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38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베링거인겔하임은 2022년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 한 해 동안 약 3천만 명의 환자에게 혁신 의약품을 제공했으며, 새로운 치료제를 모색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했다고 전했다. 2022년을 기준으로 순매출은 전년대비(환율 효과 조정 후 기준) 10.5% 성장한 241억 유로를 기록했으며, 전체 순매출의 21%에 달하는 50억 유로를 R&D에 투자해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 후베르투스 폰 바움바흐(Hubertus von Baumbach) 베링거인겔하임 경영이사회 회장은 “2022년은 혁신 의약품에 주력하는 베링거인겔하임의 전략이 성공을 거둔 한 해였다. 지난 수십 년간 불치병으로 알려져 온 질환들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솔루션을 발견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베링거인겔하임의 광범위하고 혁신적인 파이프라인은 큰 잠재력을 보이며, 심혈관-신장 질환, 염증 및 호흡기질환을 넘어 정신건강, 암, 망막질환에 대응하는 당사의 의지를 반영한다.”고 밝혔다. 파이프라인 개발 또한 순조로운 성과를 보이며 2022년 한해동안 혁신신약지정(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 1건, 패스트 트랙 지정(Fast Track D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총장 서홍관)는 교육부가 주관하는 ‘2022년 국제화역량인증제’ 인증대학 및 우수인증대학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전했다. 인증 기간은 2023년 3월부터 2026년 2월까지며, 우수인증 기간은 2024년 2월까지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는 국제화역량이 높은 대학을 인증해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확대하고 국내 학생의 국제화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부(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사업이다. 이번 3주기 인증은 각 과정별로 평가항목이 세분화되고 심사 기준 또한 강화됐다. 3주기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기본요건을 포함해 3가지 평가영역의 13가지 세부지표를 일정 수준 및 요건을 갖춰야 하는데 올해 인증을 받은 학위과정 운영 120개교 중 대학원대학은 국립암센터 대학원을 포함해 총 15개교뿐이다. 또한 우수인증대학은 인증대학 중 전체 평가항목 90% 이상을 통과한 대학만이 선정되는데, 국립암센터 대학원은 기본요건인 불법체류율을 포함한 총 13개의 세부지표를 모두 통과(All Pass)해 우수인증대학에 선정됐다. 우수인증을 받은 대학원대학은 국립암
“올해 매출은 25% 정도, 2024년 매출은 더욱 큰 폭으로 성장할 것이다. 다시 들어온 이상 그냥 나가지는 않겠다. 우리 그룹이 가진 시너지를 극대화해 지금과는 다른 사세가 되도록 할 것이며, 웬만한 파도에도 흔들리지 않는 기업으로 만들고 떠나겠다.” 2년 만에 경영 일선에 복귀한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은 29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포부를 드러냈다. 전날 서 회장은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셀트리온그룹 상장 3사(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셀트리온제약) 사내이사 겸 이사회 공동의장으로 선임됐다. 이로써 임기 2년 동안 직접 셀트리온그룹 사업을 진두지휘하게 됐다. 서 회장은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위기 옆면에는 기회가 있는데, 이럴 때 오너가 책임감을 가지고 신속하게 의사결정 하는게 좋겠다는 판단이 들었다“며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기회를 최대한 캐치해 우리 그룹이 발전하고 도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복귀 배경을 설명했다. 복귀 이후 중점적으로 진행할 사업으로는 ▲신약개발 ▲인수합병(M&A)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추진 ▲의약외품 시장 진출 등의 플랜을 제시헸다. 바이오시밀러 넘어 신약 개발 전문 기업 될
서울 성북구 소재 주한 덴마크 대사관저에서 대사관 주최로 ‘한국-덴마크 병원 네트워크’ 출범을 알리는 세미나가 3월 29일(수)에 개최됐다. 한국-덴마크 병원 네트워크는 대한민국과 덴마크의 주요 종합병원, 덴마크 보건부, 덴마크 외교부, 덴마크 보건산업진흥원 간의 국제 협력체로, 양국 주요 병원과 보건기관 간 교류와 협력 관계 강화, 지식 공유 등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가입 병원은 총 8곳으로, 한국에서는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국립건강보험 일산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이 참여한다. 덴마크에서는 올보르(Aalborg) 대학병원, 오르후스(Aarhus) 대학병원, 코펜하겐 릭스 왕립 대학병원(Rigshospitalet)이 가입했다. 향후 더 많은 병원과 헬스케어 기업들도 가입할 수 있도록 점차 네트워크가 확대될 예정이다. 네트워크 출범을 알린 29일(수) 세미나는 양국의 스마트 병원 솔루션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세미나는 총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됐으며, 첫 세션에서는 덴마크 보건산업진흥원이 덴마크 주요 병원들의 디지털화 및 스마트 의료기술과 인프라를 구축하는 ‘슈퍼 병원 프로젝트(Super Hos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이연수 교수가 최근 부산롯데호텔에서 개최된 대한신경종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제7대 대한신경종양학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3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2년이다. 이 교수는 병리과 전문의로서 1990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 1995년 병리과 전문의를 취득했으며, 2002년 미국 NIH와 AFIP에서 연수했고, 여의도성모병원 병리과 과장,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과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원병리학교실 주임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대한병리학회 이사장과 대한소아뇌종양학회 회장 및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이사장을 맡고 있다. 이연수 교수는 “신경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신경종양 기초연구 지식의 임상 적용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함께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진료가이드를 구축함으로써 희귀하고 어려운 질병인 신경종양 환자들의 치료 발전을 기여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를 위해 학회 저변 확대 및 신경종양 인정의 및 신경종양 전문과정 이수 제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대한신경종양학회(Korean Societ
코로나19 위기단계가 하향 및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 조정 등 일상적 관리체계로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3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지난 29일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을 발표했다.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은 크게 네 가지 원칙 하에 추진된다. 먼저, 질병위험도 하락과 지난 3여년간의 경험으로 성숙된 사회적 인식을 감안해 일반 지역사회는 ‘자율 및 권고’ 기조로 완전 전환하고, 코로나19 진단·치료는 전담 의료기관이 아닌 모든 의료기관에서 실시하는 일반의료체계로 완전 편입한다. 고위험군 보호 조치는 지속 유지하여 위중증·사망 등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고, 감염병 재난 대응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검사비, 치료비, 치료제 무상 지원 등의 전면 지원 체계는 조정하되, 국민 부담 완화를 위해 일시 전환이 아닌 점진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이러한 전략 하에, 일상적 관리체계로의 전환은 의료계 및 지자체 등 현장의 준비 상황을 점검하며 단계별로 안전하게 이행할 계획이다. 단계별로 추진되는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위기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하고 방역 조치 전환을 준비한다. 정부는 제15차 WHO 코로나19 국제보
오가노이드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는 글로벌 심포지엄이 열렸다. 국내 대표적인 오가노이드 연구 기업인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2030년에는 완전한 신체 조직의 형태를 갖춘 오가노이드가 등장할 것이라 밝혔다. 오가노이드는 인간 장기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성을 모방하기 위해 제작된, 실제 장기의 기능이 분화된 세포와 줄기세포가 장기의 구조를 재현하며 공존하는 3차원 배양체이다. 최근 미국 FDA의 동물실험의무화 조항 삭제와 함께 유망한 동물대체시험법 중 하나로도 주목받고 있다. 국내 최초 오가노이드 전문 신약개발 혁신 기업인 ㈜오가노이드사이언스(대표 유종만)은 매년 오가노이드 심포지엄을 열어 오가노이드의 최신 동향을 다루고 있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3월 29일, 판교 차 바이오 콤플렉스에서 올해로 6회를 맞는 글로벌 오가노이드 심포지엄 ‘ODC 2023’을 ‘새로운 시대의 과학, 오가노이드’라는 제목으로 개최했다. 특별히 코로나 이후 세계 바이오텍 기업들과의 산업 확장을 목표로 글로벌 심포지엄으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주최 추산 600~700명에 따르는 관람객이 찾아 붐볐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오가노이드의 활용을 다룬 4개의 세션 ‘오가노이드 공학’, ‘오가노이드와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이영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3년도 AI 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관에 선정됐다. AI 바우처 지원 사업은 소상공인에게 하드웨어를 포함한 AI 솔루션을 구매할 수 있도록 최대 3억원의 바우처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서울백병원은 근골격계 질환 및 수술 후 재활 맞춤치료 및 외래 내원 주기 추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과제로 4월 1일부터 7개월 간 공급기업인 브릭메이트가 개발한 AI 솔루션을 활용해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정형외과 이영 교수는 “AI 솔루션을 활용하여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재활 진료 및 재택 재활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적정 외래주기 추천을 위해서 환자 및 보호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영 교수는 서울백병원 정형외과에서 족부족 관절 질환을 진료하고 있으며, 서울백병원 AI 데이터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피부과 김윤섭 임상강사가 지난 2023년 3월 25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 유일한홀에서 개최된 대한피부연구학회 2023 KSID Symposium 학술대회에서 ‘신진연구자상(KSID 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했다. 김 임상강사는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학술지(5-year Impact factor 8.384)에 게재된 정상피부의 돌연변이 양상 연구(Mutational landscape of normal human skin: clues to understanding early-stage carcinogenesis in keratinocyte neoplasia) 및 광선각화증에서 편평세포암으로의 유전적 진행 연구(Genomic progression of precancerous actinic keratosis to squamous cell carcinoma) 등 피부암의 유전체 암진화 연구들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또한, 같은 날 대한피부연구학회 KSID/ISID2023 Travel Grant 수상자로도 선정됐다. 한편, 김윤섭 임상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의 백신 사업부와 COVID 사업부가 지난 3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대상 ‘뉴노멀(Pneu Normal)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에서는 팬데믹 이후 폐렴구균으로 인한 침습성 질환 증가 현황을 소개하며 지역학적, 연령별 요소를 고려한 폐렴구균 백신 접종 및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최신 지견이 공유됐다. 심포지엄 첫날에는 윤기욱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최영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강연자로 나섰다.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 19 방역 규제 해제 이후 영국과 독일 등에서 팬데믹 이전과 유사한 혈청형 분포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이 다시 증가하고 있어 지속적인 폐렴구균 예방접종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윤 교수는 폐렴구균 예방에 있어 지역학적 요소를 토대로 각 지역에서 주요하게 관찰되는 혈청형 분포를 파악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윤 교수는 뉴질랜드 보건당국의 보고에 따르면, 대부분 주요 사망 원인이 확정되지 않았으나 2022년 상반기(1월~ 6월)까지 19명이 사망 당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으로 진단받았으며 이 중 32%(6건)는 질환 중증도
지난 2년 6개월간의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지원을 기록한 백서가 발간됐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사장 박인석, 이하 ‘재단’)은 재단 산하 국가감염병임상시험사업단(이하 ‘사업단’)의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지원과 국가감염병임상시험센터 운영 성과를 수록한 ‘국가감염병임상시험사업단 백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사업단은 보건복지부 소관으로 ‘감염병 치료제·백신의 신속 개발 지원을 위한 임상시험 지원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2020년 7월 출범했다. 백서는 ❶ 국가감염병임상시험사업단 개요 ❷ 국가감염병임상시험사업단의 활동 및 성과 ❸ 감염병 임상시험 표준모델 개발 및 적용 ❹ 국가감염병임상시험사업단의 현재와 미래, 4장으로 구성돼 있다. 제1장 사업단 출범 배경을 시작으로, 제2장은 ▲국가 감염병임상시험센터 ▲임상시험 전담 생활치료센터 구축 및 운영 ▲기업상담센터 ▲참여지원상담센터 등 사업단 지원 내용과 코로나19 팬데믹 현장에서 임상시험을 수행한 연구자와 실무자의 활동을, 제3장은 감염병 임상시험 표준모델에 기반한 표준데이터 수집 및 활용 연구를, 마지막으로 제4장은 감염병 임상시험 네트워크 유지방안과 임상시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JW중외제약은 최근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의 비항체 환자 대상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웨비나(웹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웨비나에서는 조니 말랑구(Johnny Mahlangu) 남아프리카공화국 샬럿 맥제케 요하네스버그 대학병원 교수가 연자로 나섰다.말랑구 교수는 헴리브라 임상 3상(HAVEN3) 논문 대표저자다. 그는 혈액응고 제8인자가 없는 12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 A형 혈우병 비항체 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에서 예방을 목적으로 헴리브라를 주 1회 또는 격주(2주 1회)로 투여받은 그룹이 대조그룹에 비해 치료를 요하는 출혈 횟수(treated ABR)가 각각 96% 및 97% 감소했다는 점을 입증했다.말랑구 교수는 웨비나에서 A형 혈우병 비항체 환자의 헴리브라 투여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헴리브라의 장점으로 기존 응고인자 치료제보다 일관성 있는 약물동력학적(PK) 프로파일과 낮은 항체 발생 가능성, 투여방식 등을 꼽았다.그는 “헴리브라 투여 시 중증 이상의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았고 혈전증이나 미세혈관병증, 약물에 대한 항체 반응(ADA)도 나타나지 않았다”며 “특히 기존 8인자 예방요법을 받고 있는
정부는 ‘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 이행사항과 관련해 16개 주요과제 모두 차질없이 이행되고 있다고 안내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9일 ‘필수의료 지원대책’과 ‘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의 분기별 이행상황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중증 소아응급환자에 대한 전문진료 제공을 위해 현재 8개소인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를 미설치 권역 중심으로 현재 4개소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조건부 지정 상태인 인하대병원과 세종충남대학교병원에 대해서는 4월 중 현지점검 등을 통해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추가 공모를 진행할 예정이며, 올해 상반기 중 전국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응급의료기관 평가 기준에 소아환자 진료 지표를 신설해 소아응급환자 진료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갑작스런 소아 증상에 대한 상담이나 야간·휴일 의료기관 등을 안내하는 ‘소아 상담센터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보건의료정책실장의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방문도 이뤄진다. 정부는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방안을 마련해 연내에 시범사업 등을 시행할 계획임을 밝혔다. 또 야간·휴일 소아외래진료 접근성 향상을 위해 달빛어린이병원 등 야간·휴일 소아진료기관을 2027년까지 ‘
-- Zimmer Biomet의 ROSA HIP with ONE Planner Hip, 'Orthopaedic Product Innovation of the Year'에 선정돼 (싱가포르, 2023년 3월 30일 PRNewswire=모던뉴스) 의료 기술 부문의 글로벌 선도기업 Zimmer Biomet Holdings, Inc.(NYSE 및 SIX: ZBH)가 올해 Healthcare Asia Medtech Awards에서 자사의 ROSA HIP(R) with ONE Planner™ Hip이 'Orthopaedic Product Innovation of the Year' 상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정밀하게 개인화된 로봇 시스템인 ROSA HIP(R)은 수술 작업흐름과 원활하게 통합되는 한편, 직접 전방 외과의가 각 환자의 고유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실시간 형광투시 피드백을 기반으로 수술 계획을 평가하고 시행할 수
감각이상 질환 전문 바이오벤처 기업인 루다큐어가 동물용 신약개발 사업에도 본격 진출한다. 루타큐어(주) (대표 김용호)는 회사가 보유한 신약개발 전문 기술을 바탕으로 동물용 의약품 개발에 본격 뛰어들기로 하고, 해당 분야 전문기업들과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협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루다큐어는 동물의약품 임상 및 유통전문기업인 ㈜온힐(대표 김도형·유정우)과 ㈜온힐펫(대표 고현규·류태성)과 해당 의약품의 연구개발과 생산, 판매 등에서 공동 협력하는 포괄적 업무협약을 29일 체결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반려동물용 귀염증치료제, 안구건조 및 각막손상치료제, 피부용제 등 공동개발과 사업화를 목표로, 동물용 의약품의 개발(루다큐어)과 임상 및 생산, 판매(온힐·온힐펫)를 추진하게 된다. 루다큐어는 2021년과 2023년에 걸쳐 사람대상 안구건조증 치료제, 각막손상치료제 등을 라이센싱한 경험과 더블어 현재 Best-in-class의 강력한 비마약성 진통제 개발도 수행하고 있어 이러한 기술력을 동물의약품 개발에도 적극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반려동물 전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인 온힐 역시 3개월 지속형 심장사상충 백신 ‘듀라하트 SR-3
임신은 여성에게 가장 많은 신체 변화를 가져오는 시기다. 임신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과정부터 출산 후까지 신경 써야 하는 부분들이 많다.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위해 반드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산전 진찰’이다. 산전 진찰의 목적은 산모나 아기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들을 선별, 진단하고 위험도를 평가하며, 문제가 있을 때 이를 파악하고 대처방법을 찾는 데 있다. 보통 산전 진찰은 임신을 확인한 순간부터 진행된다. 최종 월경일을 기준으로 임신 4~5주경부터 질초음파촬영으로 아기집을 관찰할 수 있다. 시기마다 진행되는 검사의 종류는 다르다. 처음에 임신을 확인하고 난 후 기본적인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혈액검사를 시행한다. 정상 임신의 경우 임신 28주까지 4주마다, 36주까지는 2주마다, 36주 이후에는 매주 정기관리를 시행한다. 산부인과를 내원할 때마다 임신주수를 기록하고 혈압, 체중, 태아심박동을 확인하며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 크기와 자세, 양수 양, 태동 등을 평가한다. 이외에도 임신 중 생길 수 있는 합병증, 예를 들어 두통, 시야 흐림, 복통, 오심, 구토, 출혈, 양수누출의 증상 등을 확인한다. 물론 증상 발생을 확인한 후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지난 29일부터 본원에서 생산한 유전체정보와 혈액분석자료 및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추적 조사 자료를 통한 약 3만 5천명 분의 인체자원을 연구자들에게 공개했다. 이번 공개에는 심뇌혈관 및 대사질환 연구, 임신 관련 합병증 연구 및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 참여자 등 총 1만6667명분의 한국인 유전체정보 기반으로 제작된 한국인 질병유전체 연구에 최적화된 연구 플랫폼인 한국인칩 유전체 정보와 심뇌혈관 및 대사질환 연구사업 참여자 6000명분의 혈액분석 자료(15종)가 포함된다. 또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8차 추적조사로 확보한 식이조사자료(581개 변수)와 9차 추적조사로 확보한 임상·역학정보(2004개 변수)도 공개했다. 공개된 인체자원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 분양신청이 가능하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분양신청 방법 및 구비서류는 분양상담 콜센터(1661-9070) 또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북대병원이 오는 4월 3일 ‘어깨 관절의 날’을 맞아 오전 10시부터 경북대병원 대강당에서 ‘어깨 질환에 대한 오해와 진실들’이라는 주제로 무료 건강강좌를 연다. 어깨 관절은 나이와 성별을 떠나 살면서 누구나 흔하게 불편함을 호소하는 관절로서 건강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다. 최근 고령 인구의 증가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해 어깨 질환이 급격히 늘고 있지만, 어깨 질환은 모두 소위 ‘오십견’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통증을 참고 병을 키우는 경우가 흔하며, 더 나아가 부적절한 시술과 치료로 경제적인 손실을 함께 초래하고 있다. 이에 이번 강좌에서는 정형외과 윤종필 교수가 어깨 질환에 대한 세간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퇴행성 질환, 회전근 개 파열, 인대 손상 등 다양한 어깨 관절 질환의 증상, 종류와 치료법 등에 대해 상세히 강의하게 된다. 아울러 참가자들에게는 건강한 어깨 관절을 유지하기 위한 자가 운동방법을 소개한 소책자를 배부할 예정이다.
*일시: 4월 8일 12시, *장소: 광주하남교회 3층 대강당(광주 광산구 수완동 445-3), *070-7121-5735 (광주하남교회)
최근 성소수자들 사이에서는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 LGBTQ+센터의 김결희 교수가 입소문을 타고 있다. 아직은 트랜스젠더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이 더 큰 우리나라에서, 성확정수술(성전환수술)이라고 하면 태국을 주로 떠올리는 것이 대세인 환경 속에서, 김결희 교수가 이른바 ‘탑수술’과 ‘바텀수술’을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이끌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 교수는 최근 벨기에 연수에서 돌아온 후 더 나은 성소수자 의료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연말 국내 최초로 성확정수술과 동시에 정자를 동결하는 데에 성공하며 트랜스젠더의 생식능력까지 보존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메디포뉴스는 3월 31일 ‘국제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을 앞두고 강동성심병원 성형외과에서 김결희 교수를 만났다. LGBTQ+센터가 위치한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 성형외과는 김결희 교수의 정성어린 손길이 군데군데 묻어 있다. 성형외과 입구에 설치된 ‘모두의 화장실’ 역시 김 교수의 아이디어로, 원내 유일하게 성별과 무관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입구 인테리어 중 ‘환자중심’이라는 문구는 김 교수의 환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김 교수의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