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치과병원 대구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가 지난 7일 경상북도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센터장 김철현)와 경북권역재활병원에서 장애인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양 센터는 경상북도 지역 장애인의 건강권 증진을 위한 진료·교육·홍보사업 등을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경북대학교치과병원의 대구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는 지난 2015년에 장애인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설립됐으며, 장애인 환자들에게 전신마취를 비롯한 각종 전문적인 치과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울산권역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지역 장애인 구강치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울산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울산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가 개소 첫 돌을 맞아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월평균 190명 꼴로 총 2290명의 환자가 치료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상 장애인환자의 약 20%가 방문한 수치이며 특히 뇌병변·자폐성·정신·지적장애 등 중증환자는 전체 환자의 85%인 1950명에 달했다. 울산의 경·중증 장애인은 약 5만1000여 명이다. 이 중 장애인 전문 구강 치료 및 진료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지적·자폐·뇌병변 장애인 등)환자는 1만1000여 명에 달한다. 장애인구강진료센터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꼽히는 전신마취 치과 시술은 총 87건을 기록했다. 전신마취 시술은 진료협조가 어려워 사실상 치과치료가 불가능한 중증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흉부 방사선 검사·심전도 검사·혈액 검사 등 사전 검사와 정밀상담을 거쳐 진행하는 고난이도 치과 치료법이다. 울산대학교병원 장애인구강진료센터는 전신마취를 위한 진정 마취기를 비롯해 장애인 전용 진료대 등 최신 의료장비를 갖추고 전담 마취전문의·진료인력이 상주하고 있어 울산에서는 유일하게 장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공공부문 구강보건의료 인프라 확충을 위해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이하 권역센터) 2개소와 구강보건센터(이하 구강센터) 2개소 설치에 참여할 지방자치단체와 치과의료기관을 7월 16일까지 공모한다. 권역센터 공모 대상은 17개 광역·시도로, 권역센터가 아직 설치되지 않은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 4개 광역시도와 해당 지역 치과병원·종합병원이 우선 선정 대상이다. 구강센터는 구강보건실만 운영하거나 구강보건센터를 설치하지 않은 192개 시·군·구 보건소가 대상이다. 7월 내 지원대상을 선정하며 권역센터는 개소당 신·증축비 25억 원·리모델링비 13억 원, 구강센터는 개소당 1억 8000만원을 국비와 지방비로 각각 50%씩 올해 지원한다. 그간 정부는 장애인, 취약계층 등의 구강보건의료 이용의 불평등 완화를 위해 장애인 구강 진료센터 설치와 전국 보건소 구강보건실의 구강보건센터 전환 설치 등을 추진해 왔다. 2011년부터 17개 광역시도에 단계적으로 설치한 장애인 구강 진료센터를 통해 10년간 전신마취가 필요하거나 치료 난이도가 높은 장애인 35만 6000여명에게 치과 치료를 제공하고, 비급여 본인부담금 약 143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