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p텔레그램DBzone24l성인피시게임디비|I'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38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서울, 대한민국 및 뉴포트비치, 캘리포니아 2025년 3월 18일 /PRNewswire=연합뉴스/ --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글로벌 리더인 메디트가 최신 All-on-X (올온엑스) 솔루션 Medit SmartX를 출시했다. 메디트, 올온엑스 워크플로우 Medit SmartX 공식 런칭 올온엑스는 무치악 환자나 임플란트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뼈 이식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치과 시장에서 그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Medit SmartX는 다양한 임플란트 스캔 바디와 호환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며, 별도의 복잡한 과정이나 추가 스캐너 없이도 쉽게 임플란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메디트 스캐너와 통합되며, 사용자가 Scan Ladder, Smart Flag 등 선호하는 스캔 바디를&nb
LG화학의 제2형 당뇨병 치료 신약 ‘제미글로’ 제품군의 역대 누적 판매액이 1조원을 돌파했다. LG화학은 최초의 국내 개발 당뇨병 치료 신약인 ‘제미글로’ 기반 제품군(제미글로, 제미메트, 제미다파, 제미로우)의 2012년 12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합산 원외처방액(유비스트 시장자료)이 1조 659만원을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1조원 매출을 넘긴 국산 당뇨약 브랜드는 제미글로가 처음으로 출시 후 11년 연속 성장, 연평균 성장률 35%를 나타냈다. LG화학은 해외 제약사 제품이 장악한 당뇨시장에서 2003년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도전해 2012년 신약개발에 성공, 같은 해 12월 제미글로를 출시했다. 이후 1조원 규모의 국내 당뇨시장에서 1위로 도약하기까지 10년이 걸렸다. 2023년 첫 시장점유율 선두로 올라섰고, 2024년에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1530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LG화학은 현재 50만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들이 제미글로 제품군을 복용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LG화학은 차별적 고객가치 제공에 집중해 제미글로를 시장 선도 브랜드로 육성했다. LG화학은 개발 착수 이후 20여년간 총 1500억원을 투
SGLT-2 억제제의 체중감소와 혈당감소 효과는 익히 알려져있는 주요 장점이지만 이제는 신장과 심혈관 보호 효과도 점점 중요한 고려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신장과 심혈관에서도보호 효과를 입증한 다파글리플로진의 연구결과가 주목을 받았따.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이튿날인 15일 아침, 한미약품의 후원을 통해 개최된 조찬심포지엄이 개최됐다. 해당 심포지엄에서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보연 교수가 ‘SGLT-2 Inhibitor: Beyond Glucose Lowering Effects’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김보연 교수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당뇨병 환자는 507만명으로 보고됐으며, 지난 11년간 증가 추세를 보이다 2020년부터는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치료를 받는 환자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발표된 당뇨병 조절률은 32.4%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이에 최근 진료지침에서는 초기부터 적극적인 병용 요법을 강조하고 있다. 김 교수는 “당화혈색소가 7.5% 이상일 경우 메트포르민과 함께 추가적인 병용치료를 고려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개별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하며, 혈당 조절 효과뿐만 아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글로벌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 기업인 메디트(Medit, www.medit.com)가 Medit i900 구강스캐너 라인업에 새로운 모델 'Medit i900 classic'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Medit i900 classic은 직관적인 조작과 정밀한 스캔, 매끄러운 워크플로우 통합 기능을 제공하여 전 세계 치과 전문가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메디트, i900 라인업의 새로운 모델 ‘Medit i900 classic’ 출시 예정 Medit i900 classic은 더 깊어진 스캔 가능 깊이, 높은 정확도, 가벼운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갖추어 디지털 덴티스트리 혁신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사용자가 디지털 덴티스트리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경
-- 자율성 존중•선택적 근로시간제로 업무 효율성 및 기업문화 혁신 주도 서울, 한국 2025년 3월 10일 /PRNewswire=연합뉴스/ -- 피부과학 전문 기업 갈더마코리아가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 기관인 GPTW코리아에서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2년 연속 획득했다. 특히, 올해는 '대한민국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과 '글로벌 ESG 인권경영 인증'도 함께 수상하며, 우수한 기업 문화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또한 이재혁 갈더마코리아 대표이사는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최고경영자상'을, 김남준 이사는 'GPTW 파이오니아상'을 수상하며 Commercial Excellence의 조직 안정화, 회사와 인재의 동반 성장 철학을 통한 기업문화 개선 노력에 대해 높이 평가받았다. 갈더마코리아는 '모두를 위한 피부과학을 발전시킨다' 라는 비전 아래 피부과 전 영역에서 한국인의 피부 건강을 위한 최적의&nbs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구성욱) 이비인후과 배성훈 교수 연구팀이 뇌 건강 상태로 난청 환자의 인공와우 이식 수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6일 밝혔다. 난청은 고령 인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삶의 질 저하뿐 아니라 우울증과 치매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인공와우 이식은 고도난청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령을 이유로 수술을 주저하거나 좋은 결과를 기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 청력 특성상 환자마다 개인차가 있어 수술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가 부족한 상황이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배성훈 교수와 전 한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김준엽 교수는 청력과 소뇌의 연관성에 주목했다. 소뇌는 전통적으로 운동 기능과 균형 유지에 주로 관여한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소뇌가 언어 지각과 같은 인지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다양한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연구팀은 70세 이상의 인공와우 이식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뇌 MRI를 살펴봤다. 소뇌에서 언어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Crus I’영역의 회백질 부피를 정밀 측정했으며, 이후 단음절, 이음절 단어 및 문장
코든파마(CordenPharma)는 앞으로 3년간 무려 10억 유로가 넘는 자금을 투자하여 유럽과 미국에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의 펩타이드 생산 공장을 건설하거나, 확장할 계획이다. 스위스에 있는 코든파마는 5억 유로 이상 투자하여 바젤(Basel) 지역 내 무텐츠(Muttenz)에 소규모에서 대규모에 이르는 펩타이드 개발 및 생산을 위한 그린필드 사이트를 건설할 계획이다. 미국 콜로라도 사이트는 생산 시설 확충을 위한 그린필드 건설 외에도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기존 생산 라인의 펩타이드 생산량을 크게 늘린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바젤, 스위스, 2025년 3월 5일 /PRNewswire/ -- 코든파마는 2024년 7월 16일 발표 이후 자사의 성장 이니셔티브에서 10억 유로가 넘는 전략적 펩타이드 개발 및 생산 투자를 포함해 유의미한 진행 상황을 공개했다. 회사의 야심찬 확장 계획은 2028년 펩타이드 플랫폼 매출 목표 10억 유로 이상을 달성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여 API에서 의약품(주사형 및 경구용 펩타이드)까지 소규모에서 대규모 서비스를 통합 공급하는 시장 선도업체로서 입지를 강화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2월 28일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정상형(wild type) 또는 유전성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 심근병증 (Tranthyretin Amyloid Cardiomyopathy, 이하 ATTR-CM) 치료제 빈다맥스(성분명: 타파미디스)가 3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받게 됐다고 5일 밝혔다. ATTR-CM은 혈액 내에서 자연적으로 순환하는 운반 단백질인 트랜스티레틴(TTR)이 불안정해지며 잘못 접힌 단위체로 분리돼 심장에 쌓여 제한성 심근증을 일으키는 진행성 희귀질환이다. 심전도, 심초음파, 또는 심장자기공명영상 검사 상에서 아밀로이드증이 의심되는 환자 중 혈액 및 소변검사를 통해 경쇄아밀로이드증이 배제되고, 핵의학 검사(99m Tc-PYP, DPD, HMDP 신티그래피)에서 grade 2 또는 3의 심장조직 내 TTR 아밀로이드 침착이 확인되거나 심장 조직검사를 통해 TTR 아밀로이드가 확인된 경우 ATTR-CM으로 진단된다. 이번 고시에 따라 빈다맥스는 ATTR-CM으로 확진된 만 18세 이상 성인 환자에서 1)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형으로 진단 받은 경우, 또는 2) 정상형으로 ▲최근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뉴욕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대표 크리스토프 하만)는 세계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 3월 8일)을 맞아 지난 26일 ‘성평등한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 워라밸)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한 사내 행사’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날 한국머크 바이오파마 직원은 ‘다양성(Diversity)·형평성(Equity)·포용성(Inclusion)·소속감 (Belonging)’ 제도(DE&I, Belonging 또는 DEIB)를 바탕으로, 성평등한 일터 구현 촉진 방안과 실천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보냈다. 또한 여성의 날의 상징인 빵(여성의 생존권)과 장미(여성의 참정권)를 나누며 올해 세계 여성의 날 캠페인 표어인 ‘#Accelerate Action(더 빠르게 행동하라)’ 의 의미를 되새겼다. 이날 패널로 참석한 조기도 전략 총괄(Head of Strategy & Operations Excellence)은 “현재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아이의 등·하원 시간에 맞춰 단축근무 중인 팀원을 위해 시간 외 연락을 최소화하는 등 사내 구성원 간 협조가 일상으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고, 옥지민 품질보증부 스페셜리스트는(Qu
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자사의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성분명: 오크렐리주맙)가 3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는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고시에 따라 오크레부스는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에 해당하는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RRMS) 환자 중 1차 치료제(인터페론 β-1b 등) 투여 후 치료 실패 또는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며 외래 통원이 가능한 환자 및 ▲이차 진행형 다발성경화증(SPMS) 환자를 대상으로 단독 요법에 대한 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재발 완화형에서는 2차, 이차 진행형에서는 1차 치료제로서 급여를 인정받게 됐다.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은 재발 완화형 및 이차 진행형 다발성경화증을 모두 포함한다.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RRMS)은 다발성경화증의 가장 흔한 유형이다. 증상의 재발과 회복이 반복되는 특징을 보이며, 전체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약 85%가 초기에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으로 진단받는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대다수의 환자가 이차 진행형 다발성경화증(SPMS)로 전환되며, 유병 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장애가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다발성경화증의 주요 치료 목표 중 하나는 조기에 질
한국 서울, 캘리포니아주 뉴포트 비치 2025년 2월 27일 /PRNewswire/ -- 디지털 치의학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메디트(Medit, www.medit.com)가 자사 스캐너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디지털 올온엑스(All-on-X) 워크플로를 혁신한다. Medit SmartX 메디트는 3월부터 메디트 올온엑스 워크플로인 메디트 스마트X(SmartX)를 선보이며 사용자가 복잡한 절차를 거치거나 스캐너를 추가로 구입하지 않아도 간편한 스캔을 통해 임플란트 위치를 확인하고 워크플로를 시작할 수 있게 해줄 예정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스캔 바디를 유연하게 선택해 작업할 수 있어 특정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신약허가 결정일이 한달도 채 남지 않은 HLB의 간암신약 ‘리보캄렐 병용요법’이 세계 최대 권위의 암학회인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간한 ‘간세포암 진단/치료 가이드라인(HCC: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에 1차 치료제로 등재됐다. 또한 해당 가이드라인은 리보캄렐에 대해 처방을 ‘강력 권고’하는 약물로 규정했다. ESMO 간암관련 분과에서 발행하는 해당 가이드라인은 암 진단, 치료 및 이후 추적관리 등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로, 미국암종합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과 함께 전 세계 많은 전문의들이 환자의 치료에 적용하는 대표적 지침서다. 아직 신약승인이 나지 않은 약물에 대해 현장의 의사들에게 처방을 권하는 약으로 등재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2022년 이후 3년만에 개정된 이번 저널에는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현저한 치료 효과를 입증한 최초의 신생혈관억제(VEGFR) TKI 치료제와 면역항암제(anti PD-1)의 조합이라고 소개하며, 환자 전체생존기간(mOS)이 역대 최장 기간인 23.8개월
오래온라이프사이언스(대표 오정훈)가 오는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KIMES 2025(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에 참가한다. 오래온라이프사이언스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자체 생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기술력과 차별화된 제품을 소개하며, 글로벌 의료 미용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오래온라이프사이언스는 오는 KIMES 2025에서 자사의 대표 제품군 ‘아이시리즈(i-Series)’를 선보일 예정이다. ‘아이시리즈’는 ▲모노페이직 HA 필러 ‘아이리드(i-LEAD)’, ▲PN 성분을 함유한 스킨부스터 ‘아이쥬브(i-JUV)’, ▲고분자·저분자 히알루론산(H-HA with L-HA) 조합을 활용한 HA 하이브리드 필러 신제품 ‘아이노바(i-NOVA)’로 구성돼 있으며, 다양한 피부 개선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오래온라이프사이언스는 혁신 신제품 ‘아이노바(i-NOVA)’를 통해 글로벌 피부 케어 시장의 판도를 새롭게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측은 최신 스마트 팩토리에서 구축한 최첨단 자동화 시스템과 철저한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정밀한 기술력과 과학적 설계가 돋보이는 ‘아이노바(i-NOVA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안나마리아 보이)은 지난 21일, 서울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본사에서 임직원 자녀들을 초청해 부모의 일터를 체험하는 ‘패밀리 데이(Family Day)’ 행사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패밀리 데이는 과학 분야 내 성별 불평등 해소 및 동등한 참여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제정된 ‘세계 여성 과학인의 날’ 10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베링거인겔하임의 핵심 가치인 다양·포용·형평(DE&I) 및 인간과 동물 생명의 소중함(One Health)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패밀리 데이에 참석한 140여 명의 임직원과 자녀들은 사무실을 견학하고 여러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부모가 하는 일과 일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는 ‘우리는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지키는 명예 베링거인겔하임 사원’을 테마로 진행됐다. 명예 사원이 된 자녀들은 부모가 일하는 모습과 근무 공간을 둘러보는 ▲오피스 투어를 비롯해 ▲어린이를 위한 뇌졸중 질환 및 내외부 구충을 통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중요성 교육, ▲퀴즈 게임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다. 오피스 투어에서는 '엄마·아빠의 직업 소개' 코너를 통해 헬스케어
헬스투싱크(Health2Sync)가 한국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의 의료 전문가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헬스투싱크는 2024년 1월, 자사의 디지털 질환 관리 앱인 ‘슈가지니(SugarGenie)’를 출시한 이후 한국 의료기관에서 채택이 급증하고 있다. 헬스투싱크 솔루션은 데이터 통합, 시각화 및 맞춤화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 치료 질을 향상시키고 진료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헬스투싱크는 사노피(Sanofi)와 협력해 한국의 병의원 대상 통합된 당뇨병 관리 솔루션을 제공, 의료진과 환자의 쌍방향 소통 기능으로 정부의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참여하는 병의원을 지원한다. 2024년 12월 기준 100개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헬스투싱크의 환자 관리 플랫폼을 도입해 당뇨병, 고혈압, 비만 환자들의 치료를 향상시키고 있다.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문선준 교수는 “헬스투싱크의 솔루션은 환자 치료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킨다”며 “진료실에서 환자의 데이터를 쉽게 모니터링하여 개별적인 가이드를 줄 수 있어 당뇨병 환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헬스투싱크의 슈가지니 앱은 애보트(Abbott), 사노
비정형 EGFR 유전자 변이 폐암의 기존 치료법보다 높은 효과를 보이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홍민희, 연세의대 의생명과학부 윤미란 교수, 오승연·박세원 연구원 연구팀은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병용 요법이 레이저티닙 단독 요법보다 치료 효과가 우월하다고 11일 밝혔다. 비소세포폐암 환자 10명 중 3~4명은 EGFR 돌연변이를 보인다. 이 중 90%는 L858R과 엑손 19 결손 변이고 나머지는 비정형 EGFR 변이로 분류한다. 대표적으로 G719X, S768I, L861Q가 있으며 두 가지 이상 변이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비정형 EGFR 변이 치료제로는 2세대 EGFR 표적항암제 아파티닙이 FDA 승인을 받았지만, 일부 변이에 대한 효과가 제한적이고 내성이 발생하면 대체 가능한 옵션이 부족한 상황이다. 3세대 EGFR 표적항암제인 오시머티닙도 치료 효과를 입증했지만 변이마다 보이는 효과가 다르다. 연구팀은 EGFR 변이 치료제의 내성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인 MET 변이를 동시에 타깃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시도했다. 3세대 EGFR 표적항암제 레이저티닙과 EGFR-MET 이중 표적 항체 아미반타맙을 병용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
국내 의료진이 ‘Go 단백질’을 이용 뇌전증, 우울증 등의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아주의대 해부학교실 최정미 연구교수팀(서해영 명예교수)은 뇌 신호전달 과정에서 ‘Go 단백질’의 새로운 분자적 역할을 규명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마초 성분이 결합하는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CB1R(cannabinoid receptor type I)이 신경계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억제하여 신경 회로의 항상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데, Go 단백질이 ‘CB1R-의존적 신경 회로 조절’의 핵심 인자임을 처음으로 밝혔다. CB1R이 매개하는 신경 회로의 항상성이 유지되지 못하면, 신경전달물질 방출이 과도하게 증가해 신경 회로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는 신경 과흥분 상태로 이어져 발작과 시냅스 가소성(뇌가 변화하고 적응하는 능력) 손상을 유발하며, 소뇌에서 보행실조(ataxia), 대뇌에서는 뇌전증(epilepsy) 등과 같은 신경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소뇌에서 Go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기법을 활용하여 Go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들을 확인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1월 21일(화)에 ‘식의약 안심이 일상이 되는 세상’을 비전으로 하는 ‘2025년 식약처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급변하는 사회·기술 환경에 대응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정책과 효율적인 규제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25년 주요 정책 추진계획’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온라인 시장 감시와 불법 해외직구 검사를 철저히 하고 비만치료제, 문신용 염료 등 국민 관심 품목도 엄격히 관리한다. 또한 다빈도・대형 식중독 유발이 우려되는 다소비 식품을 집중관리해 국민 안전의 기반을 다진다. 두 번째,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안심 일상을 만들기 위해 ‘한걸음 프로젝트’를 통해 마약 중독 환자의 건강한 사회복귀를 지원한다. 신속한 의약품 수급 예측과 필수의료기기 제도 도입 등 안정적인 의료제품 공급망을 구축하여 환자의 치료 기회를 넓혀 나간다. 세 번째, 디지털의료제품법 시행과 ‘제품화 길잡이 연계’로 혁신 의료제품의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전략적 규제지원을 추진한다. AI 의료제품 국제심포지엄 개최, 다자간 의약품 규제 상호협력, 유럽의약품청과 공동 허가・심사 참여 등으로 글로벌 규제를
DPP-4 억제제들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독만큼은 지속적으로 의미있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어 올해 종근당과 순위 교체가 가능할지 기대가 모이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 분석 결과 주요 DPP-4 억제제들은2023년 5700억원대에서 2024년 5088억원으로 10.7%감소했다. LG화학이 보유한 제미글립틴 성분의 제품들은 2023년 1423억원에서 2024년1439억원으로 1.1% 증가했다. 단일제 제미글로가 414억원에서 416억원으로0.5% 증가했으며 복합제들 중 ‘제미메트’는 578억원에서 581억원으로0.4%, ‘제미메트서방정’이 424억원에서 436억원으로 2.9%,‘제미로우’는 5억원대에서 4억원대로 18.1% 감소했다. 또 리나글립틴 성분 제품들을 판매하는 베링거인겔하임은 2023년 1234억원에서 1038억원으로 15.9%줄어들었다. 단일제 ‘트라젠타’가 613억원에서 500억원으로18.3%, 복합제 ‘트라젠타듀오’가 621억원에서 538억원으로13.4% 축소됐다. 시타글립틴 성분인 종근당 제품들은 2023년 1367억원에서 2024년 997억원으로27.1% 하락했다. 단일제 ‘자누비아’가 348억원에서23
2024년 주요 SGLT-2 억제제의 시장 규모가 자디앙의 성장에 힘입어 약 9%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비스트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해 주요 SGLT-2 억제제 시장을 분석한 결과 총 1641억원의 규모를 달성하며 전년도인 2023년 1508억원 대비 원외처방액이 8.8% 증가했다. 특히 자디앙을 보유하고 있는 베링거인겔하임의 경우 2023년 1001억원에서 2024년 1203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20.1%나 상승하며 SGLT-2 억제제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단일제 자디앙이 581억원에서 663억원으로 14.1% 증가했으며 업계 점유율은 39.7%에 달했다. 또 복합제들 중 메트포르민과의 복합제인 ‘자디앙듀오’는 393억원에서 418억원으로 6.2%, 리나글립틴과의 복합제인 ‘에스글리토’가 26억원에서 121억원으로 300% 이상 확대된 모습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직듀오의 원외처방액 감소에 따라 전체적인 원외처방도 소폭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 동안 495억원에서 433억원으로 12.4% 줄어들었다. 다파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의 복합제인 ‘직듀오’가 472억원에서 367억원으로 22.3% 감소했지만, 삭사글립틴과의 복합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