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새 후두암 진료지침 발표를 앞두고 현재 진료지침 진행상황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2024년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춘계학술대회가 개최된 가운데, ‘후두암 진료지침’ 세션이 열렸다. 해당 세션에서는 첫 순서로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김상연 교수가 ‘조기후두암’ 연구 결과에 대해 밝혔다. 조기후두암 부문에서는 △조기 성문암(T1/T2)에서 최적의 치료는 무엇인가 △조기 성문상부암(T1/T2)에서 최적의 치료는 무엇인가? 김 교수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해 “전체 생존율에 있어서는 수술군이 비수술군 대비 이득이 있었다. 그러나 비수술군은 보다 위험하기는 했지만, 두 그룹 간의 유익성과 위해성의 실질적인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웠다.”며 “두 치료 모두 조기후두암 초기치료로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연구에 목 절개를 받은 참가자가 포함돼있었고, 타 연구 대비 추적기간이 1.5년으로 비교적 짧았지만 연구 결과 수술은 방사선 치료에 비해 전반적인 생존율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은 두 개 치료 모두 초기 치료로 가능하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연구들은 수술적 치료와 독점적 방사선 치료 사이의 비교에서 명확한 우월성에 대한
대한두경부외과학회가 2024년 춘계학술대회가 1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회원들이 진료 현장에서 고민하고 있는 부분과, 앞으로 두경부외과학 분야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떠오르는 임상 트렌드 및 핫이슈가 다뤄진다. 아울러 미래 두경부외과 질환의 진료에 AI 가 어떻게 접목될 것인지, 두경부외과의사에 의한 항암화학치료의 전망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시간도 마련됐다. 뿐만 아니라 국가 암가이드라인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년 간 진행된 후두암 진료지침과제를 소개하는 시간과 올 8월 정년을 앞둔 박헌수 교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이밖에도 해외 초청 연자로 現 대만두경부외과학회 회장인 Pen-Yuan Chu 교수를 초청해 강연을 듣고 더불어 양국 두경부외과학분야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향 후 MOU 체결식을 가질 예정이다.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조광재 회장은 “현 의료사태로 전공의 선생님들의 참석이 어렵겠지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학회 본연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전공의선생님들에게 등록비를 면제해 드리고, 전공의 교육 세션은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면서 “이번 학술대회가 성황리에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