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천지發 대구·경북지역 코로나19 1차 대유행 당시 의료현장 최전선에서 환자들을 돌본 병원들의 기부금수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는 13일 기준 현재까지 국세청 홈텍스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전국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19~2020년 기부금수익 현황을 분석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기부금수익을 기록한 곳은 연세의료원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을 둔 학교법인 연세대학교였다. 2019년 226억원이었던 기부금수익은 153.6%로 약 두 배 넘게 증가한 573억 1700만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1차 대유행 때 활약한 계명대 동산병원과 대구동산병원, 경주동산병원을 둔 학교법인 계명대학교의 기부금수익은 901.9%로 큰 폭으로 증가(36억 5400만원→366억 1100만원)했다. 영남대의료원을 둔 학교법인 영남학원 역시 29억 1600만원이었던 기부금수익은 616.5% 증가해 208억 9400만원을 기록했다. 대구가톨릭대병원과 칠곡가톨릭대병원을 둔 학교법인 선목학원 역시 기부금수익이 많지는 않지만 536.4%나 증가(1억 8400만원→13억 4300만원)했다. 한양대병원 외 2개 병원을 둔 학교법인 한양학원과 서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의료재단들의 연구수익에 희비가 갈렸다. 연구수익이 70% 가까이 오른 곳이 있는 반면, 절반 넘게 감소한 곳도 있었다. 특히 서울대병원을 제외한 이른바 빅5병원을 둔 재단들(아산사회복지재단,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운데, 삼성서울병원을 둔 삼성생명공익재단만 연구수익과 연구비용이 감소했다. 본지는 9일 기준 현재까지 국세청 홈텍스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전국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19~2020년 연구수익과 연구비용 현황을 분석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연구수익을 기록한 곳은 서울아산병원 외 7개 병원을 둔 아산사회복지재단이었다. 2019년 774억 9000만원이었던 연구수익은 16% 증가한 898억 8700만원을 기록했다. 연구비용은 11.8% 증가(704억 6400만원→787억 9100만원)했다. 다음으로 가장 많은 연구수익을 벌어들인 삼성서울병원과 삼성노블카운티를 둔 삼성생명공익재단은 2019년(826억 4200만원)에 비해 2.5% 감소한 806억 1100만원을 기록했다. 연구비용은 2019년과 마찬가지로 1000억 원대를 유지했다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대체적으로 2019년 대비 의료재단들의 의료비용은 증가했지만, 진료재료비는 감소한 곳이 꽤 있었다. 본지는 9일 기준 현재까지 국세청 홈텍스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전국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19~2020년 진료재료비와 의료비용 현황을 분석했다. 의료비용 안에는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가 포함돼 있다. 이들 중 유일하게 전체 의료비용 중 진료재료비 점유율이 20%를 차지하는 곳은 연세의료원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을 둔 학교법인 연세대학교였다. 지난해 학교법인 연세대학교의 의료비용(2조 3298억 2900만원) 중 진료재료비는 4689억 2700만원으로 2019년(4236억 3200만원)에 비해 10.7% 증가했다. 서울성모병원 외 7개 병원(여의도성모, 의정부성모, 부천성모, 은평성모, 인천성모, 성빈센트, 대전성모병원)을 둔 학교법인 가톨릭학원의 진료재료비의 증가율은 1.6%(4734억 6500만원→4808억 9700만원)로 크지 않았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외 3개 병원(부천병원, 천안병원, 구미병원)을 둔 학교법인 동은학원의 진료재료비는 2.2% 감소(1662억 5700만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대체적으로 2019년 대비 병원들의 약품비가 고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는 8일 기준 현재까지 국세청 홈텍스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전국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19~2020년 약품비와 의료비용 현황을 분석했다. 의료비용 안에는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가 포함돼 있다. 서울성모병원 외 7개 병원(여의도성모, 의정부성모, 부천성모, 은평성모, 인천성모, 성빈센트, 대전성모병원)을 둔 학교법인 가톨릭학원은 약품비가 3.1% 증가(4388억 700만원→4524억 2800만원)했으며, 의료비용 중 약품비가 차지하는 점유율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세의료원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을 둔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역시 약품비가 6.5% 증가(4168억 2500만원→4439억 200만원)했다. 특히 의료비용은 10.6%나 증가(2조 1066억 7500만원→2조 3298억 2900만원)했는데, 이 중 약품비 점유율은 0.7% 감소했다. 고려대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을 둔 고려중앙학원은 약품비는 7.3% 증가(2328억 3800만원→2498억 3800만원)했으며, 의료비용은 6.
2019년 1조 원대 의료수익 반열에 오른 순천향대천안병원 외 3개 병원을 둔 학교법인 동은학원의 지난해 전체의료수익이 다시 9000억 원대로 감소했다. 3일 기준 현재까지 국세청 홈텍스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지방권 소재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20년 의료수익을 분석한 결과, 순천향대서울·순천향대부천·순천향대천안·순천향대구미병원을 둔 학교법인 동은학원의 전체의료수익은 2019년 대비 5% 감소(1조 373억원→9855억 2000만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번 2018년에서 2019년 의료수익 증가율이 9.5%(9473억 9400만원→1조 373억원)였던 것과 비교하면 지지부진했던 셈이다. 외래수익은 0.46% 증가(3080억 1800만원→3094억 3200만원)했지만, 입원수익과 기타의료수익은 각각 7.28%(6796억 7400만원→6301억 9400만원), 7.49%(496억 700만원→458억 9300원 감소했다. 지난해 3월 신천지發 코로나19 1차 대유행 대응 최전선에 있었던 대구가톨릭대병원과 칠곡가톨릭대병원을 둔 학교법인 선목학원의 전체의료수익은 지난번과 비교해 많이 떨어졌다. 2018년에서 2019년 의료수익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수도권 소재 주요 의료재단들의 경영성적에 희비가 엇갈렸다. 입원수익, 외래수익, 기타의료수익 모두 증가해 전체의료수익이 20% 이상 증가한 곳이 있는가 하면, 10% 이상 감소한 곳도 있었다. 지난 5월 25일 이후 추가로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수도권 소재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20년 의료수익을 분석한 결과, 서울성모병원 외 7개 병원(여의도성모, 의정부성모, 부천성모, 은평성모, 인천성모, 성빈센트, 대전성모병원)을 둔 학교법인 가톨릭학원은 지난해 2조 5827억 9000만원의 의료수익을 거뒀다. 2020년 입원수익, 외래수익, 기타의료수익은 각각 1조 5574억 6600만원, 9676억 1500만원, 577억 800만원을 기록했으며, 이들 모두 2019년 대비 감소했다. 특히 기타의료수익은 23.25% 감소(751억 9000만원→577억 800만원)했다. 결과적으로 2019년 전체의료수익(2조 6398억 8000만원)과 비교하면 2.16% 감소했는데, 당시 2018년에서 2019년 의료수익이 12.6% 증가(2조 3442억 4200만원→2조 6398억 8000만원)했던
지난해 3월 신천지發 코로나19 1차 대유행 대응 최전선에 있었던 대구·경북지역 소재 주요 의료재단(학교법인 계명대학교, 학교법인 영남학원)이 의료수익 증가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26일 기준 현재까지 국세청 홈텍스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지방권 소재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20년 의료수익을 분석한 결과, 계명대 동산병원, 대구동산병원, 경주동산병원을 둔 학교법인 계명대학교의 전체의료수익이 2019년 대비 12.03% 증가(4031억 5000만원→4516억 6700만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번 2018년에서 2019년 의료수익 증가율이 13.8%(3543억 8900만원→4031억 5000만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나름 선방한 셈이다. 입원수익은 13.58% 증가(2551억 1100만원→2897억 6100만원)했고, 외래수익은 10.46% 증가(1364억 8700만원→1507억 7000만원)했다. 반면, 기타의료수익은 3.6% 감소(115억 5200만원→111억 3600만원)했다. 똑같이 코로나19 1차 대유행 대응 한가운데 있었던 영남대병원과 영천병원을 둔 학교법인 영남학원은 지난번과 비교해 지지부진한 성적표를 거머쥐었다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수도권 소재 주요 의료재단들의 경영성적에 희비가 엇갈린 가운데, 2019년 대비 지난해 전체의료수익이 증가한 의료재단들도 증감율이 크지 않아 코로나19가 경영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기준 현재까지 국세청 홈텍스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수도권 소재 주요 의료재단들의 손익계산서와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2020년 의료수익을 분석한 결과, 이들 중에서 연세의료원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을 두고 있는 학교법인 연세대학교는 지난해 2조 4580억 7500만원의 의료수익을 거뒀다. 2020년 입원수익, 외래수익, 기타의료수익은 각각 1조 4453억 1700만원, 9561억 4600만원, 566억 1100만원을 기록했으며, 입원수익과 외래수익은 2019년 대비 각각 6.16%, 4.3% 증가한 반면 기타의료수익은 14.78%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2019년 전체의료수익(2조 3446억 300만원)과 비교하면 4.84% 증가했는데, 당시 2018년에서 2019년 의료수익 증가율이 9.8%(2조 1347억 7400만원→2조 3446억 300만원)였던 것을 감안하면 지지부진했던 셈이다. 강북삼성병원 외 5개 부속
수도권에 학교법인을 둔 10개 의료재단(▲가톨릭학원 ▲인제학원 ▲동은학원 ▲일송학원 ▲경희학원 ▲대우학원 ▲한양학원 ▲이화학당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의 2019년 의료수익 실적이 모두 증가했다. 그중 학교법인 이화학당의 의료기관인 이대서울병원이 2019년에 새로 개원함에 따라 전체 의료수익은 2018년 2,470억원에서 다음해 3,657억원(▲입원수익 2,376억원 ▲외래수익 1,198억원 ▲기타의료수익 83억원)으로 48.1% 증가했다. 이대서울병원은 국내 최초로 기준 병실 3인실, 전 중환자실 1인실의 새로운 병실 체계와 환자 안전과 치료의 정확성을 향상시켜주는 환자 중심의 첨단진료 시스템을 구축해 개원 초기부터 기대를 모았으며, 지난달 22일에 개원 1주년 온라인 기념식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임수미 이대서울병원장은 “이대서울병원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고 코로나19 이후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운영 병상 확대와 이에 걸맞은 중증종합병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병원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의료 산업화를 선도하는 병원 ▲직원들의 꿈이 실현되는 병원을 만들어가기 위해 전 구성원이 화합하고 협력하자”고 말했다. 가