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0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2021년도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 성과보고회’가 7월 25일 오후 3시30분 웨스틴조선호텔 서울 코스모스룸에서 개최됐다. 이날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과 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정연희 보건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장, 권순만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2021년 스마트병원 주관의료기관 병원장 및 연구책임자, 관련 기업 대표 등 약 60여 명의 인원이 참석했다. 이기일 2차관의 인사말과 권순만 원장의 축사로 시작된 이번 성과보고회는 스마트병원 동영상 시청이 이뤄진다. 이어 강원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국립암센터,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각 컨소시험별로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 성과를 발표하며, 이후 질의응답 및 토론회가 이어질 예정이다. 한편,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의료에 활용해, 환자 안전을 강화하고 의료 질을 높일 수 있는 선도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사업으로, 병원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효율성·효과성을 높이고, 환자와 의료진이 능동적으로 참여해 환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스마트병원 사업으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3개 분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이 국내에 체류 중인 피난 고려인들에 대한 본격적인 의료지원에 나섰다. 고려대의료원은 지난 19일 우크라이나 전쟁을 피해 국내로 입국한 고려인들이 머물고 있는 광주광역시 월곡동 고려인마을을 찾아 의료지원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의료원은 피난 생활과 트라우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려인들의 건강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혈액검사, X-ray, CT 등의 검사와 전문의료진 상담을 진행했으며 환자 개개인 질환에 맞는 처방 및 투약을 시행했다. 이번 지원에는 의료원 사회공헌사업본부 박건우 본부장(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를 단장으로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이영미 교수, 안암병원 산부인과 홍순철 교수, 가정의학과 신고은 교수, 치과 이동환 전공의 등 27명의 안암병원 소속 의료진들을 주축으로, CT와 X-ray촬영이 가능한 이동진료버스 2대도 운영됐다. 또한, 원활한 진행을 위해 10여 명의 고려인 청소년들이 통역 봉사를 자원해 그 의미를 더했다. 약 1,200명으로 추산되는 국내 입국 피난 고려인 동포 대다수는 광주와 인천, 경기도 안산 등지에 고려인 밀집 거주지역에 체류하고 있으며, 광주 고려인마을에는 이중 약 450명이 머물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이 글로벌 시험인증 기관 티유브이슈드(TÜV SÜD)로부터 국제 의료기기 임상시험 실시기관 재인증(이하 ISO 14155 재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고대의료원의 이번 재인증은 의료기기 안전성 및 위험관리 절차가 강화된 ISO 14155 규격 개정판(ISO 14155:2020)의 모든 요건에 부합하는 임상시험 실시기관임을 검증받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고려대의료원은 지난 2019년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중 세계 최초로 ISO 14155 인증을 획득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 규제 동향에 발맞춰 꾸준한 임상시험 수행 개선과 인프라 확충에 힘써왔다. 이번 ISO 14155 재인증을 획득하면서 다시 한 번 국제 수준의 임상시험 수행 역량과 관리 체계를 갖춘 기관임을 증명한 셈이다. 2021년 5월 26일 이후 유럽연합(EU) 시장에 출시하고자 하는 의료기기는 의료기기법(MDR, Medical Device Regulation)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ISO 14155 규격을 준수하여 수행한 임상시험 결과는 CE 인증(Conformite Europeen Marking) 획득에 활용할 수 있다. 유럽뿐 아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이용해 특수한 수술 상황에서 혈압 변화를 예측하고 신속하게 대응해 환자 예후를 향상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딥 러닝 기술은 인간의 뇌 신경 회로를 모방한 신경 회로망을 다층적으로 구성하여 컴퓨터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기술이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상현 교수팀(정양훈·이미순)은 동 대학 빅데이터공학과 정영섭 교수(現 충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와 협업으로 ‘딥 러닝을 이용해 로봇 복강경 수술 환자에서 복압 변화에 따른 혈압 변동 예측(IF: 3.752)’이란 연구 논문을 SCI(E)급 국제학술지(PLOS ONE)에 최근 발표했다. 수술 중 높은 혈압 및 혈압 변화가 크면 환자 예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로봇을 이용한 하복부 장기 수술 시 복강 내 압력을 올리고 환자 머리를 바닥 쪽으로 기울인 자세를 취하는데, 이런 특수 환경에서는 혈압 변화를 예측하기가 더 어렵다. 최근 딥 러닝 기술을 이용해 수술 중 혈압 변화를 예측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나, 로봇을 이용한 하복부 장기 수술과 같이 복압과 체위 변화 등 변수가 많은 특수 환경에서 혈압 변화를 예측한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미용과 항노화 관련 핵심소재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 전문기업 진우바이오(대표이사 권동건)와 고형화 히알루론산 기술 플랫폼(Solid Hyaluronic Technology Platform ; SHTP)을 활용한 혁신제품 개발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달 22일(금),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동국제약 본사에서 동국제약 송준호 대표이사, 진우바이오 권동건 대표이사 등 양사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이 진행됐다. 동국제약은 이번 협약 체결로 글로벌 특허권을 확보한 진우바이오의 SHTP 기술과 자사의 제품화 역량을 바탕으로 필름제형 구내염 치료제, 파이버와 부직포를 활용한 하이드로 패치 및 창상피복재 유착방지제, 스레드를 활용한 스킨부스터 및 눈가 미세 주름 개선 필러 등 에스테틱 관련 신제품을 개발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동국제약 송준호 대표이사는 “HA 전문 바이오기업인 진우바이오와의 협력을 통해 동국제약이 보유한 HA 필러 제품(브랜드명 : 벨라스트)과 SHTP 기술을 적용한 신제품을 개발하여 미용과 항노화 분야의 토탈 헬스케어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
한국릴리(대표: 알베르토 리바)는 18일 자사의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및 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음성(HER2-) 진행성 및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버제니오 (성분명: 아베마시클립)의 한국과 일본 내 임상 경험 및 주요 임상 연구를 공유하는 ‘버제니오 비커넥트(BECONNECT) 한일 공동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심포지엄의 좌장은 김지현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맡았으며, 발표는 박연희 삼성서울병원 유방암센터장(혈액종양내과)과 준지 츠루타니(Junji Tsurutani) 일본 쇼와대학교 의과대학 진행암 중개 연구소장(Head Professor of Advanced Cancer Translational Research institute, Showa University)이 담당했다.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전이성 유방암 환자 현황을 짚어보고, 버제니오의 임상적 유효성 및 안전성을 중심으로 양국의 전이성 유방암 최신 치료 전략을 활발히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박연희 교수가 ‘한국의 유방암 환자 특성과 HR+/HER2- 유형 전이성 유방암에서의 CDK 4&6 억제제 치료 전략’을 주제로 버제니오를 포함
세계적인 안과 전문기업 한국알콘(대표이사 최준호)은 제1회 이멀시파이즈(EmulsifEYES)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진보된 의료기기 장비를 활용한 백내장 수술 치료 전략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멀시파이즈는 초음파유화술을 의미하는 패코이멀시피케이션(Phaco Emulsification)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명명된 심포지엄이다. 변화를 중시하고 새로운 기술 접목에 적극적인 의료진들의 목소리를 통해 의료기기의 발전과 이로 인해 진일보한 백내장 수술 트렌드를 공유함으로써 의료진의 백내장 치료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0일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처음 개최된 심포지엄에는 전국의 안과 전문의 약 70명이 참석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심포지엄에는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김현승 교수, 경북의대 경북대학교병원 김홍균 교수, 센트럴윤길중안과 윤길중 원장, 삼성서울병원 정태영 교수가 ▲일상 수술의 역량 강화(improve your daily practice) ▲백내장 수술 경험의 변화 (transform your experience) ▲기술을 통한 진보된 수술 경험(step up with technology) 등 총 3개의 세션의 좌장을 맡았으며
‘스마일 RUN 페스티벌’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언택트 마라톤으로 10월 1일부터 10일까지 10일간 전국 각지에서 개최된다. 구강암·구순구개열 등 구강질환의 심각성을 알리고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수술비 지원을 위한 구강보건 문화축제의 일환으로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박태근)가 주최하는 ‘2022 스마일 Run 페스티벌’은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하는 일반 국민과 치과계 가족이 함께 하는 대규모 행사로, 그동안 환자들에게 건강한 웃음을 되찾아 주고 얼굴기형 환자에 대한 인식 개선의 계기가 돼 왔다.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언택트 대회로 개최하면서 2000명 선착순 마감에 큰 호응으로 500명 추가모집까지 진행할 정도로 관심을 모았고, 이번 대회 기념품 역시 타 마라톤 행사와는 차별화된 일반인들이 선호하는 전동칫솔로 등록한 참가신청자에게 구강관리용품 등과 함께 우편 배송될 예정이다. 올해 대회 기념품은 오스템파마 주식회사에서 새롭게 출시한 저자극 음파세정 초경량 제품으로 NEW 오스템 와픽 전동칫솔(WO-100)이다. ‘2022 스마일 Run 언택트 페스티벌’은 하프, 10Km, 5km 달리기와 걷기 등 4개 코스로 나눠 진행되며, 전국 어디에서나 10일 동안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주말 영향으로 3만5883명으로 감소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25일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44명, 사망자는 1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4890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일 대비 각각 위중증 환자는 2명, 사망자는 1명씩 감소한 수치이며,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은 132명(91.7%), 사망자 중 50세 이상은 16명(94.1%)으로 집계됐다. 또한, 7월 4주 보고된 사망자 35명 중 50세 이상은 34명(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1명(32.4%)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았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5540명, 해외유입 사례는 343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3만588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24만7496명(해외유입 4만1847명)이다. 7월 2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5540명(최근 1주간 일 평균 6만5314.6명)이며, 서울 5967명, 인천 1948명, 경기 1만903명 등 수도권에서 1만8721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437명
‘두경부암’이라고 하면 조금은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두경부는 머리(頭)와 목(頸) 부위, 정확히는 뇌 아래에서 가슴 윗부분까지 눈을 제외한 목과 코, 입, 귀 부위를 일컫는 말로, 두경부암은 이곳에 생기는 암을 총칭한다. 두경부는 숨을 쉬고 냄새를 맡고 음식을 씹고 삼키는 통로이자 목소리를 내고 말을 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이곳에 암이 생기면 호흡, 음식 섭취, 발성 등에 문제가 생겨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받는다. 또 수술 후에도 장애가 남을 확률이 높다. 남인철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두경부암은 빨리 발견해 치료하면 완치율이 높은 것은 물론 두경부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외모에도 큰 변화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라며 “조금이라도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조기에 병원을 찾아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두경부암 환자, 4년간 19% 증가… 초기 증상 없어 발견 어려워국내 두경부암 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9년 두경부암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만3691명으로 2015년 1만9856명에 비해 4년간 3835명, 19.3% 늘었다. 두경부암은 암이 생기는 위치에 따라 인두암,
1차진료환경에서조기발견통해시력상실사례의 95% 예방가능 (서울, 대한민국 2022년 7월 25일 PRNewswire=모던뉴스) 당뇨병성망막병증은전세계적으로경제활동연령성인의주요실명원인이다[1]. 이질병은조기발견및치료를통해시력상실사례의 95%를예방할수있다[2]. 한국의연간당뇨병망막검사준수율은약 53%이며, 지난 12개월간시행된비율은 73%에불과한것으로나타났다[3]. 제2형당뇨병환자의최대 80%는결국당뇨병성망막병증의일부단계로발전할수있다[4]. Welch Allyn(R) 레티나뷰 100 Imager PRO를사용하면, 1차진료환경에서당뇨병성망막병증검사를수행할수있다. RetinaVue는일상적인 1차진료방문에서환자를빠르고편안하게선별함으로써, 12개월이내에잠재적으로시력을보호할수있는연례당뇨병망막검사(DRE)에대한환자의준수율을 2배로높일수있는것으로나타났다[5]. 박스터의아시아태평양지역부사장 Bruce Peatey는 "당뇨병은급속하게확산중이며, 당뇨병성망막병증은 20세에서 74세성인의주요시력상실원인으로[6], 전세계적으로 770만명의사람에게영향을미친다[7]"라며, "성인에서가장예방가능한실명원인중하나인당뇨병성망막병증에대한선별검사를받지않는다는것은비극적인일"이라고말했다. 그는 "Re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심장·신장내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진행한 ‘파브리병의 진단 및 치료’ 주제의 웹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무리하고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파브리병은 세포 소기관인 리소좀에서 체내 생성되는 물질들의 분해 및 소화를 담당하는 효소 중 하나인 알파-갈락토시다제 A(α-galactosidase A)의 부족으로 인해, 세포 내 GL-3와 같은 당지질이 리소좀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희귀질환이다. 파브리병은 전신에 걸쳐서 여러 증상을 나타내는 진행성 질환이라 조기에 진단받지 않으면 심장, 신장 등의 주요 장기 손상으로 이어져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이에 사노피는 심장 및 신장내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파브리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웹 심포지엄을 기획했다. 이번 웹 심포지엄은 사노피 희귀질환 사업부에서 주관하여 다양한 리소좀 축적 질환을 다루는 웹 심포지엄 ‘Cross-LSD’ 시리즈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지난 6월 30일 1차로 진행된 웹 심포지엄에서는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심장내과 문인기 교수가 강연을 진행했다. 문 교수는 심장내과에서의 파브리병 진단 방법과 함께, ‘아갈시다제베타’ 투여 시 심장과 신장
2022년 상반기 주요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시장이 겉으로는 성장한 것처럼 보이지만세부적으로는 대부분의 제품들이 하락길을 걷게 됐다.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와‘린파자’, 다케다 ‘알룬브릭’, 노바티스 ‘키스칼리’, 릴리‘버제니오’ 등만 실적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의하면 2022년 상반기 주요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시장은 1분기 803억원,2분기 862억원으로 총 1665억원을 달성해전반기인 2021년 하반기 대비 1611억원에서 3.3% 증가했다. 폐암 치료제 중 EGFR을 표적하는 치료제들의 원외처방액은 각 분기214억원, 225억원을 기록해 총 439억원을 달성했다. 지난 하반기의 408억원보다 7.8% 증가한 수치다. 이 중에서 EGFR 표적 치료제 시장의 84.7%를 차지하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오시머티닙 성분 ‘타그리소’는 1분기 181억원, 2분기 190억원으로 상반기 총 372억원을달성해 희소식을 알렸다.2021년 하반기 339억원보다 9.4% 증가했다. 반면 같은 회사 제품인 제피티닙 성분의 ‘이레사’는 지난 하반기 12억원을 기록했지만 올해 1분기 5억원, 올해2분기 6억원으로 총 11억원에그쳐 4
세계보건기구가 원숭이두창 유행을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으로 선포함에 따라 국내 방역 당국도 국내 원숭이두창 대응조치를 점검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23일 원숭이두창 다국가 발생 관련 국제보건규칙(IHR) 2차 비상위원회 개최 결과에 따라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를 선포했다고 24일 밝혔다. 위원회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고, 위원과 자문위원 견해 및 국제보건규약에 따른 요인들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원숭이두창은 특히 유럽과 미주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는 반면, 중동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는 가장 낮은 확진자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실제로 7월 24일 기준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국가는 ▲싱가포르 6명 ▲인도 2명 ▲대만 2명 ▲한국 1명 등 총 4개국 11명이 확진됐는데, 이는 지난 6월 26일 기준 아시아 3개국 3명에서 8명만 늘어난 수준이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는 원숭이두창 위험도를 유럽은 높음, 유럽을 제외한 세계는 중간으로 1차 비상위원회와 동일하게 평가했다. 질병관리청은 국내·외 발생 상황 및 WHO의 국제공중 보건위기상황 선포
21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후반기 위원장에 재선인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내정됐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22일 후반기 국회 원 구성을 협의했다. 상임위 위원장직 배분은 국민의힘 7개, 더불어민주당 11개이다. 의료계 관심을 끈 보건복지위원장은 정춘숙 의원이 내정됐다. 20대 국회에서 비례대표로 입성해 21대 총선에서 용인시병에 당선된 그는 6년째 복지위에서만 활동했다. 민주당은 후반기 위원장을 1년은 정 의원이, 나머지 1년은 3선의 한정애 의원이 맡는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여당 간사 전반기에 이어 강기윤 의원이, 야당 간사는 강훈식 의원이 맡는다. 위원들을 보면 여당은 9명으로 강기윤 김미애 백종헌 서정숙 이종성 최연숙 최영희 최재형 추경호 의원이, 야당은 13명으로 강훈식 강선우 고영인 김민석 김원이 남인순 서영석 신현영 이개호 인재근 최종윤 최혜영 한정애 의원이 배정됐다.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보다 3000여 명이 줄어든 6만5433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24일 0시 기준으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46명, 사망자는 1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487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만5100명, 해외유입 사례는 333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6만543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21만1613명(해외유입 4만1504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만3809명, 인천 3490명, 경기 1만7297명으로 수도권에서 3만4596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3551명, 대구 1923명, 광주 1670명, 대전 1986명, 울산 1984명, 세종 585명, 강원 1895명, 충북 2257명, 충남 2645명, 전북 2354명, 전남 1776명, 경북 3005명, 경남 3517명, 제주 1678명 등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만1277명(17.3%)이며, 18세 이하는 1만5258명(23.4%)이다. 7월 24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38만8171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날보다 소폭 감소한 6만8551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23일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40명, 사망자는 3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4855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만8258명, 해외유입 사례는 293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6만855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14만6180명(해외유입 4만1171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만4830명, 인천 3759명, 경기 1만8380명으로 수도권에서 3만6969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3942명, 대구 2559명, 광주 1634명, 대전 1976명, 울산 1865명, 세종 493명, 강원 2030명, 충북 2140명, 충남 2676명, 전북 2176명, 전남 1748명, 경북 2943명, 경남 3778명, 제주 1589명 등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만1423명(16.7%)이며, 18세 이하는 1만5671명(23.0%)이다. 7월 23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35만8570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3
국내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코로나19를 포함한 호흡기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시설 및 입소자의 특성을 반영한 관리 및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질병관리청 주간 건강과 질병 제15권 제29호에 실린 ‘국내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코로나19 관리 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시설 내 감염병 대응팀이 있는 시설은 정신건강의학과의원 91.7%로 가장 높았으며, 정신재활시설 90.4%, 정신요양시설 87.7%, 정신병원 86.2%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감염병 대응팀의 평균 구성원 수는 정신요양시설이 15명으로 가장 많았고, 정신병원 10.7명, 정신재활시설 5.8명, 정신건강의학과의원 4.1명 순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대응 참고 매뉴얼이 있는 시설은 정신요양시설(94.7%)이 가장 높았고, 정신재활시설(94.2%)과 정신병원(88.5%)이 그 뒤를 이었으며, 정신건강의학과의원(83.3%)로 가장 낮았다. 감염관리 전담 인력이 없는 시설로는 정신건강의학과의원이 66.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정신요양시설 35.1%, 정신재활시설 30.8%, 정신병원 25.9% 순으로 높았다. 감염관리 전담인력 평균 인원 수는 정신요양시설 4.7명, 정신병원 2.3명, 정신
삼중음성 유방암은 50세 미만 젊은 환자들의 비중이 크면서도 표적치료제사용이 힘들다. 뿐만 아니라 전이와 재발 가능성도 높아 위험 부담이 높은 질병이지만 그간 치료 옵션이제한적이었다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최근 한국MSD(대표 케빈 피터스)의 ‘키트루다’가 고위험 삼중음성 유방암 수술 전 선행항암요법 이후 수술 후 보조요법에서도 허가를 받으며 환자들에게 새 옵션을제공할 수 있게 됐다. 허가의 근간이 된 3상 임상 연구 KEYNOTE-522에서는키트루다의 대조군 대비 유의미한 결과가 확인됐다. MSD는 23일 기자간담회를개최하고 키트루다의 새 적응증 획득에 대해 기념하고 임상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간담회에서는 박연희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임상시험 센터장)가 연자로 나서 ‘삼중 음성 유방암의 오늘, 키트루다 허가로 달라질 내일을’을 주제로, 면역항암제를 통한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의 중요성과 키트루다의 치료 혜택에 대해 소개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4기 환자의 경우 전체 생존기간은 1년 남짓에 불과, 4년 생존 환자도 20% 미만으로 나타났는데, 전체 생존율 중앙값은 36개월, 4년 생존 환자는 40%에가까운 것으로 확인된 HER2 음성
대한심부전학회가 심부전 진료지침 완전 개정판 발표를 소개하기 위해 온라인 기자간담회를개최했다. 간담회는 코로나 상황을 고려해22일 15시,줌 웨비나로 진행됐다. 온라인 기자간담회에는 대한심부전학회 강석민 회장(신촌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최진오 총무이사(삼성서울병원 내과),조현재 진료지침이사(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가 참석했다. 강석민 회장은 “심부전은 65세 이상 환자의 주요 입원 및 사망 요인이다. 특히 심부전의 초기치료가 미흡한 부분이 있는데, 5~6년 간의 결과와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완전 개정판을 발표했다. 진료 현장에서 발전된 치료법을 널리 활용했으면 한다”고 완전 개정된 심부전 진료지침 발표 의도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조현재 진료지침이사가 세부적인 심부전 진료지침 내용에 대해 소개했다. 새로 발간된 진료지침의 전체 페이지는 300여 페이지에 이르지만, 그 중 핵심적인 내용 몇 가지를 발표하겠다며 순서를 소개했다. 새로 개정된 심부전 진료지침의 주요 내용은 총 10가지로, ▲ 심부전의 정의와 분류, ▲심부전의 진단 알고리즘, ▲ 박출률 감소 심부전의 치료, ▲ 심부전 약제들의 역할 변화, ▲ 호전된 박출률 감소 심부전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