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7일.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의 ‘안면신경의 날’이 제정됐다. ‘안면신경의 날’은 대한안면신경학회에서 추진한 ‘안면신경’과 관련된 질환을 기념하고자 마련한 기념일’로, 기존의 우리나라 환자들이 병원 진료가 필요한 안면신경 마비에 대한 증상과 특징, 올바른 예방·치료법을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대한안면신경학회는 지난 6일 서울대학교병원 CMI(의학연구혁신센터) 서성환 연구홀에서 ‘대한안면신경학회 안면신경의 날 선포식 기념 대국민 포럼’을 개최했는데, 해당 포럼에 다녀온 소감을 말하자면 우리가 그동안 안면신경마비에 대해 너무 무지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평가하고 싶다. 그 이유는 포럼에서 이뤄지는 강의를 듣기 전까지만 해도 본 기자는 안면신경마비에 걸리더라도 어느 진료과에 가야되는 것인지, 안면신경마비가 응급질환인지 등을 몰랐고, 대다수 많은 사람들도 몰랐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이날 포럼에서는 전체 안면마비 중 70% 이상은 자연치유가 되지만, 그 이외에는 고용량 스테로이드 처방이나 안면재건술 등의 수술적 요법이 필요하며, 특히 발생 초기 스테로이드를 빨리 쓸수록 완치율이 상승하는 안면신경마비 치료 효과가 소개됐다. 무엇보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정승용) 성형외과 박준호 교수가 안면신경마비 치료를 위한 ‘이중 신경 접합 광배근 이식술’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보라매병원 성형외과 박준호 교수, 한양대병원 성형외과 박성오 교수, 서울대병원 성형외과 장학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16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편측성 안면마비 치료를 위해 서울대병원 성형외과에 내원해 수술 받은 환자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 수술방법에 따른 예후 차이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마비 증세가 있는 안면 측면부의 교근(턱 근육) 신경만을 흉배신경에 접합하는 ‘단일 신경 접합술’과 비교해, 교근 신경과 반대쪽 정상 안면의 신경 가지를 함께 접합하는 ‘이중 신경 접합술’이 수술 예후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단일 신경 접합술과 이중 신경 접합술을 이용한 광배근 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대부분이 수술 1년 뒤 인위적인 수준까지 웃음을 회복했지만,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웃음을 되찾은 환자는 오직 이중 신경 결합술을 시행 받은 그룹 중 일부에서만 확인돼, 이에 연구진은 이중 신경 결합 광배근 이식술이 안면신경마비 재건의 결과에 있어 우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