 5월 12일 간호사의 날을 맞아 부산소방재난본부로부터 빠른 처치로 소중한 생명을 살린 공으로 하트세이버 인증서를 수여 받았다. 윤양순 간호사는 심정지로 생사의 기로에 선 응급환자를 심폐소생술 등의 신속한 응급처치로 생명을 구했다. 한편, ‘하트세이버’는 심정지가 발생한 사람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생존율을 높이고 후유증을 최소화해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응급처치를 시행한 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국립소록도병원 복합문화센터에서 ‘한센인의 날’ 기념행사가 개최된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소록도병원은 개원 제107주년을 맞아 오는 16일 오전 10시 ‘제20회 한센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한센인의 날’은 매년 국립소록도병원 개원기념일(5월 17일)에 맞춰 전국 한센인들이 모여 체육대회 등 친목을 도모하는 자리로, 한국한센총연합회에서 2004년 5월 17일을 ‘한센인의 날’로 지정한 이후 올해로 20번째 행사를 맞이하게 됐다. 특히,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열리지 못하다가 4년 만에 개최됐으며, 한센인의 날 기념식과 한센가족 문화ㆍ체육행사로 진행됐다. 한센인의 날 기념식에서는 한센인의 권익과 복지 증진에 기여한 유공자 22명(대통령표창 2명, 국무총리표창 2명, 보건복지부장관표창 18명)에게 포상을 수여하며, 한센인 문화·체육행사는 배구대회와 한센가족 노래자랑으로 진행된다.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는 정헌영 한국구라봉사회 이사는 1973년부터 지금까지 매해 전국의 한센인 정착마을, 요양시설, 소록도병원 등을 다니며 무료 틀니(의치)를 제작하는 등 치과 진료를 제공했다. 이어 강정대 한국한센복지협회 광주전남지부 부설의원장은 15년간 궤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가 실시된다. 질병관리청은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오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조사방식은 보건소 소속의 전문 조사원이 표본추출로 선정된 조사가구를 방문해, 태블릿 PC 내 전자조사표를 이용해 조사대상자와 1대1 면접조사로 진행한다. 이어 질병청은 지자체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고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활용의 적시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하반기 조사 시작 시기를 상반기로 3개월 당겨 실시하고 결과를 연내(12월)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그동안 조사 결과를 다음해에 발표함으로써 2년 전 조사자료를 기반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할 수 밖에 없었지만, 올해부터는 당해년도 자료를 사용할 수 있게 돼 지역의 맞춤형 건강정책 수립 시 가장 최신의 통계를 활용할 수 있어 시의성이 강화된다. 조사수행 절차는 통계적 방법론에 의한 조사대상 가구를 선정한 다음, 선정된 조사대상 가구에 안내서 우편을 발송한 뒤, 조사원이 조사 대상 가구를 방문해 태블릿PC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는 순으로 시행된다. 이후 조사가 종료되면 조사 대상 가
*빈소: 해운대백병원장례식장 103호, *발인: 5월 16일, *051-893-4444
휴온스그룹이 주요 사업부문별 고르게 성장하며 올해 1분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휴온스그룹의 지주회사 ㈜휴온스글로벌(대표 송수영)은 2023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740억원, 영업이익 24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 12%, 18.4% 성장했다고 15일 밝혔다. 휴온스, 휴메딕스 등 상장 자회사의 지속성장과 휴온스바이오파마 등 비상장 자회사의 실적 호조가 그룹 성장을 이끌었다. 휴온스(대표 송수영, 윤상배)는 연결 기준 매출 1279억원, 영업이익 11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 10.4%, -4.6% 증감했다. 전문의약품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한 572억원, 뷰티·웰빙 부문은 12% 성장한 463억원, 수탁(CMO)사업은 안정적인 성장세로 159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등 미국 FDA(식품의약국) ANDA(의약품 품목허가)를 승인 받은 4개 품목의 대미 수출은 지난 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57억원을 달성하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에스테틱 자회사 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1분기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 361억원, 영업이익 93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35%, 116%
*14일, *빈소: 부산 시민장례식장 특301호, *발인: 5월 16일, *051-636-4444(장례식장), *마음 전하는 곳: 국민 8466-0201-2081-35(이용진)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직무대리 현재룡)은 필수의료 인력과 미래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필수의료 실습 및 의과학 연구에 참여할 의대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의대생 실습·연구 지원 사업은 의대생을 대상으로 조기에 필수의료와 의과학 연구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향후 관련분야 진로를 유도할 목적으로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공단이 보조사업자로서 추진하는 사업이다. 본 사업은 2021년에 신설돼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했으며, 지난 2년간 총 457명의 학생이 성공적으로 프로그램을 수료한 바 있다. 올해 2월에는 지도교수와 실습 참여학생들이 참석해 우수사례를 발표하는 등 사업 성과를 확산하고, 실습 제공기관과 참여 학생 간 교류를 위한 성과교류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도 했다. 올해는 실습 6개 분야 280여 명 및 연구 49개 주제 80여 명을 모집하며, 선발된 학생은 하계·동계방학을 이용해 실습 및 연구에 참가하게 된다. 학생 모집 기간은 ’23.5.15.(월) ~ 5.30.(화)이다. 2주간의 실습기간 중 해당분야 최고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심도자 시술 및 수술 참관, 닥터헬기 견학, 시뮬레이션 실습 등 현장감 있는 프로그램을 경험 할 수 있고, 기초의과학
올해로 10년을 맞은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의 성과와 개선돼야 할 점이 공유됐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5월 11일 정신건강 관련기관 및 유관기관 실무자, 당사자 및 학계 전문가 등 약 140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성과보고회’를 개최하고 성황리에 마쳤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가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과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성과보고회는 현장 청중 없이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생중계됐다. 서울시는 2013년부터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알코올중독에서 회복된 당사자를 ‘회복자상담가’로 양성, 서울시 전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파견해 실무자와 함께 음주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서울시민에게 상담, 교육, 자조 모임,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고 있다. 이번 성과보고회에서는 올해로 만 10년을 맞이하는 이 프로젝트의 운영 현황과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건강음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향성을 논의했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이해우 센터장의 개회사와 서울특별시 시민건강국 정신건강과 이경희 과장의 축사로 시작된 성과보고회는 총 2개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건강음주희망프
사노피의 한국법인 (이하 사노피)이 ‘제36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당뇨병 환자의 신체와 정신 건강을 통합 케어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인 ‘당당케어’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로 36회를 맞은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는 4000여명의 회원들이 함께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이다.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5월 11일(목)부터 13일(토)까지 3일 간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서 참가자들은 당뇨병 관리와 교육, 최신 연구 결과 및 New Technology Medical Skill등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였다. 사노피는 이번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세션에서 ‘우울 증반을 동반한 2형당뇨병 환자를 위한 행동활성화 프로그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당당케어’ 효과 검증 예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자인 WiseMi 심리상담연구소 김현미 심리학 박사는 ‘당당케어’ 앱을 사용한 실험군의 경우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당뇨병 관련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당뇨병 자기관리 행동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재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스페셜 세션에서는 예비 연구에 함께 참여한 고려대학교안암병원 내
암젠이 5월 8일(현지 시간) 미국 메디케어 프로그램에 등록된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 약 50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리얼월드 연구(real-world study)의 새로운 데이터를 통해, 프롤리아(성분명: 데노수맙) 주사제가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치료제 가운데 주로 처방되는 경구용 알렌드로네이트 대비 더 높은 골절 위험 감소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또한, 프롤리아 치료는 기간이 더 길 수록, 더 큰 골절위험 감소 효과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데이터는 2023년 5월 4일에서 7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골다공증학회(World Congress on Osteoporosis ∙ Osteoarthriti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WCO-IOF-ESCEO)에서 발표됐다. 조디스 조지(Jyothis George) 암젠 제너럴 메디슨(General Medicine) 치료 부문 글로벌 의학부 대표 겸 부사장은 “암젠은 불충분한 진단과 치료로 수백만명의 폐경 후 여성에게서 골소실 및 골절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는 골다공증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오랫동안 노력해 오고 있다”며, “5월은 골다공증 인식 및 예방의 달인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추가 예방접종이 시작된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0일 ‘2023년 상반기 코로나19 고위험군 접종계획’을 발표하며, 안내한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사전예약 및 당일접종이 5월 15일 시작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최근 방역상황 및 백신의 효과성과 면역 유지기간 등을 고려해 면역저하자 및 일부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수립했다. 먼저 방역 당국은 면역저하자의 경우에는 강한 성인에 비해 면역 획득력이 낮고, 획득된 면역의 지속기간이 2가백신 접종 후 60-119일간 입원 예방효과는 미접종 대비 43%이나, 120~179일에는 31%를 기록하는 등 획득된 면역의 지속기간이 짧은 점을 근거로 면역저하자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추가적인 접종을 계획했다. 또한, 65세 이상은 ▲2가백신 접종 후 면역감소 국내외 연구 ▲미국‧영국 등 국외 동향 ▲65세 이상에서의 여전한 질병 부담 등을 고려해 제한적인 추가접종을 결정했다. 접종대상은 2가백신 접종자로서 12세 이상 면역저하자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접종을 권고받은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며, 접종은 마지막 접종일로부터 3개월(90일) 이후 가능하며, 6개월(18
엘러간 에스테틱스-애브비 컴퍼니(대표 박영신)는 히알루론산 필러 브랜드 쥬비덤의 소비자 대상 브랜딩 캠페인 “DISCOVER YOUR OWN BEAUTY with Juvederm®”을 5월 15일부터 8월 14일까지 3개월 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필러 시술 전, 본인의 얼굴 고민과 개선점에 대해 스스로 점검하는 기회를 마련하고, 소비자의 니즈와 특색을 고려한 개인화된 맞춤형 뷰티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뷰티코드'는 쥬비덤이 자체 개발한 진단 콘텐츠로, 총 16 개 문항을 통해 ▲안면부 ▲중안부 ▲하안부 ▲웃는 모습 ▲피부상태 등 총 5 가지 카테고리로 현재 자신의 얼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는 뷰티코드 진단을 통해 본인의 고민 부위와 개선이 필요한 시술 부위에 대해 스스로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시술 시 고려해야 할 개선 사항을 파악할 수 있어, 필러 시술 상담과 치료 단계에서 개인화된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의료진은 뷰티코드 진단을 참고하여 환자가 원하는 시술 부위를 단일 증상에서 전체 인상으로 확대하여 보다 총체적인 접근으로 효과적인 시술 상담이 가능하다. 뷰티코드는 쥬비덤과 같은 히알루론산 필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