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45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정부가 엠폭스 대응을 위한 백신 접종 강화하며, 의료진 대상 엠폭스 해외여행력 정보 제공 국가 확대 및 고위험군 시설 내 예방 수칙 안내 지속 및 지자체 대상 지도점검 실시 등을 지속한다. 질병관리청은 엠폭스 확진자 다수 발생에 따른 위기단계 상향 조정(관심→주의) 및 대응체계 확대(방대본 및 지역방역대책반 운영) 등을 통해 확진환자와 확진환자의 접촉자를 관리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질병청에 따르면 우선 지자체를 대상으로 現 엠폭스 대응상황을 반영한 지침을 개정해 배포 안내했고, 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엠폭스는 일반적인 인구집단보다 고위험집단에서 발생과 전파 위험이 큰 만큼 엠폭스 고위험군 이용 시설 및 모바일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감염 예방 수칙 안내문을 제작 배포했으며, 고위험시설 점검 및 위험소통 등을 강화해 의심환자 조기 발견과 신속 진단을 통한 전파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안내했다. 이외에도 ▲대국민 맞춤형 예방수칙 제작·배포 ▲의료인 대상 국내외 확진환자의 의심증상, 임상경과 및 발생 동향을 포함한 엠폭스 진단 안내서 등을 배포했으며, 특히 의심 증상 시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감염내과·피부과·비뇨의학과·항문외과 등 피부병변을
48~52번째 엠폭스 확진환자가 발생하면서 국내 엠폭스 확진환자는 총 52명으로 집계됐다. 방역대책본부는 5월 1일 엠폭스 확진환자 발표 이후 확진환자가 5명 추가 발생해 현재까지 엠폭스 국내 발생 누적 확진환자는 내국인 49명과 외국인 3명으로 총 52명이라고 3일 밝혔다. 이 중 47명은 첫 국내감염 추정환자가 발생한 4월 7일 이후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현재까지 환자 거주지역은 서울(25명), 경기(10명), 인천·경남·대구(3명) 순으로 많아 수도권에서의 발생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인지경로는 의심증상 발생 후 본인이 신고한 사례가 34건, 의료기관 신고가 17건, 확진환자의 역학조사 중 확인된 밀접접촉자가 1건으로 조사됐다. 추정 감염경로는 해외유입 및 관련 사례 6건과 국내 감염 추정 사례 46건이었으며, 이 중 밀접접촉(피부접촉·성접촉)에 의한 감염이 51건으로 압도적이었고, 나머지 1건은 환자 진료 중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52명의 확진환자 중 남성이 50명(96.2%), 이 중 20~40대 남성이 47명(94.0%)을 차지했고, 최초 증상 발생 전 3주 이내 성접촉이 있었던 경우가 50명(96.2%)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익
2023년 5월 12~13일 양일간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대한성형외과학회의 ‘2023년 제13차 기초재건성형 학술대회(The 13th Research and Reconstruction Forum)’가 개최된다. 기초재건성형 학술대회는 성형외과학 발전의 기반이 되는 기초의학 분야와 재건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학술대회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기초의학 연구를 비롯해 ▲선천기형 및 두개안면성형 ▲두경부 재건 ▲유방 및 체부 재건 ▲상하지 재건 ▲미용성형에 관한 8개의 패널과 4개의 기초연구회세션, 5개의 자유연제, 2개의 high impact presentation으로 구성돼 있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심도 있고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우수전임의 세션을 새롭게 마련했으며, 전공의들을 위한 도전 골든벨과 미세수술경연대회가 준비됐다. 해외 초청 강연으로는 미국 Stanford대학의 Dung Nguyen교수에게 임파부종의 새로운 치료로 각광을 받는 Biobridge의 임상연구를 발표할 예정이며, 일본의 차세대 주자인 Okayama대학의 Akira Shinaoka교수가 임파부종에 있어서 ICG해부학의 최첨단지견을 발표할 예정이다.
제9회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디너 심포지엄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백중앙의료원은 의료원 산하 5개 병원(서울·부산·상계·일산·해운대백병원)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백중앙의료원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디너 심포지엄’가 성료했다고 3일 밝혔다. 백중앙의료원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디너 심포지엄은 의료원 내 유일한 단일 질환에 대한 정기 심포지엄으로 2010년부터 서울과 부산 지역을 오가며 이어져 오고 있으며 그동안 많은 연구자에게 큰 호응을 받아왔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3년간 열리지 못했으나, 올해 다시 부산에서 열려 해외 연자 및 국내 연자가 본 질환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번 심포지엄은 근긴장증을 주제로 1부에서는 부산백병원 김상진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하였으며, ▲근긴장증의 분류(해운대백병원 박진세 교수) ▲국소성 근긴장증(일산백병원 이재정 교수)에 대한 강의와 함께 토의 시간을 가졌다. 이어진 2부에서는 상계백병원 백종삼 교수의 좌장으로 ▲근긴장증의 최신지견(프랑스 파리 피티 살피티에르 대학병원 Marie Vidailhet 교수)에 대한 수준 높은 강의가 진행됐다. 또한, 심포지엄이 끝난 다음 날에는 상계백병원에서 Ma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이 5월 13일 오후 3시부터 병원 대강당에서 '2023 일산백병원 정형외과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 1부(좌장: 서진수, 인제대 일산백병원)에서는 '발(목) 질환'을 주제로 ▲최소침습적 무지외반증 수술의 발자취 및 현주소(최준영, 인제대 일산백병원) ▲최소침습적 무지외반증 수술을 위한 기구소개 및 수술준비(박영욱, 아주대병원) 등의 주제로 발표가 이뤄진다. 또한, ▲최소침습적 무지외반증 수술술기 및 주의사항(박광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최소침습적 술기로 시행 가능한 무지외반증 이외 수술의 확대(서상교, SNU서울병원) 등의 발표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어지는 2부(좌장: 김진환, 인제대 일산백병원)에서는 '척추 질환'을 주제로 ▲경흉추부 주사시술: 초음파 유도 술기 중심(박대현, 인제대 부산백병원) ▲DLIF의 모든 것, 요추 수술 다시 전방유합으로(이재철, 순천향대 서울병원) ▲Treatment strategy for cervical radiculopathy(박종범,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등의 강의를 준비했다. 오형근 일산백병원 정형외과 책임교수는 “정형외과의 흔한 질환인 무지외반증의 최소 침습적 술기와 척추질환 최신
2023년 보건의료산업 산별중앙교섭 상견례가 개최됐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는 공공병원과 민간중소병원 병원장들을 대상으로 2023년도 보건의료산업 산별중앙교섭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정부가 운영하는 특수목적병원과 지방의료원, 민간중소병원 병원장들이 참석한 교섭 상견례에서 노동조합은 ▲임금 총액 대비 10.73% 인상(정액 월 44만7331원), 보건의료산업 최저임금 1만1930원 ▲2026년까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전면 확대 (간호사:환자 비율 1:5~7)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준수와 불법 의료 근절 ▲공공병원 위탁운영 중단과 의료영리화 중단 ▲ 주 52시간 상한제 준수와 주휴수당 폐지 중단 등을 요구했다.나순자 위원장은 “2021년도 보건복지부와 간호간병통합병동 전면 확대, 간호등급제 상향조정, 직종별 인력 기준 마련(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시범 시행), 의사 인력 확충 등을 약속했지만, 합의 이행이 더디고 공익적 적자 보전 등 공공의료 지원을 약속은 더욱 쉽지 않을 것 같다”라고 밝혔다. 이어 “만일 정부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7월에 총파업투쟁을 통해서라도 꼭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
*3일, *빈소: 대구파티마병원 장례식장 특201호, *발인: 5월 5일, *053-958-9000
피부미용학과 화장품학 등 다양한 피부 관련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던 ‘피부노화학’이 최근 10여년 동안의 연구 성과가 업데이트되어 개정판으로 재탄생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피부과 정진호·진선필 교수가 ‘피부노화학’ 개정판을 출간했다고 3일 밝혔다. ‘피부노화학’은 정진호 교수가 약 20년간 피부 노화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지난 2010년 집필한 책이다. 이번 개정판에는 피부 관련 전문가가 읽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의 피부노화학 전반에 걸친 설명과 서울의대 피부과학교실에서 연구 중인 지식들이 체계적으로 포함돼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노화학 개정판’은 ▲1~2장: 피부의 구조 및 기질 ▲3~4장: 피부 장벽 및 피부의 기능 ▲5~6장: 피부 노화에 따른 조직 및 기능 변화 ▲7장: 한국인의 피부 노화 ▲8~10장: 피부 노화의 증상, 종류, 예방 및 치료 ▲11장: 피부미용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각 챕터별로 다양한 사진과 함께 상세한 설명이 덧붙여져 쉽게 이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정진호 교수는 “이번 개정판은 30여 년간의 피부 노화 관련 연구 결과를 모두 녹여낸 피부 노화의 최고의 교과서라고 자부한다”라며 “대학에서 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및 뉴델리, 2023년 5월 3일 /PRNewswire/ -- Turacoz Healthcare Solutions이 첨단 기술을 이용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약진하고 있다. 고품질 과학 및 의학 분야 저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Turacoz는 최고 수준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Turacoz is Veeva content partner now Turacoz는 자사의 제출물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Veeva의 콘텐츠 파트너로 등록했다고 발표했다. Veeva는 글로벌 생명과학 산업에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선도적인 기업이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Turacoz는 고객에게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의료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역량을 더 강화할 수 있는 첨단 기술, 도구 및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얻게 됐다. 그에 따라 Turacoz는 Veeva 웹사이트에서 콘텐츠 파트너로 소개되고 있으며, 콘텐츠 파트너 배지도 획득했다. 이는 고객에게 우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Turacoz의 변함없는 노력이 반영된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Tur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지친 현대인들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활력에너지와 간 건강을 챙길 수 있는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에너씨슬 퍼펙트샷’을 출시한다고 3일 밝혔다. ‘에너씨슬 퍼펙트샷’은 체내 에너지 생성에 꼭 필요한 비타민B와 간 건강에 좋은 밀크씨슬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이다. 핵심 성분인 비타민B군 8종의 투입 함량을 한국영양학회가 제시한 비타민B 별 체내 흡수율 기준에 맞춰 하나하나 설계했다. 또 비타민B군 8종을 고함량으로 모두 함유하는데, 비타민B군은 체내 에너지 생성에 중요한 요소로써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기 때문에 하나라도 부족하거나 모자라면 원활한 에너지 생성이 어려울 수 있다. 여기에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밀크씨슬을 하루 최대 권장섭취량 기준인 130mg까지 담아 간의 피로 관리까지 가능하다. 섭취방법은 맨 위 뚜껑을 따서 정제를 꺼낸 후 액상과 함께 먹으면 된다. 한 손에 잡히는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용이하며, 상큼한 오렌지 맛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먹을 수 있다. 대웅제약은 ‘에너씨슬 퍼펙트샷’ 출시를 기념해 자사 직영몰에서 대고객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우선 에너씨슬 퍼펙트샷 구매 시 최대 5
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국민들에게 혈압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사가 열린다. (사)한국고혈압관리협회(회장 김종진)는 대한고혈압학회와 공동으로 세계고혈압연맹(World Hypertension League WHL)이 제정한 ‘세계고혈압의 날(5월 17일)’을 맞아 오는 5월 12일(금) 오후 4시부터 서울 서대문구 창천문화공원에서 대국민 고혈압 예방 캠페인을 개최한다. 사단법인 한국고혈압관리협회는 지난 2008년부터 세계 고혈압의 날을 기념해 일반 시민과 고혈압 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혈압 측정 및 건강 상담을 진행하는 등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국민들에게 고혈압 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개최되지 못하다가 4년만에 개최되는 이번 캠페인은 고혈압의 위험성에 덜 민감한 젊은 층을 주요 대상으로 위드코로나 시대에 사는 현대인들의 혈압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알리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번 캠페인에는 (사)한국고혈압관리협회 김종진 회장을 비롯한 협회 임원진과 대한고혈압학회 임상현 이사장(가톨릭의대 교수)을 비롯한 임원진이 대거 참여해 ▲무료 혈압 측정, ▲고혈압 건강 상담을 진행하고, 행사장 일대에서는 ▲고혈압 예
코로나19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와 사망자 모두 전주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월 4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지난 1주간 사망자는 증가했으나, 신규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는 전주와 비슷한 수준인 상황을 고려해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했다고 3일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4월 4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는 전주 대비 8.1% 늘어난 146명이고, 신규 사망자는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35.6% 증가(45명→61명)해 일평균 9명을 기록해 누적 사망자는 총 3만4474명으로 집계됐다. 또 4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각각 ▲중증화율 0.17% ▲치명률 0.04% 등을 기록했다. 2023년 4월 29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6.8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75.1.명(치명률 1.92%)으로 가장 높았고, 70대는 210.5명(치명률 0.45%), 60대는 54.7명(치명률 0.11%)으로 분석됐다. 4월 4주(4월 23~29일) 주간 신규 확진자는 9만
정부가 효율적 재난 대응을 위한 중앙-지방 상시적 소통·협력을 추진한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가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중앙·지방 안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중앙-지방 간 재난대응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최근의 재난·안전 주요 현안에 대한 대응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한 총리는 “최근의 재난이 광역화, 복잡화되고 있어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모든 역량을 빠르게 결집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엠폭스 발생 및 대응현황 등을 점검했으며, 무엇보다 재난·안전 현안에 대한 “중앙-지방 기관장 간의 상시적 소통이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이날 논의된 엠폭스 발생 및 대응현황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최근 국내 엠폭스 환자 발생 증가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지난 4월 13일 이후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해 대응 중이다. 현재 전세계 엠폭스 환자 발생은 2022년 8월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이나, 일본, 대만 등 인접 국가에서 확산이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4월 이후 총 52명 확진자 발생(최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뇌졸중팀이 급성어지럼으로 발현하는 뇌졸중 조기진단법을 개발했다. 뇌졸중은 뇌줄기 및 소뇌에 발생하는 경우 급성어지럼으로 발현하며, 초기 MRI로도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 때문에 신경이과검사에 의존해 초기 뇌졸중 및 비슷한 양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전정신경염을 구별해왔다. 하지만 기존검사방법 또한 정확도에 한계가 있어 개선된 진단법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신경과 유성욱, 조경희, 조방훈, 이선욱 교수로 구성된 고려대 안암병원 뇌졸중팀은 비디오두부충동검사의 원자료를 활용해 기본의 검사법보다 정확히 어지럼으로 발현한 뇌졸중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향후 해당 검사법이 급성어지럼의 감별 및 진단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 학계는 주목하고 있다. 연구팀은 급성어지럼으로 발현한 59명의 뇌졸중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중 24%의 환자들의 초기MRI에서 위음성을 보였으며, 19%의 환자들은 기존의 두부충동검사를 통해서도 정확히 진단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비디오두부충동검사의 원자료를 분석해 여러 가지의 아형으로 분류하고 기존에 간과돼 오던 교정단속운동의 패턴을 분석함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은 5월 3일(수)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위원장에 이진수 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을 임명했다. 공개모집(공모기간 ’23.3.30.~4.13.) 절차를 거쳐 임명되는 이진수 위원장은 1950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 동 대학원에서 보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주 UT MD앤더슨 암센터 교수, 국립암센터 원장,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초대총장을 역임했다. 2021년 5월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지난 2년 간 직무를 수행해 왔다. 이진수 위원장은 2023년 5월 3일부터 2025년 5월 2일까지 2년 간 업무를 이어나가게 된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의료현장 기반 기술교류 세미나가 성료했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MEDI hub)과 지난 4월 27일 ‘제1회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의료현장 기반 기술교류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영남대 의과대학 연구지원실과 의료R&D서비스디자인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연구기획팀이 기획해 마련됐다. 이날 영남대 의과대학 교수들 및 실무진과 영남대 산학협력단 실무진이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를 방문해 기술교류 세미나 개최와 센터 내 연구시설 견학 등의 일정으로 진행됐다. 의대 교수 1인당 SCI급 논문 실적 전국 5년 연속 5위권을 기록 중인 영남대 의과대학의 우수한 연구진들이 실제 의료현장에서의 경험에 기반해 제안된 참신한 특허 및 사업 관련 아이디어를 센터 내 연구 인프라를 연계해 사업화를 위한 기술 교류의 첫 단추를 채우는 뜻 깊은 자리가 만들어졌다. 또한, 당일 실무를 담당한 연구지원실장 고영휘 교수와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노지형 팀장은 임상과 연구를 위한 서로 다른 두 기관이 공동으로 보조를 맞추는 초석을 마련하는 기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이 로봇수술 1500례를 달성했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은 지난 2009년 중부권 최초로 다빈치 수술로봇을 도입한 이후 ▲외과 477례 ▲비뇨의학과 481례 ▲산부인과 515례 ▲흉부외과 27례 등 총 1500례의 수술을 시행했다. 특히 이 중 암 수술이 ▲전립선암 346례 ▲직장암 256례 ▲갑상선암 183례 ▲신장암/신우요관암 62례 ▲결장암 9례 ▲위암 6례 ▲자궁경부암 6례 ▲자궁내막암 10례 ▲방광암 3례 ▲폐암 12례 등 모두 893례로, 전체의 59.5%에 이른다. 또한, 중부권 로봇수술 활성화에 선구적인 역할을 해온 대전을지대병원은 지난 14년간 꾸준히 술기 개발과 연구에 매진해왔다. 이를 통해 분야별 무흉터 로봇수술, 단일공 로봇수술 등에 성공함은 물론, 술기 전수에도 적극 나서며 로봇수술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대전을지대병원은 로봇수술 1500례를 기념해 오는 26일 오후 2시 병원 3층 범석홀에서 ‘제7회 로봇수술센터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노동 생산성 손실도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노동자가 맡은 직무 수행에 대한 압박감을 받아 나타나는 몸과 마음의 반응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직무 만족도와 직무 몰입도를 저하 시키고, 의료 이용과 재해발생률은 증가 시키는 등 사회적 부담도 유발시킨다. 특히,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실제 노동인구를 대상으로 건강관련 노동생산성과 직무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입증한 첫 결과라 할 수 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교신저자) 교수팀이 2021년 1078명의 경제활동을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했다고 3일 밝혔다. 직무 스트레스는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KOSS-S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를 사용하였고, 건강으로 인한 노동생산성 손실은 Absenteeism (결근, 조퇴, 지각 등으로 인한 근로시간 손실)과 Presenteeism (출근은 하였으나, 업무수행능력이 저하되어 발생한 생산성 손실)로 나누어 산출했다.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관련 노동생산성 손실의 상관성
새롭게 수립된 역할은 운영을 더욱 간소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캘리포니아 어바인, 2023년 5월 3일 /PRNewswire/ -- 아이허브(iHerb Holdings, LLC)는 장미리(Miriee Chang)를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임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Mrs. Chang은 이전에 iHerb에서 비즈니스 개발 및 글로벌 물류 부문 EVP(Executive Vice President)의 역할을 맡았던 직책에 상당한 리더십 경험을 제공합니다. iHerb announces Miriee Chang as Chief Operating Officer 장미리의 임명은 아이허브가 자사의 글로벌 성장 기회를 가장 잘 지원하기 위해 운영 구조를 강화하고 리소스를 추가로 조정하려는 더 큰 노력의 일환입니다. 장미리는 15년
-- 쭐랄롱꼰대학교의 연합보건과학부의 연구자들, 정확하고 사용하기 쉬운 결핵 진단용 MTB 스트립 검사 키트를 개발하며, 태국국가연구위원회(NRCT)로부터 2023 발명상(Invention Award) 수상 -- 태국의 결핵 확산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방콕 2023년 5월 3일 PRNewswire=모던뉴스) 결핵은 오늘날에도 공중 보건 시스템을 지속해서 위협하는 가장 전염성이 강한 질병 중 하나로 꼽힌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35년을 전 세계적인 결핵 퇴치의 해로 목표하고 있지만, 이 질병의 추세는 여전히 우려되는 상황이다. Chula Researchers Develop Rapid MTB Strip Test for Tuberculosis 쭐랄롱꼰대학교(Chulalongkorn University) 연합보건과학부(Faculty of Allied Health Sciences) 수혈의학과(Department of Trans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