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38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과학기술 분야 선도기업 머크가 아시아·태평양 지역(APAC)의 낮은 출산율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범사회적 영향을 고찰하는 새로운 저출산 대응 이니셔티브인 ‘퍼틸리티 카운츠(Fertility Counts)’를 출범했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이니셔티브는 민간 부문, 공공 부문, 학계의 참여를 바탕으로 저출산 관련 연구 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큰 축으로 삼고 있다. 이를 통해 아태지역 국가에서 효과적인 저출산 대응 정책 수립에 기여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적 성장을 촉진하고자 마련되었다. 지난 70년간 아태지역 내 여러 국가들의 출생률은 급격히 감소했고 이는 인구 규모와 인구 집단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아태지역 전반에 걸쳐 여성 1인당 평균 출생아 수는 1960년 5.4명 대비 2020년 1.8명으로 1960년 이래 3배 감소했고, 일부 국가에서는 출생아 수가 더욱 급격히 하락했다. 한국의 경우도 2022년 출생아 수는 24만 9천명으로 전년 대비 4.4% 감소했고, 합계 출산율 또한 세계 최저 수준인 0.78명을 기록하여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출산율 감소는 지역 전반에 걸쳐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진출 기회를 향상
한국다케다제약(대표 문희석)은 5월 16일 ‘세계 유전성 혈관부종의 날(HAE Day)’을 맞아 임직원 및 유전성 혈관부종 관련 전문의들과 함께 질환의 인지도를 높이고 환자들을 응원하는 ‘#active4HAE’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active4HAE’ 캠페인은 유전성 혈관부종에 대한 인식 제고와 급성 발작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국제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 단체(HAEi)에서 진행하는 글로벌 유전성 혈관부종의 날 챌린지(HAE Day Activity Challenge)의 일환으로 전 세계 96개 회원국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행사다. 한국에서는 유전성 혈관부종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유전성 혈관부종과 관련된 국내 전문의들이 참여해 환자들을 응원하는 친필 메시지를 작성했으며, 한국다케다제약 임직원 45명은 15일(월)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에서 약 1km를 함께 걸으며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를 위한 ‘글로벌 걷기 대회(The HAE Global Walk)’에 동참하고 환자들을 위한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또한, 이번 이벤트에 한국다케다제약 임직원은 국내 여러 참석자들과 같이 공식적으로
온라인 도박에 중독된 청소년들은 오프라인 보다 3배 더 강하게 중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백지현·정유숙 교수, 한림대의대 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윤혜 교수 연구팀이 2018년 기준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에서 도박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 561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노출 경로에 따른 청소년 도박 주요 증상’에 대한 연구를 시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설문조사는 ▲참여 중인 활동을 불참하거나 중도 포기함 ▲도박 안하는 친구들과는 어울리지 않음 ▲내기/도박 계획함 ▲기분이 나쁨 ▲이기기 위해 다른 날 다시 도박하러 감 ▲타인에게 도박/내기 하는 것을 숨김 ▲도박/내기를 하는 게 잘못되었다 느낌 ▲점심 식사나 옷을 사는데 사용하는 용돈을 도박에 사용 ▲도박/내기를 하기 위해 돈을 훔침 등 총 9가지의 청소년 도박 증상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됐으며, 각 문항마다 중증도를 점수로 매겨 도박 문제 심각성 척도(Gambling Problem Severity Scale)를 측정했다. 그 결과, 설문조사 참여자들은 도박 노출 경로에 따라 온라인 그룹과 오프라인 그룹으로 나눈 뒤, 두 그룹간에 도박 문제 심각성 척도 점수 총합을
-- 메디트 구강스캐너 설치 건수, 작년 대비 거의 50% 증가 -- Medit Link, 디지털 치과 진료의 초석이 될 잠재력 지닌 핵심적인 차별화 요소 (대한민국 서울 및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2023년 5월 16일 PRNewswire=모던뉴스) 3D 구강스캐너와 디지털 치과 진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적인 기업 메디트(Medit)(www.medit.com)가 올 1분기의 구강스캐너 설치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MEDIT 메디트는 2018년에 구강스캐너 Medit i500을 처음 출시했고, 이후 경쟁 제품의 절반도 안 되는 가격으로 스캐너를 공급하면서 가격 장
셀트리온은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Ocrevus, 성분명: 오크렐리주맙)’ 바이오시밀러인 ‘CT-P53’의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이하 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지난 15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CT-P53의 글로벌 임상 3상에서는 총 512명의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환자들을 대상으로 CT-P53과 오크레부스 간의 유효성과 약동학, 안전성 등의 비교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4월 해당 임상의 IND를 유럽 의약품청이 관리하는 임상시험정보시스템(CTIS, Clinical Trials Information System)에도 제출했다. ‘CT-P53’의 오리지널 의약품 오크레부스는 로슈(Roche)가 개발한 블록버스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경화증(PPMS)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오크레부스는 2022년 기준 약 9조원의 글로벌 매출을 기록하며 글로벌 다발성 경화증 시장 내 매출 1위를 지키고 있으며, 이중 미국 시장은 약 6조 6600억원 규모로 전체 글로벌 시장에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글로벌 규제기관에
2023년 4월 20일부터 2026년 4월 19일까지 3년간 경상국립대병원을 이끌 안성기 신임 병원장의 취임식이 개최됐다.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이 15일 경남지역암센터 2층 대강당에서 제18대(법인 11대) 병원장 취임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안성기 신임 병원장은 ‘8대 중점 추진 전략’으로 ▲필수의료 기반 강화 및 응급의료 종합컨트롤타워 구축 선도 ▲재무 경영 정상화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친환경 시설 개선 및 진료 편의성 향상 ▲연구역량 강화 ▲경남권 의료인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강화 ▲가족 친화적인 근로환경 조성 ▲투명 경영 실천과 청렴 문화 확산 ▲ESG경영에 부합하는 사회공헌 실천)을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를 전사적 대응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었듯이, 앞으로 병원 직원들이 일하기에 즐겁고 행복한 병원이 될 수 있도록 온 힘과 열정을 다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또한, 안성기 신임 병원장과 함께 병원을 이끌어 갈 진료부문 부원장(공공부문 부원장 겸무) 화정석 교수(비뇨의학과), 기획조정실장 정배권 교수(방사선종양학과), 대외협력실장 김성재 교수(안과), 의생명연구원장 박정제 교수(이비인후과), 교육수련실장 조유지 교수(호흡기·알레르기내
2023년 1분기, 국내 주요 상위 제약사가 또 한번 위력을 입증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주요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1분기 상위 50개 제약사는 매출이 5조 5098억원을 기록하며 2022년 1분기 5조 2093억원보다 5.8%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영업이익은 3880억원에서 3757억원으로 3.2% 감소했으나, 당기순이익은 2181억원에서 3113억원으로 42.8% 확대됐다. 상위 5개 제약사들의 경우 순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녹십자가 실적 감소로 인해 5위까지 내려가게 된 점이 특징이다. 먼저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유한양행의 매출은 2022년 1분기 4108억원에서 2023년 1분기 4430억원으로 7.8% 확대됐으며, 영업이익은 61억원에서 226억원으로 270%, 당기순이익은 160억원에서 222억원으로 38.6% 증가했다. 이어 종근당의 매출은 2022년 1분기 3413억원에서 2023년 1분기 3651억원으로 7% 상승했다. 이와 함께 영업이익도 250억원에서 314억원으로 25.7%, 당기순이익도 174억원에서 360억원으로 106.3% 늘었다. 3위를 차지한 한미약품의 매출액은 2022년 1분기
올해로 만 11년을 맞이한 동국대학교 의료융합기술실용화연구원의 김성민 센터장은 센터가 출범한 10년간 다양한 측면에서 의료기기 산업계가 많이 개선됐으며, 이제는 메이저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식약처가 주최하고,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이 주관하는 ‘제16회 의료기기의 날’ 행사는 ‘디지털 시대 건강한 미래, 안전한 K-의료기기가 주도합니다’라는 슬로건으로 5월 26일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에 앞서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과 함께 의료기기 제조산업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만나는 소규모 인터뷰를 진행한다. 첫 번째 인터뷰 대상은 동국대학교 김성민 교수로, 특성화대학원인 의료융합기술실용화연구원의 센터장으로서 의료기기 산업 인력 양성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김성민 교수를 15일 동국대학교 혜화관 강의실에서 만났다. Q. 그동안 의료기기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으며, 그 소감은? 2013년 9월에 첫 특성화대학원 학생들을 모집하고, 어느덧 만 11년을 맞게 됐다. 특성화대학원을 시작하면서 의료기기 산업 생태계에 규제 관련 인력을 처음 배출했고, 그런 전문 분야 인력에 대한 필요와 위상도 10년간 정립이 된 것 같아 보람을 느낀다. 동국대
미국 현지에서 판매중인 한미약품의 호중구감소증 치료 바이오신약 ‘롤베돈’이 올해 1분기에만 200억원대 매출을 기록하는 등 미국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다. 한미약품 파트너사 스펙트럼은 지난 9일(미국 현지 시각 기준) 발표한 1분기 실적 보도자료에서, 롤베돈이 직전 분기 대비 54% 성장한 1,560만 달러(약 206억원)의 순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 롤베돈 구매 거래처 및 판매·유통망은 작년 4분기 기준 70곳에서 올해 1분기 기준 172곳으로 증가해 145%의 증가율을 보였다. 롤베돈은 지난 4월부터 영구 상환 J-코드 ‘J1449’가 적용되면서 미국 공공보험 환급대상 의약품 목록에 등재돼 보다 안정적 처방 환경이 조성됐다. 스펙트럼은 이번 실적발표에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환자에게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하는 비대면 세일즈 마케팅 전문 제약사 어썰티오(Assertio)와의 합병 계약 체결 사실도 다시 한번 밝혔다. 양 사의 합병 절차는 오는 3분기까지 진행된다. 스펙트럼 톰 리가(Tom Riga) 사장은 “스펙트럼의 상업적 인프라와 어썰티오의 디지털 자원 결합을 통해 장기적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돼 롤베돈의 수익이 더욱 빠르게 증
최근 1주간(5월 8~14일) 61~75번째 엠폭스 확진 환자가 발생하며, 누적 엠폭스 확진 환자는 총 75명으로 늘어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월 8일 엠폭스 발생현황 발표 이후 5월 14일까지 총 15명의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해 현재까지 국내 발생 누적 확진환자는 내국인 69명과 외국인 6명을 합해 총 75명이라고 밝혔다. 발생일별 엠폭스 확진환자 수는 ▲5월 8일 4명 ▲5월 9일 4명 ▲5월 11일 2명 ▲5월 12일 3명 ▲5월 13일 2명 등이며, 5월 2주(5월 14일 포함) 확진환자 거주지역은 서울(9명), 경기(4명), 부산·세종(2명)순으로 수도권에서의 발생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누적 엠폭스 확진환자 거주지역은 서울 39명, 경기 16명, 인천 3명, 경남 3명, 대구 3명, 경북 2명, 부산 2명, 대전 1명, 전남 1명, 강원 1명, 충북 1명, 충남 1명, 광주 1명, 세종 1명 등이다. 인지경로로는 의심증상 발생 후 본인이 신고한 사례 10건과 의료기관 신고 5건으로 조사됐으며, 누적 인지경로는 ▲본인 신고 사례 48건 ▲의료기관 신고 26건 ▲환자 역학조사 중 확인된 밀접접촉자 1건 등으로 집계됐다. 주간 신규환자의 추정 감염경
국립중앙의료원이 새로운 팬데믹을 대비한 국가 중앙감염병병원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지난 12일 연구동 3층 대회의실에서 싱가포르 국립감염병센터(National Centre for Infectious Disease)를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새로운 팬데믹을 대비한 국가 중앙감염병병원의 미래비전’이라는 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는 다가올 팬데믹을 대비해 국립중앙의료원이 국가 중심 공공병원으로서 가지는 중앙감염병병원 미래 비전을 싱가포르 국립감염병센터(NCID)와 공유하고, 바이오뱅킹 등 양 기관의 국제협력 연구 프로젝트 등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먼저 김명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책통계지원센터장은 COVID-19 팬데믹 시 국내 의료대응과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국립중앙의료원을 비롯한 공공병원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설명했다.이어서 김연재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은 새로운 팬데믹을 대비하기 위한 중앙감염병병원 등 전국 단위 의료대응 체계 구축에 대해 발표했다.이후에는 감염병 연구와 의료인력 교류 등 양 기관의 구체적인 업무협력에 대한 심도 있는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특히, 싱가포르 국립감염병센터(NCID)의 레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가 실시된다. 질병관리청은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오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조사방식은 보건소 소속의 전문 조사원이 표본추출로 선정된 조사가구를 방문해, 태블릿 PC 내 전자조사표를 이용해 조사대상자와 1대1 면접조사로 진행한다. 이어 질병청은 지자체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고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활용의 적시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하반기 조사 시작 시기를 상반기로 3개월 당겨 실시하고 결과를 연내(12월)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그동안 조사 결과를 다음해에 발표함으로써 2년 전 조사자료를 기반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할 수 밖에 없었지만, 올해부터는 당해년도 자료를 사용할 수 있게 돼 지역의 맞춤형 건강정책 수립 시 가장 최신의 통계를 활용할 수 있어 시의성이 강화된다. 조사수행 절차는 통계적 방법론에 의한 조사대상 가구를 선정한 다음, 선정된 조사대상 가구에 안내서 우편을 발송한 뒤, 조사원이 조사 대상 가구를 방문해 태블릿PC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는 순으로 시행된다. 이후 조사가 종료되면 조사 대상 가
휴온스그룹이 주요 사업부문별 고르게 성장하며 올해 1분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휴온스그룹의 지주회사 ㈜휴온스글로벌(대표 송수영)은 2023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740억원, 영업이익 24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 12%, 18.4% 성장했다고 15일 밝혔다. 휴온스, 휴메딕스 등 상장 자회사의 지속성장과 휴온스바이오파마 등 비상장 자회사의 실적 호조가 그룹 성장을 이끌었다. 휴온스(대표 송수영, 윤상배)는 연결 기준 매출 1279억원, 영업이익 11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 10.4%, -4.6% 증감했다. 전문의약품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한 572억원, 뷰티·웰빙 부문은 12% 성장한 463억원, 수탁(CMO)사업은 안정적인 성장세로 159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등 미국 FDA(식품의약국) ANDA(의약품 품목허가)를 승인 받은 4개 품목의 대미 수출은 지난 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57억원을 달성하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에스테틱 자회사 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1분기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 361억원, 영업이익 93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35%, 116%
㈜케이원메드글로벌은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일본 Tokyo Big Sight에서 열리는 ‘2023 Beautyworld JAPAN TOKYO(동경 미용 박람회)’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Beautyworld JAPAN TOKYO는 일본에서 매년 개최되는 미용 및 화장품 관련 박람회로 25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박람회에서는 전 세계의 화장품 및 미용 제품 제조업체들이 참가해 제품을 소개하고, 새로운 기술 동향을 발표하는 자리를 갖는다.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로 확장돼 약 6만 여명의 방문객을 유치했다. 케이원메드글로벌은 이번 박람회에서 자사 제품 라인업인 DualActive R, Ultra10s, Sineson Therapy, New Lipoderm, Care7 등을 선보인다. 특히 방사형 체외충격파 기기인 DualActive R은 듀얼핸들 장착으로 시술 시 헤드 교체의 번거로움을 해결한 제품으로 많은 관심을 모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케이원메드글로벌은 오는 27일 ‘RADLA 전시회’에도 참여하는 등 지속적인 해외 전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의료 및 산업용 영상솔루션 전문기업 뷰웍스(대표 김후식)가 14일부터 17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제87회 중국국제의료기기 춘계 전시회(China International Medical Equipment Fair, CMEF 2023)에 참가해 중국 및 아시아 현지 관계자에게 의료영상 통합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CMEF는 아시아 최대 규모 국제의료기기전시회로 중국 의료기기 산업의 현주소를 가늠하고, 중국 및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는 행사다. 이와 관련 뷰웍스는 의료용 엑스레이(X-ray) 제품군 ▲흉부, 척추 등 일반 방사선 촬영용 디텍터(VIVIX-S V 시리즈, 3종) ▲이동식 C-arm 및 투시촬영장치용 동영상 디텍터(VIVIX-D G시리즈, 2종) ▲치과용 동영상 디텍터 (VIVIX-D C시리즈, 1종) ▲영상획득 소프트웨어(VXvue, Slimpac Ⅱ Plus) 등 고부가가치 라인업을 소개하고 현지 네트워킹을 진행한다.‘VIVIX-S V’는 우수한 내구성과 화질은 물론 원가경쟁력까지 갖춰 효율적인 영상 시스템 구축을 돕는 엑스레이 시스템 속 핵심부품이다. 고객사 장비에 맞춤형으로 탑재돼 영상 획득에 소요되는 시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직무대리 현재룡)은 필수의료 인력과 미래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필수의료 실습 및 의과학 연구에 참여할 의대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의대생 실습·연구 지원 사업은 의대생을 대상으로 조기에 필수의료와 의과학 연구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향후 관련분야 진로를 유도할 목적으로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공단이 보조사업자로서 추진하는 사업이다. 본 사업은 2021년에 신설돼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했으며, 지난 2년간 총 457명의 학생이 성공적으로 프로그램을 수료한 바 있다. 올해 2월에는 지도교수와 실습 참여학생들이 참석해 우수사례를 발표하는 등 사업 성과를 확산하고, 실습 제공기관과 참여 학생 간 교류를 위한 성과교류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도 했다. 올해는 실습 6개 분야 280여 명 및 연구 49개 주제 80여 명을 모집하며, 선발된 학생은 하계·동계방학을 이용해 실습 및 연구에 참가하게 된다. 학생 모집 기간은 ’23.5.15.(월) ~ 5.30.(화)이다. 2주간의 실습기간 중 해당분야 최고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심도자 시술 및 수술 참관, 닥터헬기 견학, 시뮬레이션 실습 등 현장감 있는 프로그램을 경험 할 수 있고, 기초의과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김에스더 전공의·김영호 교수팀이 최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개최된 제74차 대한피부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치료심포지움 부문 최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김에스더 전공의는 이날 3D 프린터로 출력한 TPU와 니켈-티타늄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새로운 내향성 손발톱 교정기구(Ingrown nail correction device using 3D-print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nickel-titanium shape memory alloy, 교신저자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김영호 교수)라는 주제를 발표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날 발표한 내용은 환자 맞춤형 교정기구를 내향성 손발톱 위에 부착하는 형태로, 형상기억합금에 의해 휘어진 손발톱을 펴는 근본적인 치료를 하면서도 시술 중과 시술 이후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간편하고 새로운 비수술적 치료방법이다. 김영호 교수는 “잦은 재발과 통증으로 고생하는 내향성 손발톱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미약품이 독자 개발중인 NASH(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 혁신신약 ‘랩스 트리플아고니스트(LAPS Triple Agonist)에 대해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 이하 IDMC)가 글로벌 임상 2상을 ‘계획 변경없이 지속 진행(continue without modification)’하라고 권고했다. IDMC의 이번 권고는 안전성 프로파일을 토대로 결정했던 과거 세 차례의 권고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 현재 진행중인 글로벌 임상 2상의 유효성을 추가로 평가한 중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권고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IDMC의 권고는 당초 안전성 평가와 더불어 현재 임상 진행중인 3개 용량 중 유효성 측면에서 무용하다고 판단될 수 있는 용량군을 제외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중간 결과에서 무용성(futility) 기준에 들어가는 용량군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 특정 용량군 제외없이 임상을 끝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세부적인 데이터는 해당 임상 시험이 이중맹검(double blind) 디자인으로 진행되고 있어 확인할 수 없지만, IDMC 권고는 약
은성글로벌이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중국 시장 공략에 앞장서고 있다. 메디컬 에스테틱 의료기기 전문기업 은성글로벌은 지난 12~14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중국 상하이 미용 박람회(China Beauty Expo 2023)’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27회를 맞은 CBE(China Beauty Expo)는 헬스케어 및 뷰티 분야 최대 전시회로, 화장품·의료기기 등 다양한 뷰티 관련 제품들이 소개된다. 올해 박람회는 40여개 국가에서 3,600여개 기업이 참가했고 약 40만명의 바이어가 방문했다. 은성글로벌은 박람회에서 단독 부스를 구성해 셀로스(CellOS), 쉬리안(SheREAN) 등 의료기기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화장품 브랜드 ‘셀뮬러(Cellmular)’ 제품 관련 수출 상담도 진행했다.은성글로벌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은성글로벌 부스에 방문하는 바이어들을 보면서 중국 시장에서 자사 제품의 인기가 높아졌다는 것을 실감했다”며 “의료기기에 관한 문의가 많았던 만큼 향후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대표 유현승)가 최근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된 국제 척추 학술대회 ‘스파인 위크 2023(Spine Week 2023)’에 참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스파인 위크는 4년마다 세계적인 척추 학자들이 모여 척추 및 뼈 질환과 관련된 최신 지견과 치료법 을 공유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척추 학회로 북미척추학회(NASS)와 브라질척추학회(BSS) 등 유수의 학회가 참가한다. 시지바이오는 스파인 위크 2023에 참가해 독립부스를 열고 자사의 대표 제품인 ▲골형성 단백질 탑재 골대체재 노보시스(NOVOSIS) ▲경추 디스크 대체재 노보맥스(NOVOMAX) ▲차세대 높이확장형 케이지 엑센더(Excender) ▲3D프린팅 환자맞춤형 인공뼈 이지메이드 CF(EASYMADE-CF)를 비롯해, 미국조직은행연합회(AATB)로부터 인증 받은 ▲동종골 뼈이식재 알로믹스(ALLOMIX) 등을 선보였다.시지바이오는 환자 맞춤형 3D 임플란트 출력 시스템 ‘PSI(Patient Specific Implants) 플랫폼’을 선보여 글로벌 척추 및 뼈 분야 의료진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PSI 플랫폼은 병원에서 제공받은 CT 데이터를 시지바이오 클라우드에 업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