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45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 회장 오동욱)는 한국119청소년단(이하 119청소년단, 총재 윤명오)과 17일 후원 약정식을 진행, 다양한 응급 상황에 미리 대비하고, 미래 안전리더로 청소년들이 성장하기 위한 교육 강화 지원을 위해 5천만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1963년부터 창단된 119청소년단은 국내 유일의 소방안전 관련 청소년 단체로, 어려서부터 올바른 안전 의식과 습관을 기르고, 안전을 중시하는 건강한 청소년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의 유치원, 초, 중, 고, 대학교, 지역단으로 2만 5천여명의 청소년단이 활동 중이다. KRPIA는 이번 후원을 통해 119청소년단의 안전 사고와 관련된 응급처치 교육과 캠페인 활동 및 안전캠프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후원금은 예측 불가능한 응급사고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을 포함한 응급처치 교육, 매뉴얼 개발 등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는 119청소년단 교육 강화 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다. 119청소년단 윤명오 총재는 “청소년 안전교육에 관심을 가져주신 KRPIA 관계자께 감사드린다”며, “한국의 미래
“간호법을 엉터리로 심의한 조정훈 의원은 국민 앞에 머리 숙여 사과하라” 대한간호협회가 16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간호법의 제2소위 회부를 주장한 조정훈 의원을 강력히 규탄했다. 간협은 성명서를 통해 “법사위에서 김도읍 위원장은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직권 상정 후 제2소위로 회부했다”며 “특히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김도읍 위원장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직권으로 상정해 제2소위에 회부한 것은 직권남용이자 국회법을 위반한 것으로서 방송법, 간호법 등 남은 안건에 대해서도 이렇게 처리한다면 더이상 회의 진행은 의미없다’고 강력히 항의하며 전원 퇴장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이후 간호법안 토론과정에서 시대전환 조정훈 의원은 전문위원 검토보고서에서도 문제 삼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조무사단체의 일방적 주장을 받아들여 법리적으로, 체계적으로 검토함 없이 제2소위 회부를 주장했다”며 “그리고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정족수 부족에도 불구하고 조정훈 의원의 의견 이후 더 논의함 없이 간호법의 제2소위 회부를 선언했다”며 유감을 표했다. 간협은 “특히 조정훈 의원은 간호법안에 대해서 체계‧자구 심사를 한 것이 아니다. 법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간호
2022년 주요 항응고제 시장 원외처방액이 감소한 가운데 상위 주력 제품들은 갈수록 원외처방과 시장 내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항응고제(오리지날 기준) 시장은 2022년 2185억원을 달성하면서 2021년의 2248억원 대비 원외처방이 2.8%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전히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은 올해 점유율이 한층 더 확대됐다. 2021년에는 848억원으로 전체 원외처방액의 37.7%의 점유율을 보였으나 2022년 4.9% 증가한 889억원을 달성하면서 점유율도 40.7% 증가했다. 엘리퀴스와 자렐토의 특허 분쟁이 한바탕 지나간 이후 이제는 제약사들이 릭시아나를 눈여겨보고 있다. 물질특허가 2026년 11월, 조성물특허가 2028년에 만료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출시되지는 못했지만 최근에만 해도 한독, 휴텍스제약, 제뉴파마 등 여러 제약사들이 에독사반 성분으로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았으며, 업계는 엔비피헬스케어가 지난 해 제기한 물질특허 회피 심판과 관련해 면밀하게 지켜보고 있다. BMS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도 점유율
작년 7월 세계적 학술지 란셋에 등재돼 화제를 모은 한미약품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로수젯’의 또다른 연구 결과가 유명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에 등재됐다. 심혈관 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혈중 저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관리에서도 로수젯의 탁월한 효과를 확인한 연구로, 이상지질혈증 치료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미약품은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 IF 35.855) 최신호에 로수젯을 이용한 대규모 임상연구(레이싱 연구)를 토대로 진행된 하위 분석 결과가 게재됐다고 17일 밝혔다.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이 있는 당뇨병 환자 1398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스타틴 단독 요법과 중강도 스타틴 및 에제티미브 병용요법(로수젯)의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한 연구다. 한미약품 로수젯은 이미 작년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 IF 202.731)에 등재된 레이싱 연구(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연구팀)를 통해 고강도 스타틴 단독요법 대비 LDL-C 조절 효과의 우수성을 증명한 바 있다. 이번 유럽심장저널에 게재된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당뇨병을 동반한 심혈
비아트리스 코리아(Viatris Korea)가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 ‘도브프렐라(성분명: 프레토마니드)’를 출시한다. 도브프렐라는 다제내성 결핵의 일종인 광범위 약제내성 폐결핵 및 치료 내성 또는 비반응성 다제내성 폐결핵 성인 환자에 대한 베다퀼린과 리네졸리드와의 3종 병용요법(BPaL)으로 2021년 10월 식약처로부터 허가받았으며, 2023년 1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다. 급여 기준은 허가사항과 동일하며, 1회 투약 기준(1정) 7만 4205원으로 인정된다. 투약 방식은 도브프렐라 200mg, 베다퀼린 400mg, 리네졸리드 1200mg을 26주간 1일 1회 경구 투여하는데, 베다퀼린은 2주간 1일 1회 경구 투여 후, 투여 간격을 최소 48시간으로 24주간 200mg을 주 3회 투여하며 리네졸리드의 경우 알려진 독성에 의한 이상반응(골수억제, 말초 및 눈의 신경병증)이 발생하는 경우 600mg, 그리고 이 후 300mg으로 용량을 감량하거나 투여를 중단한다.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Extensive Drug Resistant Tuberculosis, XDR-TB)은 대표적 결핵 치료제인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내성이고, 한 가지 이상의
한국BMS제약(대표이사 이혜영)은 급성골수성백혈병 유지요법 치료제 ‘오뉴렉(Onureg, 성분명 아자시티딘)’의 1월 16일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사내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오뉴렉은 지난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공고요법 시행 유무와 관계없이 유도요법 이후 완전관해(CR, Complete Remission) 또는 불완전한 혈액학적 회복을 동반한 완전관해(CRi, Complete Remission with incomplete blood count recovery)를 달성하고, 조혈모세포이식(HSCT)이 적합하지 않은 급성골수성백혈병 성인 환자에서의 유지요법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이번 행사는 한국BMS제약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국내 첫 급성골수성백혈병 경구용 유지요법 치료제 오뉴렉의 새 출발을 알리는 동시에 완전관해 후 조혈모세포이식이 불가한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이 제한된 치료 상황에서 겪는 어려움에 깊이 공감하고, 오뉴렉을 통한 치료 환경 개선 의지를 다지고자 마련됐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생산하는 골수구계 모세포에서 발생하는 급성 백혈병이다.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은 완전관해 달성 후 조혈모세포이식을 통해 완치를 기대할 수
한의 기술과 디지털 등 첨단과학을 융합해 만성질환 등 난치성 질환에 대한 해법을 공동 모색하는 ‘한의 디지털 융합기술개발사업’이 진행된다. 보건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한의 디지털 융합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착수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와 과기정통부가 협업하여 한의학에 첨단과학을 결합해 한의학의 혁신을 꾀하는 첫 사례로써, 기초‧원천 핵심기술 개발부터 응용‧임상연구까지 전주기 연구수행을 위해 향후 5년간(‘23~’27) 총괄과제 1개 및 개별과제 34개 등 35개 과제에 대해 총 44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총괄과제 1개(46.3억원)는 기초‧원천연구 및 응용‧임상연구 분야에서 수행되는 34개 개별 연구과제의 성과가 극대화되도록 연계‧지원하는 내용으로, 융합한의학 연구데이터를 수집해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K-BDS)등을 통해 공유‧활용되도록 지원한다. 기초‧원천기술 분야 8개 과제(180억원)는 한의학 기초이론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연구를 통해 창출된 데이터를 축적하는 ‘융합한의학 기초기술 개발(4개 과제)’과 한의기술과 최신 바이오‧정보통신기술(ICT)과의 융합연구를 통해 새로운 융합 한약‧의료기기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2022년 원외처방 상위 50위를 기록한 주요 제품들이 예년과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며 고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5개 제품 중 3개 제품의 원외처방액이 증가한 모습이었으며, 상위 제품들 중 국내 제약사들의 제품들이 다수 포함되면서 국산신약 전성시대의 입지를 굳혔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의하면 2022년 주요 제품들의 원외처방액은 3조 5266억원으로 2021년 대비 3조 4840억원보다 1.2% 증가했다. TOP5 제품들 중 부동의 1위인 비아트리스의 이상지질혈증 약 ‘리피토’는 2021년 2051억원에서 2022년 1962억원으로 4.4% 감소하면서 상위 제품들 중 유일하게 원외처방액이 하락했다. 반면 같은 적응증인 한미약품의 ‘로수젯’은 2021년 1231억원에서 2022년 1403억원으로 13.9% 증가하며 최상위권 제품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다소 성장세가 잡힌 편이기는 하나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은 2021년 1095억원에서 1252억원으로 14.3% 의 성장률을 보이며 상위 5개 제품 중에서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어 사노피의 항혈전제 ‘플라빅스’가 2021년 1153억원에서 2022년 1176억원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망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단일 질환, 바로 고혈압이다. 이는 세계보건기구의 발표에 따른 것인데, 담배나 비만보다도 기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고혈압은 하나의 질환이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의 경우 고혈압이 없는 사람보다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이로 인해 기대수명도 더 줄어들게 된다. 대전 을지대병원 심장내과 박상현 교수와 고혈압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본다. Q. 고혈압은 신체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A. 혈압이 높아지게 되면 주요 장기에 혈액을 전달하는 혈관이 손상되고 염증 반응을 일으켜 뇌, 눈, 심장, 콩팥 같은 주요 장기가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혈관 손상으로 인해 혈관이 터질 수도 있고, 혈관을 좁아지게 만드는 죽상경화증을 일으켜 혈관을 막을 수도 있다. 결국 고혈압은 뇌출혈이나 뇌경색, 심근경색 같은 치명적인 심혈관질환의 발생 및 사망 위험을 크게 높이는 질환이다. Q. 뒷골이 당기면 고혈압을 의심해야 하나?A. 사실 대개의 고혈압 환자는 혈압 상승과 관련해서 특이한 증상이 없다. 이 때문에 고혈압을 ‘침묵의 살인자’라 부르기도 한다. 고혈압에 의해 나타나는 두통은 보통 뒤통수 부위에 나타나며, 잠에서 깨
보건의료노조는 2021년 말 발생한 간호사 ‘태움’ 사건의 근본적인 문제는 적정 인력 확보 없이 무리하게 개원한 병원 측에 있다고 보고, 2023년 최우선 과제로‘간호인력 확충’을 제시했다. 2021년 말, 의정부 을지대병원에서 근무하던 신규간호사가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조사 결과 ‘태움’이라고 불리는 직장 괴롭힘이 있었고, 의정부지방법원은 지난 12월 10일 욕설과 폭행 장면이 담긴 병원 CCTV 등을 근거로 피고인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 비슷한 사례의 피고인들이 보통 벌금형에 그쳤으나 실형이 선고된 것은 이례적인 일로, 법원이 이 사건의 중대함을 인식한 것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보건의료노조는 “이러한 사태를 몰고 온 병원에 대한 처벌은 없다”며 “간호인력조차 확보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병원을 개원했고, 신규 간호사의 계속적인 요구와 절규에도 아무런 대책과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을지대병원 간호사 자살사고는 인력 부족, 태움과 갑질문화, 병원 내 노동자들에 대한 을지재단의 전근대적 인식과 처우 등이 결합된 총체적 결과로서, 병원측이 전적으로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고 말했다. 한편, 사건 이후 의정부을지대병원은 직장
체한 것처럼 명치나 오른쪽 윗배에 심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지방을 소화시키는 답즙(쓸개즙)이 돌처럼 단단하게 응고돼 결석이 발생하는 ‘담석증’일 가능성이 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이윤나 교수와 ‘담석증’에 대해 알아본다. 담석증은 담즙을 저장하는 탱크인 담낭, 담즙이 이동하는 길목인 담관 등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결석이 담낭 안에 생기면 담낭 담석증, 담관 안에 생기면 담관 담석증, 간 내부에 생기면 간내 담석증이라고 부른다. 담석증이 담즙 배액 경로를 막으면, 담낭과 담관 압력을 높여 통증을 일으키며, 지속되면 염증이 악화하고 이차적인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담석증 주요 증상은 심한 복통이다. 가슴 가운데 명치나 오른쪽 윗배 심한 통증이 15분 이상, 길게는 종일 지속되는 특징이 있고 때로는 등 쪽으로 뻗치기도 한다. 5시간 이상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열, 오한, 황달 증상이 지속되면 ‘담도산통’을 의심하고 진료받아야 한다. 증상이 없거나 중압감 등 모호한 증상만 있는 경우도 있다. 복통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염, 위·식도역류질환, 췌장염, 요로계 질환과 감별하려면 복부 초음파 및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
주요 제약사들의 원외처방이 전년 대비 2022년에 3.9%의 성장을 기록한 11조 8038억원으로 마무리됐다. 이와 함께 주요 제약사들 5곳 중 3곳 이상은 2022년 원외처방액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가 2022년 원외처방 현황을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2년 원외처방 상위 50위를 기록한 제약사들은 총 11조 8038억원을 기록해 2021년 11조 3643억원보다 3.9% 증가했다. 265개 전체 제약사를 놓고 보면 2021년 16조 1125억원의 원외처방액이 16조 9671억원으로 훌쩍 상승하면서 5.3%로 더 큰 폭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TOP5, 이변은 없었다…한미약품 1위 유지 상위 5위 안에 드는 제약사들은 올해도 전반적으로 같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유한양행이 엠에스디를 제치고 5위로 진입했다. 또, 대부분의 원외처방액이 증가했지만 비아트리스는 소폭 감소한 실적으로 아쉬운 결과를 맞이했다. 1위 순위 방어에 성공한 한미약품은 2021년 7417억원에서 7891억원으로 원외처방이 6.4% 증가했으며 2위인 종근당도 2021년 6043억원에서 2022년 6265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3.7% 늘었다. 특히 3
18F-에프도파 양전자방출단층촬영, 18F-에프도파 양전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18F-에프도파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전산화단층촬영 등 5개 의료기술이 신의료기술로 평가됐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 일부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이번 개정안은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최종심의 결과, 안전성ㆍ유효성이 있는 의료기술로 인정된 신의료기술에 대한 평가결과, 사용 목적, 사용대상 및 시술(검사)방법 등을 고시하고자 마련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있는 신의료기술로 평가된 ▲18F-에프도파 양전자방출단층촬영, 18F-에프도파 양전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림프부종 환자의 저출력 레이저 치료 ▲가상현실 노출치료 ▲결핵균 및 비결핵항산균 동시검출검사 ▲수증기 이용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등 5건의 신의료기술을 추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8F-에프도파 양전자방출단층촬영’과 ‘18F-에프도파 양전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는 파킨슨병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18F-에프도파액을 정맥주사 후 PET 또는 PET/CT를 통해 뇌 부위의 촬영된 영상을 전문의가 판독하는 방식을 통해 파킨슨병과 파킨슨병을 제외한 파킨슨증의 감별 진단하는
암 검진 결과와 암 검진 대상자 개인정보에 대한 정보 보존 근거가 마련됐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암 검진 실시기준’ 일부개정안을 개정·발령했다. 이번 개정안은 대장이중조영검사 제외 및 검진 비용 등 관련 서식을 개선해 국가 암 검진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마련·시행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암 검진사업 정보시스템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명시된다. 이에 따라 국립암센터는 국가암검진사업 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암검진 결과 및 개인정보를 ‘표준 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영구 보존할 수 있으며, 사업이 종료되는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파기해야 한다. 또한, 대장암 검진 대상자 및 검사항목 중 ‘대장이중조영검사’가 제외·삭제되며, 장애인 안전·편의관리비가 ‘3만7770원 → 5만350원’으로 인상되고, 암 검진 문진표 만 나이가 삭제된다.
제노바, 이탈리아, 2023년 1월 16일 /PRNewswire/ -- 초음파, 전용 MRI 및 의료용 정보기술 등 바이오 메디컬 분야의 선도기업인 Esaote가 'The Ocean Race: Genova, the Grand Finale'의 후원사로 선정됐다. 이로써 Esaote는 이 세계 일주(Round the World) 항해 대회에 참가함으로써 올 6월 24일과 7월 2일에 도착 스테이지의 주역이 될 예정이다. The Austrian Ocean Racing Team Genova 2023년은 가장 특별한 해양 보트 경주인 The Ocean Race가 50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이번 대회는 약 32,000마일의 항해와 6개의 스테이지를 거쳐 역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제노바에 도착할 예정이다. Esaote의 CEO Franco Fontana는 "이 놀라운 보트 경주에서 제노바가 추구해 온 가치와 자사가 추구하는 가치를 동일시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The Ocean Race는 스포츠와 지속가능성, 그리고 기술 우수성을 결합해 전 세계를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이한준)이 코로나 19로 인해 중단됐던 해외 의료봉사 활동을 시작하며 4년 만에 베트남을 찾았다. 소화기내과 서지현 교수를 단장으로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병원 의료진과 중앙대 의·간호·약학계열 학생으로 구성된 17명의 중앙대병원 의료봉사단은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베트남 꽝응아이성(Quang Ngai) 지역에서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의료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두산 지정기탁사업)으로 진행된 이번 의료봉사활동은 5일간 약 1600여 명의 지역 주민들에게 내과, 소아청소년과, 정형외과, 가정의학과 진료를 시행했고, 기본검진 등을 통해 필요한 약품을 제공했다. 의료봉사에 앞서 중앙대병원은 꽝응아이 모자병원(Quang Ngai women's and children's hospital)에 진료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침대, 질 확대경 등 약 4천만 원 상당의 의료장비를 기증하기도 했다. 의료장비 기증식에 참석한 홍창권 의료원장은 “코로나19 확산세로 중단됐던 의료봉사 활동을 다시 재개할 수 있어 기쁘고, 이번 의료봉사 기간 동안 중앙대병원 의료봉사단은 현지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의료
고려대학교 의료기술지주 자회사 휴스파인(대표 오세준·고대의대 연구교수)이 세계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3’에 참가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척추 감압 견인기를 소개하며 보유 기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렸다. 이번 CES 2023은 현지 시간 기준 지난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됐으며, 174개국 3200개의 기업이 전시에 참여하는 등 열기가 뜨거웠다. 휴스파인의 AI 척추 감압 견인기는 그동안 병원에서 활용하던 허리 감압 견인기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콤팩트한 디자인에 재활과학 기반 기술을 집약한 제품이다. 특히, 척추 질환자의 근육 긴장도를 AI로 감지해 환자 맞춤형으로 적용하는 척추 감압(spinal decompression) 기능이 탑재돼 있다. 휴스파인은 세계 각국의 CES 참가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았으며, 척추 질환 및 통증을 경험하거나 관심을 갖고 있는 참가자들은 부스를 방문해 직접 기기를 체험하며 호평을 쏟아냈다. 휴스파인은 ㈜씨비에이치, ㈜아이엔티텍 등의 협력업체들과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금년 중 첫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단순한 허리디스크 질환과 만성허리통증 환자를 위한 자가 관리 재활(Self-Manage
지난해 7월 서울 대형병원 간호사의 뇌출혈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필수의료 지원대책’이 베일을 벗었다. 12월 8일 보건복지부에서 개최한 ‘건강보험 지속가능성 제고 및 필수의료 지원 대책안 공청회’에 따르면, 중증·응급, 분만, 소아 환자가 거주지 인근에서 골든타임 내, 24시간·365일 상시 필수의료를 제공받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으로, 이를 위해 ① ‘지역완결적 필수의료체계’ 구축, ② 적정 보상 지급 (공공정책수가), ③ 충분한 의료인력 확보를 지원하겠다는 것이 큰 골자다. ‘지역완결적 필수의료체계’ 구축의 일환에는 전국 14개 권역심뇌혈관센터 수술, 시술 등 최종 치료 역량을 갖추도록 ‘중증응급의료센터’로 전면 개편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그동안 응급의학과만이 응급의료 전달체계를 갖춘 배후진료과로 인정받던 현실에서 심혈관 중재시술을 ‘응급’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는 했으나, 현실적으로 한정된 자원으로는 동일한 응급의료 시스템을 갖추기 어렵다는 한계에 부딪히자, ‘응급전원협진망’이라는 대안을 내놓았다. ‘응급전원협진망’은 전체 응급환자의 5% 미만에 불과한 심뇌혈관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응급대응체제를 운영할 수 없으니 지역 전문의들간에 사적 네트워크를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이 수술실과 회복실, 탈의실 등 주요 내부 시설 확장 리모델링을 완료했다. 이번 리모델링 공사는 지난해 6월 검사실 이전과 바이오뱅크 추가 구축을 시작으로 소독실, 세척실, 약국확장 등의 공사를 거쳐 약 5개월 동안 진행됐다. 특히, 수술실과 회복실이 늘어나면서 시술 대기 시간이 대폭 줄어들고 시술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감과 퀄리티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확장 공사를 진행하면서 발생한 미세먼지를 충분히 제거했는지 확인하는 파티클 청정도 테스트와 균 검사를 진행했고 모두 정상 통과했다. 추가된 수술실에는 헤파필터가 3중으로 끼워진 항온항습기가 설치됐으며, 천장에서 맑은 공기가 유입되고 수술실 바닥을 통해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순환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외부 오염된 공기가 수술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감염 예방 효과를 높였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사장 배병준, 이하 ‘재단’)은 13일 일본 오사카대학교병원 혁신의료센터(Department of Medical Innovation, 이하 ‘DMI’)와 아시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아시아 지역의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한 것으로, 2004년 설립된 유럽 임상연구네트워크(European Clinical Research Infrastructure Network)에 이어 두 번째로 구성된국가 간 임상연구 네트워크다. 혁신의료센터는 오사카대학교병원이 2016년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되면서 일본 연구개발기구(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의 지원을 받아 설립됐다. DMI는 중개임상연구와 연구자·글로벌 임상지원, 데이터센터 운영 등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글로벌 연구협력센터(National center for global health and medicine)’와 함께 아세안 7개국의 연구기관협의체(ARO Alliance for ASEAN and East Asia, ARISE)를 구성해 다양한 산·학 협력 연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금번 의향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