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1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국화이자제약(이하 화이자)이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로 영역을 넓히게 되면서 환자와 의료진에게 치료 옵션이 확대됐다. 화이자의 ‘시빈코’는 지난해 말 전신요법 대상 성인 및 만 12세 이상 청소년의 중등증에서 증증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에 대해 3가지 용량 품목을 동시에 허가받아 국내에 상륙했으며 올해 4월 1일 출시에 성공했다. 시빈코는 화이자에서 처음으로 출시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이기도 하다. 200mg, 100mg, 50mg 세 용량에서 식약처 허가를 획득하면서 환자의 조건에 따른 용량 조절이 가능하다. 화이자는 26일 시빈코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중등증-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미충족 수요와 시빈코의 임상 결과를 조명했다. 간담회에서는 이동훈 서울의대 교수가 ‘중증증에서 중증 아토피 피부염 치료분야 미충족 수요 및 시빈코의 역할’에 대해, 서영준 충남의대 교수가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통해 본 시빈코의 효능 및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이동훈 교수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은 백내장 등 눈의 합병증, 피부감염과 천식, 알레르기 등의 동반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피부 통증이나 수면장애, 우울, 극단적 선택, 우울, 불안 등을 일으킬
정호영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가내달 3일로 결정된 가운데 자녀의 경북대 의대 편입 과정과 병역에서 어떠한 부당한 행위를 한 바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26일 자녀들과 관련된 여러 의혹들에 대해 입장문을 발표했다. 정 후보자는 입장문에서 “제 아들의 병역은 재검증까지 포함해 5명의 의사가 교차 검증했고, 3번의 MRI와 1번의 CT 검사를 통해 확인되됐다”며 “2015년도 당시 판정도 정확했음을 검증받았다. 국회에서 지정하는 의료전문가에게 관련 자료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편입학과 관련해서 경북대병원의 자원봉사는 누구나 신청만 하면 가능했고, 청탁을 할 필요성 자체가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실제로 근무를 한 기록부도 국회에 제출했다. 특히, 딸의 경우는 경북대병원 자원봉사는 일부에 불과하고, 서울 다른 곳에서의 자원봉사가 대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제 아들의 논문은 제3, 제4 저자가 될 정도의 기여는 충분했음이 여러 자료와 증언으로 확인됐다. 지도교수와 제1 저자가 모두 확인한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편입학의 평가과정에 대해서도 부당한 사실이 없었다는 것이 정 후자의 설명이다. 그는 “제 딸은 당초 평가결과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일째 10만명 아래로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하루 사망자가 55일만에 두 자릿수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6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13명, 사망자는 8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2325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만 345명, 해외유입 사례는 16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8만 36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00만 9865명(해외유입 3만 1842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26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842명, 2차접종자 1204명, 3차접종자 8817명, 4차접종자 19만 7085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2만 3924명, 2차접종자수는 4453만 9235명, 3차접종자수는 3307만 6060명, 4차접종자수는 103만 4210명이라고 밝혔다.
부산대병원 갑상선암 다학제팀이 지난 2018년 첫 진료 이후 최근 국내 최초로 1,000례를 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다학제 통합진료’는 암환자 및 희귀난치성 질환 등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3개과 이상의 전문의가 모여 대면으로 진료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환자와 의료진이 한자리에 모여 질환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면서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다학제 진료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하겠다. 부산대병원 갑상선암 다학제팀은 이비인후과, 내분비대사내과, 핵의학과 전문의로 구성돼 있다. 다학제팀의 진료는 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앞둔 환자는 환자 상태와 의견을 수렴해 갑상선암 수술 범위를 정하고, 수술 후에는 갑상선 전(全)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 위험도를 평가해 ‘방사성 요오드 치료’ 여부와 추적검사 방법을 결정한다. 갑상선암의 재발 또는 전이가 동반된 환자의 경우에는 악성도와 치료 효과, 삶의 질 등 다양한 각도에서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내분비대사내과 김인주 교수는 “다학제 진료는 환자 중심으로 진료가 이뤄지기 때문에 환자 입장에서는 그만큼 신뢰를 가질 수 있고, 만족도도 높다”고 말했다. 또 “내부적으로는 치료의 표준화와 적절성 증진으로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와 비뇨의학과병원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회 비뇨의학과 병·의원 공동 심포지움’이 지난 4월 23일 제주 메종글래드 호텔에서 개최됐다. ‘비뇨의학과 병·의원 공동 심포지움’은 진료협력체계 강화를 통해 국내 비뇨의학과가 처한 어려움을 타개하는 동시,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의료 환경을 환자들에게 제공하고자 개최된 심포지움이다. 제14대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조규선 회장은 “1차, 2차, 3차 병원 간의 의료 전달체계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신속하고 빠른 결정과 치료를 통해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제공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고 개최 포부를 밝혔다. 이어 비뇨의학과 병원위원회 김종현 회장은 “개원의와 봉직의 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더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서로 간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개회사를 전했다. 심포지움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 방문한 대한비뇨의학회 이상돈 회장은 “첫 개최를 축하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개최를 통해 병원과 의원이 함께 상생하며 윈윈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길 기대한다”며 축사를 전했다. 심포지움은 총 세 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진
지난 3월 11일 한국릴리의 ‘레테브모(성분명 셀퍼카티닙)’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레테브모는 국내 최초의 RET 표적 치료제로, 각 캡슐의 40mg과 80mg에 대해 허가받았다. RET(Rearranged during transfection)은 세포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종류로, 변이가 일어나거나 타 유전자와 합쳐지면 암이 유발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동안은 RET 변이를 위한 치료제가 존재하지 않아 RET 변이 환자들은 다른 암 환자들처럼 항암화학요법으로만 치료해왔다. 문제는 기존 항암요법은 RET는 물론 다른 유전자도 공격해 치료 순응도가 높지 않고, 부작용까지 우려된다는 점이다. 레테브모의 등장은 이와 같은 한계를 해소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임상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됐다. 레테브모는 ▲전이성 RET 융합-양성 비소세포폐암 성인 환자 ▲전신요법을 요하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RET-변이 갑상선 수질암이 있는 성인 및 만 12세 이상 소아 환자 ▲방사선 요오드에 불응하고, 이전 소라페닙 및/또는 렌바티닙의 치료 경험이 있으며 전신요법을 요하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RET 융합-양성 갑상선암 성인 환자 치료를 대상으로 허가받았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역학과 배경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가장 흔한당뇨병 합병증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국내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유병률은 진단 기준이나 진단 도구등의 다양성으로 인해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당뇨병 환자의 33%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중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거나, 통증에 대해 대증적 치료를하고 있는 경우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14.4%에 해당하며, 이 경우 삶의 질은 물론 수면장애가 동반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은 50% 정도에서 증상은 없지만 검사에서 이상을 보이는 무증상 신경병증이며, 증상이 있어도 실제로 진료실에서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 혈당 관리와 혈당수치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신경병증의진단과 관리가 부족한 경우가 흔하므로, 먼저 증상에 대한 병력 청취가 매우 중요하며 조기 진단 및 치료를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증상은임상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은 원위부 대칭성 다발신경병증(distal symmetric polyneuropathy)으로, 양측하지의 통증이며 밤에 악화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
서론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대표적인 생활습관병인 제2형 당뇨병과 고혈압은 병태생리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의 2/3 이상에 고혈압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뇨병 환자에서 사망의 주요 원인은 심혈관 질환이다. 당뇨병환자에서고혈압의 동반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및 주요 심혈관질환과 미세혈관합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의 적절한 치료는 심혈관질환으로인한 사망률, 대혈관 및 미세혈관합병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2017년 미국심장학회/미국고혈압학회가 제정한 고혈압 가이드라인에서 130/80 mmHg 이상을고혈압의 기준으로 제시하여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후 발표된 한국, 캐나다, 유럽 등의 가이드라인에서는 기존의 140/90 mmHg 이상을 고혈압의 진단기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2017년미국심장학회/미국고혈압학회의 가이드라인은 ‘혈압을 치료를통해 낮추었을 때 이로 인한 위험보다 이득이 큰 것이 증명된 수치’라는 기존의 전통적 고혈압의 정의를벗어나 ‘혈압으로 인한 심혈관계 위험이 상승하는 시점’을고혈압의 진단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올바른 혈압측정방법 혈압 치료를 위한 목표 설정 및
신현영 의원이 10개 국립대병원(본원, 분원 포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호영 전 병원장 시절 경북대병원의 간호사 고용 현황이 매우 열악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전북대, 경북대, 충북대, 제주대, 강원대의 경우 ‘간호사 정원 대비 현원’이 부족했다. 특히, 정호영 후보가 병원장을 맡았던 경북대병원(본원)의 경우 ‘간호사 정원 미충족’이 2017년 2명(1.6%)에서 2018년 106명(10.3%)으로 증가했고 2019년 365명(26.6%) 가장 많았으며, 병원장을 그만 두던 2020년 203명(15.1%)으로 줄었다. 이후 2021년에는 정원을 3명(0.3%) 초과했다. 간호사 채용 상황은 ‘이직’ 현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간호사 이직률은 강원대, 충북대, 부산대가 높았다. 경북대병원의 경우 2017년에는 6.1%(77명)에서 병원장을 그만 둔 2020년에는 8.0%(159명)로 1.9%p 증가했다. 코로나19 기간 경북대, 전남대, 전북대의 경우 전년에 비해 이직율이 높았다. 간호사의 이직은 열악한 처우, 높은 업무 강도, 수도권 의료기관으로 이동 등으로 발생하고 있다. ‘간호등급’도 줄곧 2등급이었다가 병원장 마지막 해인 2020년부터 1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발생이 76일만에 3만명대로 내려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5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68명, 사망자는 1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224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 4339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3만 437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92만 9564명(해외유입 3만 1828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25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8명, 2차접종자 23명, 3차접종자 95명, 4차접종자 419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2만 2762명, 2차접종자수는 4453만 7688명, 3차접종자수는 3306만 7033명, 4차접종자수는 83만 6753명이라고 밝혔다.
신경내분비종양(NET)은 신경 세포 및 호르몬 생산 세포와 유사한 신경내분비세포에 생기는 종양으로 다발성 내분비 종양증 1형 및 2형, 폰 히펠-린다우 증후군, 결정성 경화증, 신경섬유종증 등의 유전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신경내분비종양은 발병 후 진단까지 약 5~7년이 걸리며, 환자의 60~70%는 전이성 질환을 앓고 있어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다. 진행성 신경내분비종양이나 다른 진행성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더 나쁜 생존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절절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지난 2020년 7월 국내 허가받은 노바티스의 ‘루타테라’ (성분명 루테튬 옥소도트레오타이드)는 위장 및 췌장 신경내분비종양(GEP-NET) 치료에서 전 세계 최초로 승인된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RLT)다. 신경내분비 종양 세포 표면의 소마토스타틴 수용체에 결합해 방사선 조사를 통해 표적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전으로, 이 때 인접한 정상 세포에 대한 영향은 제한된다. 성인 환자의 경우 이 약의 권장 용량은 7.4GBq다. 8주 간격으로 총 4회를 투여하며 약 30분에 걸쳐 천천히 잠적 정맥 투여하며 중력법 사용이 권장된다. 정맥 내 일시에 투여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유욱준)과 4월 25일부터 ‘제2회 암젠한림생명공학상’ 후보자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암젠한림생명공학상’은 생명과학 및 생물공학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인 국내 젊은 연구자를 발굴·포상하기 위한 취지로 제정돼 올해로 2회를 맞았다. 암젠이 ‘생명과학 최우선(Biology-first)’ 접근법을 통해 40여년 만에 글로벌 바이오테크놀로지 리딩 기업으로 성장한 만큼, 암젠한림생명공학상은 국내 기초과학 연구의 활성화와 함께 생명공학 분야의 젊은 연구자를 격려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상 사업은 탁월한 과학기술인 선발 및 성장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주관한다. 각 부문에서 1명씩 선정하던 작년과 달리, 올해부터는 생명과학 및 생물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인 차세대과학자 1명과 박사후연구원 2명을 포함하여 총 3명의 연구자에게 6천만원의 상금을 시상할 계획이다. 그 동안 국내에 박사후연구원을 발굴 및 지원하는 시상사업이 흔치 않았기에 시상규모를 늘려 더 많은 박사후 연구원들의 공로를 치하하기로 한 것이다. 차세대 과학자 부문은 만 45세 이하(1976.1.2. 이후 출생)로서 국내 대학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중인 코로나19 백신이 우수한 임상3상 결과를 확보했다. 향후 안전성 데이터를 확보해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으로 보건당국의 최종 품목허가가 완료되면 대한민국은 ‘백신 주권’을 확보하고 동시에 독자적인 코로나19 백신 수출국으로서 위상을 높일 전망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사장 안재용)는 합성항원 방식의 자체 개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BP510’의 임상3상 분석 결과에서 대조백신 대비 우수한 면역 반응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GBP510’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BMGF)과 전염병예방혁신연합(CEPI)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SK바이오사이언스와 미국 워싱턴대학 약학대 항원디자인연구소(Institute for Protein Design, IPD)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로, GlaxoSmithKline(GSK)의 면역증강제(Adjuvant) AS03이 적용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고려대구로병원 등 국내 16개 임상 기관 및 태국, 베트남, 뉴질랜드, 우크라이나, 필리핀 등 해외 5개국에서 만 18세 이상 성인 4,037명을 대상으로 임상3상을 진행한 결과, 면역원성 측면에서 대조백신인 ‘Vaxzevria’ 대비 G
B형간염 치료제 시장이 전분기인 2021년 4분기 대비 2022년 1분기 10.1%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의 제공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1분기 B형간염 치료제 시장은 총 648억원을 기록해 2021년 4분기 721억원보다 실적이 감소했다. 특히 B형간염 치료제 시장에서 가장 매출이 높은 테노포비르 성분의 치료제도 2021녀 4분기 기록한 399억원에서 2022녀 1분기 361억원으로 9.5% 감소했다. 이는 대표적인 치료제인 길리어드 제품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테노포비르 성분 중 6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비리어드’는 2021년 4분기 245억원에서 2022년 1분기 218억원으로 매출이 10.9% 감소했다. 약 29%로 점유율 2위를 달리는 ‘베믈리디’는 2021년 4분기 매출 113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2022년 1분기 105억원에 그치면서 7.2% 감소했다. 종근당의 ‘테노포벨’은 2021년 4분기와 2022년 1분기 모두 8억원대를 유지 중이었으나 이번 분기 약 1700만원 감소하며 규모가 2% 줄었다. 엔테카비르 성분은 전분기 대비 11.8% 하락했다. 2021년 4분기에는 276억원을, 2022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며 나흘째 10만명 아래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4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26명, 사망자는 10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213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만 4689명, 해외유입 사례는 36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6만 472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89만 5194명(해외유입 3만 1797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24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323명, 2차접종자 1306명, 3차접종자 5358명, 4차접종자 3만 2448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2만 2743명, 2차접종자수는 4453만 7661명, 3차접종자수는 3306만 6929명, 4차접종자수는 83만 6281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며 토요일 발표 기준 10주만에 가장 적은 규모로 발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3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38명, 사망자는 15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202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만 5420명, 해외유입 사례는 29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7만 544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83만 469명(해외유입 3만 1761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23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3638명, 2차접종자 3867명, 3차접종자 1만 6638명, 4차접종자 12만 994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2만 1237명, 2차접종자수는 4453만 6236명, 3차접종자수는 3306만 1123명, 4차접종자수는 80만 2497명이라고 밝혔다.
2022년 1분기 C형간염 DAA 원외처방이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마비렛이 성장하고 소발디와 하보니가 하락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22년 1분기 C형간염 치료제는 총 98억원을 기록했다. 2021년 4분기의 85억원에 비하면 14.7%나 성장했다. 애브비의 ‘마비렛’은 glecaprevir 성분이다. 2021년 4분기 65억원을 달성했으며 2022년 1분기에는 29.7% 확대된 84억원을 기록했다. 길리어드는 현재 sofobuvir 성분의 두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유한양행에서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2021년 4분기에는 20억원을, 2022년 1분기에는 14억원을 기록하며 32.4% 하락했다. 점유율 역시 85.8%로 C형간염 치료제 시장을 이끌어나가고 있다. 특히 단일제인 소발디의 하락이 심한데 2021년 4분기 7300만원에서 2022년 1분기 600만원으로 91.8% 감소했다. 이는 소발디가 판매 실적이 올 1월까지만 확인됐기 때문이다. ledipasvir와의 복합제인 ‘하보니’는 매출이 30.3% 감소됐다. 지난 2021년 4분기 20억원을 기록했다가 2022년 1분기 13억원으로 하락하면서 점유율은 현재 14
미국, 영국, 이탈리아 및 걸프 국가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제 설문조사 결과, 항공 여행의 보건 요건을 둘러싼 혼란이 만연하고, 항공 부문이 또 다른 세계 보건 위기에 대비되지 않았다는 두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국 응답자 중 다수가 2021년 코로나 관련 요건 때문에 비행기를 타지 않았다고 답해 미국 응답자 46%, 이탈리아 응답자 61%, 영국 응답자 65% 및 걸프 지역 응답자 68%가 2021년에 보건 관련 요건 때문에 비행기를 타지 않았다고 답해 항공 부문의 회복세가 우려되는 가운데, 미국 응답자의 3분의 1(32%), 이탈리아 응답자의 40%, 영국 응답자의 40% 및 걸프 지역 응답자의 거의 절반(46%)이 2022년 보건 요건을 둘러싼 혼란으로 인해 비행기를 타지 않을 계획이라고 답해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2년 4월 22일 /PRNewswire/ -- 한 국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여파 후 세계 항공 부문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혼란스러운 보건 요건으로 인해 회복세가 주춤할 수도 있다고 한다. 세계 항공 부문이 또 다른 공중 보건 위기에 대비된 상태가 아니라는 우려도 이에 한몫하고 있다
코로나19-인플루엔자 복합 백신 후보군의 1/2상 임상 시험에서 백신의 우수한 내약성과 면역원성 확인 본 복합 임상 시험 데이터를 통해 2022년 말 시작 예정인 2상 임상 선량 확인 시험 계획에 대한 정보 제공 예정 독립형 인플루엔자 백신과 복합 백신에서 면역 반응을 보여 두 백신 모두 성공할 가능성 확인 메릴랜드주 게이더스버그, 2022년 4월 22일 /PRNewswire/ -- 심각한 전염병에 대한 차세대 백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데 전념하는 생명공학 기업인 노바백스(Novavax, Inc., Nasdaq: NVAX)는 오늘 자사 CIC(코로나-인플루엔자 복합 백신)에 대한 1/2상
테란, 사노피의 3상 CNS 치료제 2종 개발 추진 계약에는 모든 사용 분야에서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전 세계 독점권이 포함된다. 뉴욕, 2022년 4월 22일 /PRNewswire/ -- 신경 및 정신질환에 대한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전념하는 생명공학 플랫폼 기업인 테란(Terran Biosciences, Inc.)은 2개의 후기 단계 CNS 파이프라인 자산을 개발 및 상업화할 수 있는 전 세계 독점권에 대해 사노피(Sanofi S.A.)와 계약을 체결했다. 이러한 치료법은 4개의 임상시험 신약 허가 (IND) 신청과 여러 CNS 적응증에 대한 15,000명 이상의 피험자를 포함하는 104개 이상의 임상 연구를 이끌어냈다. 테란은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수요가 많은 몇 가지 새로운 적용 분야를 포함해 신경 및 정신의학적 징후에 대한 이러한 자산의 개발을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이 계약은 이 유망한 자산 개발의 핵심적인 다음 단계를 보여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