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5일수DB팝니다➧$텔레그램SUPERADMAN|-'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83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나소, 바하마, 2024년 11월 13일 /PRNewswire/ -- 유명 운동선수이자 세계 챔피언 복서 압둘라예 파디가(Abdoulaye Fadiga)가 설립한 고급 웰니스, 스포츠 및 피트니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챔피언 스피릿(Champion Spirit)이 "드라마 인 바하마(Drama in Bahama)!"로 돌아와 전례 없는 세계 정상급 복싱의 밤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 역사적인 "바하마르에서의 파이트 나이트(Fight Night at Baha Mar)"는 12월 14일 토요일에 열린다. 1981년 무하마드 알리(Muhammad Ali)와 트레버 버빅(Trevor Berbick)의 전설적인 시합 이후 43년 만에 바하마에서 세계 선수권 경기가 열리는 뜻깊은 행사이다. 메인 이벤트 경기 이 복싱 축제에는 각 디비전에서 최고의 경쟁자들이 참가한다. 무패의 프랑스 강자 케빈 렐레 사조(Kevin Lele Sadjo, 23승 0무 0패, 20KO)와 "괴물"로 불리는 중국의 스타 쉬 캔(Xu Can, 19승 4무 0패, 4KO)이 매우 기
New NCCN Guidelines for Patients: Quitting Smoking showcases attainable and uplifting options that empower people with cancer to achieve better health outcomes. PLYMOUTH MEETING, Pa., 2024년 11월 13일 /PRNewswire/ --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an alliance of leading cancer centers—today announced the publication of a new patient guideline designed to provide critical support and guidance for individuals with cancer who are seeking to quit smoking. Continued smoking elevates the risk of developing additional cancers, reduces the effectiv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는 지난 10월 26일 인천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Touch of Professional(전문가의 손길)’이라는 주제로 ‘멕스 심포지엄(MEX Symposium)’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에스테틱 업계를 선도하는 의료진들에게 존경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브라질 상파울루 에스파소 미라(Espaço Mira) 클리닉의 대표 루이즈 페레즈(Dr. Luiz Perez) 박사를 비롯해, 압구정오라클피부과의원 박제영 원장과 데이원클리닉 김중수 원장이 참석했다. 심포지엄에서는 환자 개개인에 맞춘 시술 방법부터 다양한 메디컬 에스테틱 시술 사례, 그리고 자사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안전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지견이 활발히 공유됐다. 첫 번째 연자인 페레즈 박사는 실제 브라질 임상 현장에서 레디어스(RADIESSE)의 다양한 시술 사례를 소개했고, 특히 장기간 시술 결과 데이터를 통해 레디어스와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결과를 공유했다. 페레즈 박사는 “실제 환자 사례 뿐만 아니라 팔자 주름, 마리오네트 주름 등 얼굴 부위에 레디어스를 투여한 임상 연구 21건을 분석한 결과, 심각한 이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2024년 11월 12일 /PRNewswire/ -- 디코드 제네틱스/암젠 (deCODE genetics/Amgen)의 새로운 연구 결과 BMI가 질병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부각하며, BMI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여러 질병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jwplayer.key="3Fznr2BGJZtpwZmA+81lm048ks6+0NjLXyDdsO2YkfE=" Kari Stefansson and Gudmundur Einarsson, scientists at deCODE genetics and authors on the paper, discuss a new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that sheds light on how Body Mass Index (BMI) influences the risk of various diseases that are comorbid with obesity. jwplayer('myplayer1').setup({f
파킨슨병 환자가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 치료제를 투여한 지 1년이 지나자 베트민턴을 즐길 수 있을 정도로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은 신경과 이필휴 교수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 임상 연구팀이 12명의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해당 약제를 저용량 및 고용량으로 각각 이식 수술 후 1년 지난 결과를 분석했다고 11월 12일 밝혔다. 분석 결과, 기존에 도파민 약물치료를 받았음에도 약효가 감소하는 약효 소진 현상을 보이거나 걷는 데 어려움을 겪는 보행동결 등 부작용을 보였던 환자들이 신경세포 치료제 투여 1년 만에 배드민턴과 탁구를 치기 시작하고, 일상생활이 한층 더 편리해질 정도로 증세 호전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 관련해 현재까지 이식한 12명 중 1명이 이식 부위와 관련이 없는 주변 부위에 경미한 출혈이 관찰됐으나 특이한 신경학적 이상소견이나 부작용은 없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세포 이식과 관련된 특이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세브란스병원은 임상시험계획에 따라 이식 후 2년까지 추적 관찰하며 경과를 지켜볼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연구팀은 전체 투여 대상자 12명 중 저용량(315만개 세포)과 고용량(
제28회 한국임상약학회(KCCP, 회장 윤정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가 ‘임상약학에서 실사용 데이터와 AI의 활용: 연구와 응용’이라는 주제로 11월 7일 - 8일 양일간 부산 해운대센트럴호텔에서 개최됐다.학술대회 1일차 리서치세션에서는 안상진 교수(인제대 의대)와 정주영 교수(동의대 교직학부)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와 교육에 대한 강연이 있었고, 2일차 오전에는 젊은임상약과학자세션, 오후 리서치세션에서는 이승보 교수(계명대 의대), 이환희 교수(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장하영 교수(가천대 약대), 김우림 교수(강원대 약대)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11월 7일에 개최된 정기총회에서는 현 한국임상약학회 부회장인 이숙향 교수(아주대 약대)가 제14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처음으로 Future Pharmacist Session이 개최돼, 전국 약학대학 100여명의 학부생들이 진로탐색 토크콘서트에 참여했다. 조혜경 CSO(전 신테카바이오 대표)가 <임상약학 전공 진로설계>라는 주제로 강연했고, 졸업 후 진로를 고민하는 많은 학생들의 호응이 있었다. 이어서 개최된 임상약학 도전 골든벨에 전국 약학대학
울산대학교병원이 우수 의료진의 헌신과 따뜻한 서비스 사례를 발굴하는 ‘히어로 찾기 - 우수 의료진 미담 발굴 프로젝트’ 수기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울산대병원 의료진에게 경험한 감동적인 이야기를 널리 알리고자 마련됐으며, 환자와 보호자뿐 아니라 울산대학교병원을 이용한 남녀노소 누구나 응모 가능하다. 이번 공모전의 주제는 중증 및 응급 환자 진료 경험을 포함해, 환자와 보호자가 직접 경험한 의료진의 배려와 헌신적인 돌봄 사례다. 울산대병원은 시민들이 직접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지역 사회와의 신뢰를 공고히 하고, 의료진의 노고를 기리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공모는 오는 11월 11일부터 시작해 11월 29일까지 3주간 진행되며, 공모전 온라인(주소 : https://naver.me/xLWdgAY8 )을 통해 200자 내외의 수기를 작성하면 된다. 수상자에게는 다양한 총 260만원의 상금이 지급되며 응모자 중 추첨을 통해 50명에게는 행운상으로 2만원 상당의 커피 기프티콘도 제공될 예정이며, 수상작은 12월 중 개별 통보되며 병원 홈페이지에도 공지된다. 한편, 이번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수상작은 병원의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해 활용될 예정이다. 기타
한국로슈는 지난 8일 한국로슈 본사에서 임직원 가족 초청 행사인 ‘슈퍼 익사이팅 빌리지(Super Exciting Village)’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했다. 이번 행사는 직원들이 직접 자신의 가족들을 회사에 초청해, 자신들이 하는 일의 가치에 대한 가족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회사와 직원 및 가족간의 유대감을 증진하고자 기획됐다. ‘슈퍼 익사이팅 빌리지(Super Exciting Village)’에서는 임직원들이 가족과 의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다채로운 참여형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회사에 방문한 임직원의 자녀들에게 한국로슈 사원증을 특별 제작해 제공했으며, 럭키드로우, 마술쇼, 페이스 페인팅, 풍선아트, 캐리커처 등 아이들과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여러 이벤트가 기획됐다. 더불어 가족들의 이야기를 함께 공유하고자, 직원들의 가족사진을 전시하는 ‘우리가족 사진전’도 운영됐다. 사진전에서는 다양성을 존중하는 로슈의 기업문화를 반영해, 배우자, 자녀, 반려동물, 친구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사진을 공개하며 임직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한국 로슈는 직원들이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매달 둘째 주 금요일 오후에 일찍 퇴근할 수 있
머크 라이프사이언스(대표 마티아스 하인젤)는 KAIST와 생명과학 분야 연구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의 일환으로, 지난 7일 KAIST 의과학대학원 내에 머크 바이오 랩(Merck Bio Lab) 및 머크 서플라이 센터(Merck Supply Center)를 개관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마련된 두 개의 시설은 지난 5월 머크와 KAIST 간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된 다각적인 협력의 성과로 마련됐다. 개소식은KAIST의과학대학원에서 진행됐으며, 머크 라이프사이언스 최고기술경영자(CTO)인 카렌 매든(Karren Madden) 과 KAIST 이상엽 연구부총장을 포함한 양측 주요 임원진이 참석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 내에 설립된 머크 바이오 랩은 연구자들이 머크의 다양한 기기와 포트폴리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연구 지원의 핵심 장소인 머크 서플라이 센터는 캠퍼스 내 머크의 제품, 시약, 장비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연구자들이 필요한 자원을 신속하게 확보하고 연구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외에도 머크와 KAIST는 연구자들의 역량 강화 차원에서 KAIST 신소재공학과 내에 머크
런던, 2024년 11월 7일 /PRNewswire/ -- 크라운 래버러토리즈(Crown Laboratories) 자회사이자 피부 및 미용 업계의 선도적인 혁신 기업 크라운 에스테틱스는(Crown Aesthetics)는 영국 최고의 미용 클리닉 그룹 중 하나인 카벤디쉬 클리닉(Cavendish Clinics)이 자신들의 마이크로니들링 기기를 수상 실적이 있는 스킨펜 프리시전(SkinPen® Precision)으로 업그레이드했다고 발표하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이번 업그레이드로 카벤디쉬 클리닉 고객들은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을 크게 향상시켜 동종 최고의 피부 리모델링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스킨펜 프리시전 마이크로니들링 시스템은 22세 이상 성인의 안면 여드름 흉터 치료를 위한 의료 기기이다. 또한 스킨펜 프리시전 마이크로니들링 시스템은 잔주름, 깊은 주름, 튼살, 수술 흉터, 모공 확대 및 색소 침착 증상(피부 변색)의 미용적 외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다.* 9개의 매장을 보유한 카벤디쉬 클리닉은 영국의 선도적인 미용 치료 서비스 제공업체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향상시
혁신적인 초음파 시스템 시리즈가 이제 우타르 프라데시에 있는 자회사 이자오테 아시아 퍼시픽 다이어그노스틱의 새로운 공장에서 "메이드 인 인디아"로 생산 노이다, 인도, 2024년 11월 6일 /PRNewswire/ -- 의료용 초음파, 전용 자기 공명 영상 및 정보 기술 등 의료 영상 분야를 선도하는 이탈리아 혁신 기업 이자오테 그룹(Esaote Group)은 자회사 이자오테 아시아 퍼시픽 다이어그노스틱(Esaote Asia Pacific Diagnostic Private Limited)이 세우고 경영하는 뉴델리(B-15, 섹터 60 노이다 우타르 프라데시)의 새로운 제조 공장을 통해 인도에서의 동사 입지를 강화한다. The new Esaote manufacturing site in India 이 새로운 이자오테 제조 공장은 인도 시장을 위해 마이랩A(My Lab™A), 마이랩 E(My Lab™E) 시리즈 및 컴팩트 휴대용 초음파 기기 등 다양한 첨단 초음파 시리즈를 "메이드 인 인디아"로 생산하며, 관련 현지 기관들의
전북대병원이 ‘미래 세대 건강을 위한 발걸음’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전북대학교병원이 지난 3일 전북대학교 어린이병원 11주년 개원을 맞아 전라북도 내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1월 6일 밝혔다. 전북대학교 어린이병원 내 완산홀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전북 지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및 관련 기관 의료진 약 60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에게 최신의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 치료의 이해와 지식 교류의 장이 됐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전북대병원 7명 교수진의 심도 있는 발표로 진행됐으며, 소아 및 청소년 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최신 지견과 접근법을 공유하고 다양한 증상 및 질환이 다루어져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강연 내용은 ▲소아 감염에서 진단검사의학의 최신 지견 - 신속 PCR, 신드롬 패널, 진단스튜어드십을 중심으로(진단검사의학과 이재현 교수) ▲소아 하지의 각변형과 염전(정형외과 문영재 교수) ▲놓치기 쉬운 소아의 부인과 질환(산부인과 유보람 교수) ▲피부과에서 보는 소아청소년 피부질환의 최신 지견 - 증례를 중심으로(피부과 박진 교수) ▲아동학대 – 의심, 진단, 처치(응급의학과 정태오 교수)
정부의 독단적인 의대 증원 발표 이후 8개월이 넘어가는 지금도 의대생의 학업 정상화와 전공의 복귀는 아직도 요원한 상황이다. 그 가운데 지역의료의 가장 중요한 한 축을 맡고 있는 공중보건의사제도의 기반은 조용히 무너지고 있으며, 서서히 끓는 물의 개구리처럼 치명적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전국 1200여명의 공중보건의사들은 섬과 교정시설, 그리고 대한민국 곳곳의 격오지에서 청춘을 바쳐 의무를 다하며 헌신하고 있다. 의대증원을 1만명을 하든, 10만명을 하든 누구도 선뜻 자원하지 않을 도서지역에서 공중보건의사가 근무하는 이유는, 국가가 가장 직접적으로 배치 지역과 기관을 정할 수 있는 인력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의료공백을 해결하겠다고 자처하는 정부가 사실 가장 관심을 가지고 전폭적인 지원을 했어야만 하는 영역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이들의 열악한 처우와 절규에 침묵했고, 사실상 의료공백을 자초해내었다. 2020년 750명에 달했던 의과 공중보건의사 배출 인원은 2024년 255명으로 66% 수직으로 감소하였고, 그 사이 현역으로 입대한 의대생은 2020년 150명에서 2024년 8월 기준 1052명으로 7배 늘었다. 더 나아가, 복학시점
한국임상고혈압학회(회장 이혁, 힘내라내과의원)가 지난 11월 3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행사에는 약 200여명이 참석해 고혈압 관련 최신지식과 임상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사전 신청방법 공지 후 5일 만에 조기 마감 높은 인기를 실감케 했다. 학술대회는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가정혈압과 활동혈압의 중요성 - 혈압계 선택과 관리(평택성모병원 심장내과 현철원 과장), ▶기립성 저혈압과 자율신경장애(권기익내과의원 권지은 원장), ▶비만과 고혈압(을지의대 가정의학과 김정환 교수), ▶최신 고혈압 진료지침(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 유기동 교수)에 관한 강연이 이어졌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심방세동 치료 - 시술은 언제 시행하나? (노태호바오로내과의원 노태호 원장), ▶의사에게 필요한 ChatGPT 활용 노하우(한국의학연구소 안지현 교육연구부장), ▶고혈압 치료 관리의 새로운 지표(만성질환관리제)(가톨릭의대 내분비내과 조재형 교수)를 다뤘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심장초음파 시작하기(서울특별시 동부병원 순환기내과 김은영 과장), ▶경동맥초음파 시작하기(안성성모병원 심장내과 정내인 과장)가
한국바이오협회는 지역 병원 연계 바이오 기업의 사업화 촉진 세미나 ‘찾아가는 지역 바이오 카라반 -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을 지난 31일 화순 국가면역치료센터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바이오협회, BT특화센터협의회,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및 전남대 생체재료개발센터가 공동 주관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허브 도약을 위한 – 바이오제조 혁신전략' 중, '(성장기반)지역별-성장단계별 사업화 지원을 통한 투자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지역 병원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기업 사업화 지원 세미나와 간담회를 비롯해, 병원 전문가와 바이오 기업 간의 1:1 맞춤형 사업화 촉진 컨설팅이 마련돼 실질적이고 맞춤형 지원이 이뤄졌다. 세미나에서는 ▲기업의 사업화 지원 인프라 구축 성과와 계획(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정구인 연구교수) ▲사업화촉진지원을 위한 기업-병원 협력 우수사례(씨앤큐어 홍영진 CSO), ▲KTR 동물대체시험센터 소개(KTR 성낙원 센터장), ▲국가첨단산업 바이오특화단지를 넘어 글로벌 바이오메디컬클로스터를 향한 화순백신산업특구(전남바이오진흥원 류강 센터장)의 발표가 진행
국제 협력이 베트남에서 이루어져 암 환자들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주는 치료 추천 가이드라인을 제공했다. 하노이, 베트남, 2024년 11월 1일 /PRNewswire/ -- 전 세계적으로 고품질의 암 치료를 정의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 최고의 암 센터들의 연합체인 전국 종합 암 네트워크(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의 리더들이 오늘 베트남을 방문하여 베트남 전역의 암 치료 표준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한다. NCCN Harmonized Guidelines for Vietnam are available at NCCN.org/harmonized. Find other free global cancer resources at NCCN.org/global. NCCN 최고경영책임자 크리스탈 S. 덴링거(Crystal S. Denlinger) MD는 베트남 국립암병원(K 호스피털)이 주최한 행사인 베스트 오브 ASCO 2024 : 멀티모달리티 암 치료와 디지털 시대의 병원 경영의 일환으
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 2024년 10월 29일 /PRNewswire/ -- 드코드 제네틱스/암젠(deCODE genetics/Amgen) 과학자들과 그들의 협력자들이 암 발병 위험과 관련된 희귀 생식 세포 변이를 가진 새로운 유전자 6개를 발견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오늘 네이처 제네틱스에 "희귀 생식 세포 변이의 유전자 기반 부담 검사에서 발견 6개의 암 감수성 유전자"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jwplayer.key="3Fznr2BGJZtpwZmA+81lm048ks6+0NjLXyDdsO2YkfE=" Kari Stefansson senior author of the paper, “Gene-based burden tests of rare germline variants identify six cancer susceptibility genes”, published today in Nature Genetics, discusses the paper with Erna V. Ivarsdottir first author on the paper. jwplayer('myplayer1'
선진입 의료기술의 안전성과 환자 선택권 강화를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선진입 의료기술의 안전관리 강화·신의료기술의 재평가 근거 규정 마련 및 평가유예 기술의 기간 연장 등을 위한 내용의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을 10월 29일부터 12월 9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그간 보건복지부는 기술의 현장 사용 우선 허용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신의료기술을 평가하는 신의료기술평가 선진입 제도의 지속적 개선을 통해 뛰어난 의료기술을 환자 치료에 조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신의료기술평가가 완료되지 않은 선진입 기술의 특성상 사용 중 안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충분한 임상근거 창출을 위해 선진입 기간(평가유예 2년)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 회의 ▲규제혁신전략회의 등에서 발굴한 혁신방안과 ‘선진입-후평가 제도개선 공청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해, 선진입 기술의 안전성 강화와 기업의 시장진입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규칙 개정을 추진한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의료기술의 안전성 담보를 위해 선진입 기술 사용 시 환자 동의서 구득과 사용현황 보고를 의무사항으로 규정해 안전
국립중앙의료원이 교육전담간호사 핵심역량 기반 중 중환자실 관련 맞춤형 집중 교육을 펼쳤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지난 23~24일 양일간 공공의료기관 중환자실 프리셉터 간호사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프리셉터 간호사 역량 강화 교육’을 개최했다고 10월 25일 밝혔다. 이번 교육과정은 공공의료기관의 중환자실 프리셉터 간호사가 근거기반의 간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신설됐다. 교육과정은 프리셉터 간호사의 핵심 역량 교육과 중환자실 중심의 맞춤형 임상 교육으로 구성됐다. 주요 내용은 ▲프리셉터의 개념과 역할 이해하기 ▲프리셉티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효과적인 코칭방법 ▲신규간호사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전략 - 다빈도 오류 사례와 개선방안 ▲안전한 중환자실 만들기! 중환자실 간호사가 알아야하는 감염관리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이해와 임상 적용 사례 ▲ECMO의 이해 및 간호 ▲중환자실 최신 장비 ▲프리셉터를 위한 마음 건강 증진 및 소진관리 등이다.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방사선종양학과가 최첨단 암 치료기 트루빔(TrueBeam) 장비 운영을 시작했다. 한림대 춘천성심병원은 지난 8일 최첨단 암 치료기 트루빔을 도입해 운영 준비를 마쳤다고 10월 25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한 장비는 현존하는 최고 사양의 방사선치료기로 방사선 위치를 1mm 이하 단위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정밀하고 정확하게 종양 치료가 가능하다. 트루빔은 움직이는 장기, 전이암 암세포 추적제거, 수술하기 힘든 뇌, 두경부암 등에도 치료가 수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방사선 출력이 기존 장비 대비 최대 2.4배 높아져 치료시간이 3분의 1가량 단축돼 환자 편의성이 높아졌으며, 정상조직에 피폭되는 방사선량을 줄이고 종양에 집중해 부작용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 이와 더불어 방사선 치료의 정교함을 높이기 위해 강원지역 최초로 이그잭트랙 다이나믹(ExacTrac Dynamic)을 함께 도입했다. 이 장비는 화상 카메라와 3D 카메라를 통해 방사선치료 전 과정에 걸쳐 환자의 체표면 및 자세의 실시간 추적이 가능해 방사선 치료의 정확성을 한 단계 더 높여주고 정상 장기의 방사선 피폭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