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를 하나의 사람이라고 한다면 반쪽이 건강한데 나머지 반쪽이 건강하지 못하다면 과연 그 전체가 건강하다고 볼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 통일보건의료학회 김신곤 이사장은 27일 통일보건의료학회와 사단법인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이 공동으로 개최한 ‘한반도 공동체를 위한 온라인 토크 콘서트’에서 이같이 말하며 남북한 보건의료인의 역할과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한반도 당뇨병 관리모델’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또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자 남과 북이 힘을 합쳐 대응할 것과 ‘생명사랑남북공동진료단’을 꾸려 DMZ 접경지역 주민들의 건강 향상을 함께 도모하자고 했다. 먼저 김신곤 이사장은 ▲북한 주민의 치아건강 문제 ▲높은 영유아 사망 비율과 낮은 기대수명 ▲성인병과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합병증 관리 부재 등을 문제로 꼽았다. 김 이사장은 “북한의 5세 이하 영유아 사망률이 우리나라의 7~9배에 달하는 현실도 가슴 아프지만, 기대수명도 우리와 비교해 북한이 10살 이상 차이가 난다”며 “북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온전한 건강으로 기대수명을 누리지 못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성질환은 빈곤을 경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 위기상황에서 남북한 보건의료 공동대응이 필요하고 특히 보건의료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북한 COVID-19 확산실태와 창의적 남북 보건의료 협력’을 주제로 8일 열린 온라인 세미나에서 인도적 측면의 효율적 보건의료 협력을 위한 대안 등이 마련됐다. 이 자리서 통일보건의료학회 김신곤 이사장은 남북한 갈등 속 치유의 도구로서 작동하는 보건의료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유엔(UN) 국경 제제 속에서 발생한 코로나19로 인한 북한의 자발적 국경봉쇄와 최근에 발생한 홍수와 태풍의 피해는 북한 주민들의 건강과 생명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보건의료인이라 한다면 코로나 위기 속에서 고통받고 있는 사람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상처받은 사람들 속에서 그 상처를 어루만지고 화해할 수 있도록 치유의 도구로써 이용될 수 있는 것이 ‘보건의료’”라며 “너무나 큰 상처를 주고받은 남북간에 보건의료는 서로를 어루만지는 화해의 단초이자, 따뜻한 치유의 도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감염성 질환의 문제는 국경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코로나가 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