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1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GC녹십자가 적절한 함량의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 신제품을 시장에 내놓았다. 한 알에 30가지 유효 성분이 들어있어서 필수 영양소 섭취가 부족한 현대인에게 적합한 제품이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종합비타민 ‘센타민프로’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제품은 비타민B1을 함유해 에너지 대사 활성화와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더불어 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 3종(비타민D, 칼슘, 마그네슘)과 항산화 성분 4종(비타민C, 비타민E, 셀레늄, 코엔자임Q10), 보약으로 쓰이는 생약 성분 4종이 복합돼 있다. 특히, 비타민D는 성인 하루 권장 섭취량(400IU)의 2.5배에 달하는 1000IU가 함유돼 있어 뼈 형성 촉진과 골다공증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지닌다. 최인복 GC녹십자 브랜드매니저는 “’센타민프로’는 국내 최다 성분을 함유한 종합비타민제로 균형 잡힌 영양 공급이 가능하다”며 “’비맥스’로 다져진 종합비타민 판매 노하우를 기반으로 ‘센타민프로’의 점유율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센타민프로’는 일반의약품으로 전국 약국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자녀의 의대 편입과 아들 병역 판정 등에 대해 어떠한 부당항 행위도 없었다며 일각의 논란에 대해 일축했다. 자녀 편입학과 관련해서는 교육부에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요청하는 한편, 아들 병역에 대해서는 국회가 지정하는 의료기관에서 재검사 및 진단을 받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호영 후보자는17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해 그간 제기된 의혹에 대해 설명했다. 정 후보자는 “국민들께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송구한 마음이다. 그간 제기된 의혹들은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고 있지 않고, 자녀의 의대 편입이나 아들의 병역 판정에 있어서 지위를 이용한 어떠한 부당한 행위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관련 의혹이 지속 제기되는 상황에서 정 후보자는 “보다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자녀의 편입학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교육부의 철저한 조사가 최대한 신속히 이뤄지기를 요청한다”며 “또 병역 판정에 대해서는 국회가 지정한 의료기관에서 아들의 척추질환에 대한 검사와 진단도 받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향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취임 시 지난 40여 년간 지역의 의료현장에서 활동한 전문성과 코로나19에 대응한 그간의 경험을 기반으로 국민들이
2021년 접대비 지출이 확인된 KRPIA 소속 다국적 제약사 31곳 중 절반에 대해 접대비 지출 감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1개사의 2021년 접대비 지출은 약 72억원으로 매출인 5조 9422억원의 0.12%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95억원을 접대비로 사용해 매출인 5조 2372억원의 0.18%를 차지하면서 2020년 대비 2021년 접대비 지출 비중이 감소했다. 특히 매출 상위 5개 제약사 역시 접대비 지출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매출의 규모가 500억원 초과이 경우 매출의 0.06%까지를 접대비 사용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매출 1위인 아스트라제네카부터 접대비 비중이 0.15%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접대비는 약 9억원으로 2020년 6억원을 접대비로 사용한 것에 비해 액수도 늘었으며 비중도 0.13%에서 더욱 증가했다. 이는 노바티스 역시 마차가지다. 특히 2021년 9억원, 2020년 6억원으로 아스트라제네카와 액수는 비슷했지만 매출 규모에 따라 접대비의 비중이 높아졌다. 2020년 비중은 0.12%, 2021년 비중은 0.17%였다. 사노피 아벤티스는 2020년 대비 접대비 비중이 절반으로 줄었음에도 비중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엿새 만에 10만명 아래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7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93명, 사망자는 20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109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만 2983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9만 300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30만 5752명(해외유입 3만 1585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17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778명, 2차접종자 1199명, 3차접종자 8084명, 4차접종자 1만 6135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1만 2548명, 2차접종자수는 4452만 6471명, 3차접종자수는 3300만 8629명, 4차접종자수는 44만 781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감소세를 이어가며 나흘째 10만명대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6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13명, 사망자는 27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889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만 7886명,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0만 791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21만 2751명(해외유입 3만 1567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16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5338명, 2차접종자 3139명, 3차접종자 2만 5186명, 4차접종자 6만 671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1만 544명, 2차접종자수는 4452만 5201명, 3차접종자수는 3300만 241명, 4차접종자수는 42만 3814명이라고 밝혔다.
의-한 간 협진 활성화를 위한 4단계 시범사업이 15일부터 시행됐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11월 제2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의-한 협진 시범사업 추진계획이 보고됐으며, 올해 3월 공모를 거쳐 전국 75개 의료기관이 시범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의-한 협진 시범사업은 2016년 7월부터 3단계(1단계(2016년 7월∼), 2단계(2017년 11월∼), 3단계(2019년 10월∼))에 걸쳐 시행됐다. 4단계 시범사업은 2024년 12월 말까지 진행된다. 1단계 사업 기간에는 13개 기관이 참여했고, 협진 시 환자 본인부담 제도를 개선했다. 기존에는 한 기관에서 같은 날에 동일 질환으로 의과, 한의과 진료를 모두 받을 때 후행 진료는 전액 본인이 부담했으나, 시범사업을 통해 후행 진료도 통상적인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을 적용받도록 했다. 2단계 사업 기간에는 45개 기관이 참여했고, 협의진료료 수가가 도입됐다. 협의 진료료는 의사와 한의사가 협의해 행하는 진료행위에 대한 수가로, 첫 협진에 대한 ‘일차 협의진료료’와 그 이후 진행되는 협진에 대한 ‘지속 협의진료료’로 구분(지속 협의진료료는 일차 협의진료 2주 후부터 산정 가능)된다. 3단계 사업 기간
코로나19 감염 이후 증가하는 후유증과 합병증 발생 확률에 대해 경고하는 의견이 제시됐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장내과 장태익 교수는 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으로 개최한 ‘제5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 학술대회’에서 ‘코로나19 감염 후유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장태익 신장내과 교수는 “코로나 감염이후 증상이 지속되거나 지연되고 증상이 4주동안 지속되고 폐, 심장, 뇌 등 장기들에서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대 이것을 롱 코비드, 혹은 Post-acute COVID-19 syndrome 이라고 명칭한다”고 전했다. 장태익 신장내과 교수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와 달리 현재 유행 중인 SARS-CoV-19에 의한 코로나-19의 여러 장기에 미치는 후기 합병증 가능성은 매우 이례적이기 때문에 국민건강보험데이터를 이용해 코로나-19감염 이후 생존자들에서 단기 혹은 장기 후유증의 위험이 증가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밝혔다. 연구 대상자는 2020.1.1~2020.12.31까지 20세 이상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대조군은2021.12.31 까지 코로나19와 독감 진단이 없었던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바이오의약품 산업이 라이선스 딜의 임상 Early stage 집중과 M&A를 통한 혁신 신약 개발에 주목하며 갈수록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신약 개발에 대해서는 ‘Fragmentation or Concentration’, ‘Regulation or Innovation’, ‘Research or Development’ 등의 과제도 남겨졌다. 15일 보건산업진흥원이 개최한 ‘제12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대표가 ‘글로벌 의약품의 산업 동향 및 개발 발전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허 대표에 의하면 2020년 글로벌 시장은 6.3% 성장했다. 허 대표는 “모더나, 화이자 등 코로나19 백신의 생산량이 늘어나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15% 성장했다.”며 “2026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예측하면 1350조에 이르는 시장이 될 것이고, 연평균 약 6%의 시장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특히 “신기술 기반의 분야가 급성장하고 있다. 단일클론항체의 성장률은 26%, Cell&Gene therapy의 성장률은 50%를 상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개발 동향으로는 “지난 해 글로벌 신약의 FDA 허가가 그 전에
간호단독법 제정의 부당함과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의료계 인사들의 국회 앞 릴레이 1인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4월 13~15일에는 한국여의사회 윤석완 회장, 의협 박종혁 의무이사, 여의사회 백현욱 차기회장 순으로 바통을 이어받았다. 이들은 국회 앞을 오가는 시민들과 국회 관계자들을 향해 “간호단독법은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를 붕괴시킬 악법”임을 강조하며 법안 저지를 위한 행동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4월 13일) 대한의사협회 윤석완 부회장은 “간호법의 가장 큰 폐해는 현행 의료법보다 우선 적용하는 특별법의 지위를 부여해 보건의료 정책의 근간을 붕괴시키고,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해와 의료의 질 저하를 가져온다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윤 부회장은 “만약 간호법안의 내용대로 간호사의 업무가 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가 아닌, 의사의 처방 하에 시행하는 ‘환자 진료에 필요한 업무’로 변경된다면 간호사가 의사의 면허범위를 침범하는 불법의료행위가 자행될 것”이라며 “독립된 공간에서 단독으로 진료할 수 있는 독립 의료기관 개설로 결국 질 낮은 의료기관이 양산될 것이다”라고 우려했다. (4월 14일) 대한의사협회 박종혁 의무이사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감소세를 보이며 사흘째 10만명대를 유지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이틀연속 900명대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5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99명, 사망자는 26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61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만 5832명, 해외유입 사례는 14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2만 584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10만 4869명(해외유입 3만 1538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15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417명, 2차접종자 1549명, 3차접종자 1만 4958명, 4차접종자 3만 127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0만 4871명, 2차접종자수는 4452만 1723명, 3차접종자수는 3297만 4504명, 4차접종자수는 35만 6651명이라고 밝혔다.
아스텔라스제약과 시젠(Seagen)은 파드셉™(PADCEV™, 성분명 엔포투맙 베도틴)이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및 PD-1/L1 억제제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위한 단독요법으로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은 글로벌 3상 EV-301 임상연구를 근거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파드셉™은 해당 임상연구에서 화학요법제 대비 전체생존기간(OS) 개선 효과를 보였다. 아스텔라스제약 치료 분야 개발 책임자이자 수석 부사장인 아산 아로줄라(Ahsan Arozullah) 박사는 “엔포투맙 베도틴의 유럽연합 승인은 제한적인 치료옵션과 낮은 생존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행성 요로상피암 환자들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아스텔라스제약은 진행성 요로상피암 환자들이 새로운 치료 옵션을 보다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건당국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EV-301 연구는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및 PD-1/L1 억제제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608명을 대상으로 엔포투맙 베도틴과 기존의 화학요법제를 비교 평가한 글로벌 3상 임상연구다. 중
한국오가논(대표 김소은)은 지난 13일, 한국병원약사회와 온라인 심포지엄을 열고, 질환 및 약제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조제 및 복약지도가 이뤄지는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오가논이 작년 새롭게 출범 후 병원약사를 대상으로 하는 첫 심포지엄으로, 300여명이 참석하며 뜨거운 관심 속에 성료됐다. 행사는 한국오가논 김소은 대표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김정태 약제실장이 좌장을 맡고,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이영신 상근 부회장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슬기 교수의 발표 세션으로 이어졌다. 또한, 한국병원약사회 김영주 상근 부회장, 국립암센터 서인영 약제부장,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정경주 약제팀장이 패널로 참석해 병원약국 현장의 이슈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날 심포지엄은 환자와의 접점의 시각에서 환자의 안전을 위한 약품의 안전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으며,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이영신 상근 부회장이 의약품 불순물 종류, 생성 과정, 최근 이슈 관련 규제 기관 대응 등에 대해 발표했다. 최근 빅데이터, AI 기술 및 분해 관련 분석 기술이 발전하고, 세계적으로
전자공시를 통해 KRPIA 소속 다국적 제약사의 2021년 판매관리비 지출 현황이 확인됐다. 판매관리비를 가장 많이 지출한 곳은 사노피 아벤티스가, 판매관리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존슨앤드존슨이 차지했다. 판관비 지출 현황이 확인된 32개 제약사의 전체 판관비는 1조 5129억원으로 매출의 24.2%였다. 2020년에는 1조 4520억원을 기록했으며, 비중은 24.7%이었다 다국적 제약사 중 가장 매출이 높은 아스트라제네카는 2021년 판관비로 1184억원을 사용해 전체 매출 중 18.1%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판관비가 1122억원로 2021년보다 적었으나 비중은 22.5%로 오히려 더 높았다. 노바티스는 2020년과 비슷한 비용을 유지하고 있었다. 2020년에는 1145억원을, 2021년에는 1140억원을 판매관리비로 사용했으며 비중은 21.5%에서 21%로 소폭 감소했다. 사노피-아벤티스는 판관비 비용과 비중 모두 예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1339억원을 지출해 매출의 27.3%를 차지했으나 2021년에는 1197억원을 지출했으며 비중도 22.6%로 확인됐다. 얀센은 이와 반대로 증가한 모습이다. 2020년에는 686억원을 판
우울증은 환자들이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대표적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한해 약 80만 명이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았다. 우울증 환자는 최근 5년간 연평균 7%씩 증가해 2019년 한해 동안 약 80만명이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 이상 지속되고 있어 이로 인한 우울감을 호소하는 ‘코로나블루’ 현상을 감안하면, 우울증 환자의 지속적인 증가는 예견된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다. 우울증 환자 가운데 여러 차례의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치료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를 ‘난치성 우울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여러 조사 결과 및 통계에 따르면 국내 우울증 환자의 30%는 난치성 우울증으로 추정된다. 우울증 환자의 3명 중 1명은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셈이다. 양극성장애, 성격장애 등 타 정신질환으로 진단받지 않은 우울증 환자 가운데, 최소 2가지 종류 이상의 경구용 항우울제를 충분한 용량으로, 충분한 기간 동안 복용하였음에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난치성 우울증 치료 대상으로 볼 수 있다. 항우울제를 이용한 약물치료의 경우, 효과가 없는 치료법을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는 치료 반응에 따라 탄력적으로 치료법을 변경하는 것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감소세를 나타내며 이틀째 10만명대로 발생한 가운데 하루 사망자가 38일만에 1000명 아래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4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62명, 사망자는 31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35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만 8408명, 해외유입 사례는 35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4만 844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97만 9061명(해외유입 3만 1524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14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553명, 2차접종자 1273명, 3차접종자 1만 2679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0만 3112명, 2차접종자수는 4451만 9842명, 3차접종자수는 3295만 9122명이라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박명하)는 최근 대한한의사협회가 질병청을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제기한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관련 한의사들의 권리 보호에 필요한 거부처분 취소소송 등 행정소송'과 관련해 “신속항원검사는 한의학적인 이론과 근거도 없는 현대의학의 분야이므로 한의사의 업무영역을 벗어나는 변칙적인 행정소송”이라며 법원이 현명한 판단을 내려줄 것을 기대한다는 성명서를 14일 발표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앞서 발표한 성명서에서도 한의사의 신속항원검사는 의료법 위반 소지가 있음을 알리며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를 한의원에서 하지 못해 국민이 피해를 보는 상황이 아니며, 오히려 비전문가에게 적절한 검사와 처치를 받지 못하는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적시한 바 있다. 또 명분 없는 불법 행위 시도에 사회가 혼란을 겪고 수사기관과 사법당국이 인력을 낭비하는 일이 없도록 정부와 보건당국이 단호하게 정리해주기를 요청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현재 한의협에서 소송의 근거로 주장하고 있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한의사가 감염병 진단과 보고·신고 의무를 가지고 있지만 한의원에서 확진 받은 환자는 질병청 시스템에 등록할 수 없어 정당한 책무를 실행하지
HK이노엔(HK inno.N)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중국에서 허가 받은 적응증은 미란성 식도염이다. HK이노엔은 2015년 중국 파트너사인 뤄신과 9500만달러(약 1167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으며, 뤄신은 2017년 1상 임상시험을 시작해 2020년 말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 품목 허가 신청을 접수했다. 케이캡은 ‘큰 즐거움을 돕는다’는 의미의 현지 제품명 ‘타이신짠(泰欣赞)’으로 2분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케이캡의 중국 내 독점판매권을 가진 뤄신이 생산 및 유통을 담당한다. 뤄신은 중국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에서 3위를 기록하고 있는 소화기 분야 전문 회사로, 3000여명의 영업 인력을 통한 대규모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 뤄신은 HK이노엔과의 긴밀한 파트너십 하에 타이신짠의 적응증을 십이지장궤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등으로 꾸준히 확대해나가는 한편, 기존 정제에 이어 향후 주사제까지 제형을 확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중국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전체 1위 품목 등극을 목표로 하고 있다. HK이노엔 곽달원 대표는 “중국 출시와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된 2022 미국피부과학회(AAD,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에서 듀피젠트® 프리필드주(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의 성인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4년 공개연장연구(OLE, Open-Label Extension)를 포함한 4건의 연구 데이터가 최초 공개됐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듀피젠트는 아토피피부염에서 최초 승인된 생물의약품인 만큼(2022년 4월 국내 기준) 모든 연령대 환자들을 아우르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공개했다. 공개된 연구에는 성인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최대 4년 간 듀피젠트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공개연장연구 데이터 2건, 만6세 이상 소아, 만12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듀피젠트 수면 부족 개선 효과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일본에서의 듀피젠트 시판 후 조사를 바탕으로 한 리얼월드 데이터가 포함됐다.듀피젠트는 기존 아토피피부염 최신치료제 중 최장기간이었던 172주 데이터에 이어 더욱 긴 최대 204주 데이터를 공개해 우수한 장기 효과와 일관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함으로써 만성
한국노바티스㈜(대표 유병재)의 항암제사업부는 CAR-T 치료제 ‘킴리아(Kymriah: 티사젠렉류셀)’의 국내 출시 1주년 및 지난 4월 1일부터 건강 보험 급여 적용을 기념해 말기 혈액암 환자들의 희망찬 삶을 응원하는 ‘생명의 불빛 밝힌 희망의 벽’ 행사를 지난 4월 11일 진행했다. 한국노바티스 임직원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해 진행된 이번 행사는 말기 혈액암 환자들의 쾌유를 기원하고 환자들에게 더 큰 희망이 되기 위한 킴리아의 새로운 여정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서는 한국노바티스 사무실 내에 ‘희망의 벽’을 설치하고 첫 생명의 불을 밝혔다. ‘희망의 벽’은 킴리아 치료를 통해 새로운 삶을 살게 된 환자들이 생길 때마다 생명의 불이 하나씩 밝혀질 예정이다. 한국노바티스 임직원들은 희망의 벽 앞에서 국내 혈액암 환자들의 생명의 불을 밝히고 완치를 향한 여정에 함께 하겠다는 의지를 다짐했다. 또한 재발성∙불응성 성인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이하 DLBCL,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및 25세 이하 B세포급성림프구성백혈병(이하 pALL, pediatric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환자들의 치료 부담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에 따르면 만성 C형간염 치료제 ‘하보니®’(성분명: 레디파스비르 90mg, 소포스부비르 400mg)가 대만 내 5644명 대규모 환자가 참여한 리얼월드(Real-world) 연구를 통해 항바이러스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한번 더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대만 간 연구협회(TASL)에 소속돼 있는 유밍렁 교수 및 46명의 교수진 주도로 진행됐으며, 2022년 2월 3일 SCI급 국제 의학 저널인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리얼월드 연구는 대만 정부의 위탁을 받아 C형간염 환자를 관리하는 ‘대만 간 연구협회(TASL)’에서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로, 대만의 만성 C형간염 환자에서 하보니의 실제 치료 효과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대만 내 만성 C형간염 환자 레지스트리(TACR)에 등록한 환자 중, 2017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하보니 또는 하보니와 리바비린을 처방받은 5644명의 환자가 대상이 됐다. 이번 데이터는 5천명 이상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했다는 부분과, 특히 만성신장애, 간경변, 간암 등을 동반한 C형간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