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의료원은 중앙대학교 의료 인공지능 특화 융합인재 양성 사업단과 공동 주관으로 지난 20일 중앙대병원 중앙관 4층 송봉홀에서 ‘의료 AI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의료AI, 의료진을 위한 JARVIS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개최한 이번 심포지엄은 이철희 중앙대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의 개회사와 김찬웅 중앙대의료원 디지털헬스케어처장의 ‘의료 JARVIS 프로젝트’ 소개로 시작해, 3부 세션 총 10개 주제에 대한 의료AI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의 장으로 진행됐다.
1부 세션 ‘병원의 디지털 전환, 그리고 AI에이전트’에서는 ▲AI를 위한 의료데이터 플랫폼 구축 경험과 의료 JARVIS를 위한 제언(미소정보기술 이종근 CMO) ▲디지털 시대, 병원의 역할: 임상시험부터 RWE까지(에버트라이 신재용 대표) ▲네이버클라우드 AI&디지털 헬스케어(네이버 클라우드 이상우 이사) 주제 강연이 진행됐다.
2부 세션 ‘의료 경험과 진료의 질을 높이는 AI에이전트’에서는 ▲LLM 기반 의무기록 작성 서비스 개발, 도입 및 모니터링(파이디지털헬스케어 유승찬 대표) ▲최신 연구를 실시간 학습하는 AI 멀티에이전트: 근거기반 치료 전략의 동적 최적화(바이오넥서스 김태형 대표) ▲멀티오믹스-임상 데이터 기반 AI 알고리즘: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모델 OCM-002소개(온코마스터 성철훈 이사) ▲EHR의 새로운 패러다임-음성 기반 기록의 도전과 혁신(대한의료정보학회 김종엽 이사장)강연이 이어졌다.
마지막 3부 세션 ‘병원과 환자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AI(휴레이포지티브 최두아 대표) ▲Hospital Management System enhanced with AI(이유엔(주) 메디통 조수민 대표) ▲환자의 헬스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의료 AI Agent(위뉴 황보율 대표) 주제 발표가 있었다.
김찬웅 중앙대의료원 디지털헬스케어처장은 “의료현장에서 AI는 더 이상 미래의 가능성이 아닌, 지금 우리가 마주한 현실적 변화의 흐름이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확인했듯이 AI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임상 데이터 해석과 진료 의사결정 지원, 나아가 환자 경험 개선까지 폭넓게 확장되고 있다”며 “특히 중앙대의료원이 추진하는 ‘의료 JARVIS 프로젝트’는 의료진 곁에서 실질적인 조력자가 되는 AI를 구현하려는 노력으로, 이는 진료 효율을 높이고 환자 안전을 강화하는 데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며, “앞으로도 의료원은 산·학·연·병 협력을 바탕으로 AI에이전트가 의료진의 전문성을 보완하고, 환자 중심의 스마트 의료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