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최근에 발생한 ‘대구 10대 여아 미수용 사망 사건’과 관련해 대구광역시와 함께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운영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중앙응급의료센터는 응급의료기관 및 권역외상센터 등 관련 업무 담당자를 대구시로 즉각 파견한 상태다. 공동조사단은 해당 환자가 119 이송에서 응급의료기관 선정과 환자 수용 거부 및 전원, 진료에 이르기까지 모든(全) 과정에서 부적절한 대응과 법령 위반 사항 등이 있었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아울러 응급의료기관 등에 대한 현장 조사, 의학적 판단에 대한 전문가 자문 등을 진행하고, 법령 위반 사항이 발견될 경우, 이에 따른 기관별 행정처분 및 재발 방지대책 마련을 요구할 계획이다.
대구광역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6일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검진건수와 확진환자수 감소에 따라 승차진료형 선별진료소 10개 중 핵심4개소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점진적으로 운영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대구시 채홍호 부시장은 6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드라이브 스루‘로 많이 알려진 ’승차진료형 선별진료소‘ 검사 경과에 대해 발표, 4개소를 제외한 나머지는 4월 12일까지만 운영한다고 전했다. 승차진료형 선별진료소는 지역감염 초기에 의심환자가 폭증해 신속한 대규모 검체채취 방법이 요구됨에 따라 칠곡 경북대병원에서 세계 최초로 도입됐다. 이는 짧은 검체채취 시간과 의료진 감염방지 등 높은 편의성을 가지고 있어 각 국의 외신들이 주목한 바 있으며, 일본도 도입 검토를 시사했다. 대구시는 2월 29일부터 복지부 4개소, 대구시 3개소, 병원 3개소 등 총 10개소에 178명의 인력을 투입해 승차진료형 선별진료소를 운영해왔다. 그 결과, 4월 5일까지 대구광역시 전체 코로나19 검사 건수 9만 3315건 중에 16.7%인 1만 5,594건의 승차진료형 선별진료소 검사를 수행, 하루 최대 1,028건을 검사해 감염병 지역확산 방지에 기여했다는 평이 다수다. 그중 영남대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